윤두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두서
尹斗緖
신상정보
별칭 호(號)는 공재(恭齋), 호재
출생 1668년 6월 28일
조선의 기 조선 한성부
사망 1715년 12월 21일(1715-12-21)(47세)
조선의 기 조선 전라도 해남 연동
직업 문인, 화가
국적 조선
분야 서화
부모 윤이석(부), 청송 심씨 부인(모)
배우자 전주 이씨 부인
자녀 윤덕희(장남)
윤덕렬(차남)
친척 외증조부 : 심액(沈詻, 1571년~1654년)
외조부 : 심광사(沈光泗, 1620년~1671년)
외육촌 : 심득경(沈得經, 1673년~1710년)
손녀 : 윤소온(尹小溫, 1728년~1770년)
증손자 : 윤경(尹憬, 한의업 종사)
외증손자 : 정약전(丁若銓, 1758년~1816년)
외증손자 : 정약종(丁若鍾, 1760년~1801년)
외증손자 : 정약용(丁若鏞, 1762년~1836년)[1]
주요 작품
영향

윤두서(尹斗緖, 1668년 6월 28일(음력 5월 20일) ∼ 1715년 12월 21일(음력 11월 26일))는 조선의 화가이다. 자는 효언, 호는 공재·종애, 본관은 해남이다. 그의 생전 주요 거주지는 한성전라도 해남이었다.

생애[편집]

윤선도의 증손이며, 윤이후의 넷째아들이다 숙종 때(26세) 진사에 급제하였다. 당쟁이 심하던 시기였기에 출사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시서화로 생애를 보냈다.[1]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는데, 특히 인물·동식물 등의 그림에 뛰어났다. 조선 후기의 화단의 선구자로 지목받으며,[1]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겸재 정선(謙齋 鄭歚)과 함께 조선의 ‘3재(三齋)’라 불린다. 작품으로 〈노승도〉, 〈산수도〉, 〈자화상〉 등이 있다. 서화뿐만 아니라 유학, 천문지리, 수학, 병법 등 각 방면에 능통한 실학적인 태도는 가풍으로 전해졌다.[1]

작품[편집]

산수화[편집]

초상화[편집]

도석인물화[편집]

지도[편집]

동국여지지도

풍수에 대한 관심으로 <동국여지지도>, <일본여도> 등 회화식 지도를 만들었다.[1]

화보[편집]

<고씨화보>, <당시화보>와 같은 다양한 화보를 통해 남종화 및 작화 방법론의 유행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1]

문화재[편집]

보물 제1488호 《심득경 초상

가족 관계[2][3][편집]

윤두서는 윤선도의 셋째 아들 윤예미의 아들 윤이후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직후 종손 윤이석의 아들로 입적되었다.

  • 증조부 : 윤선도(尹善道)
    • 할아버지 : 윤인미(尹仁美)
      • 아버지 : 윤이석(尹爾錫) - 종친부 전부
      • 어머니 : 청송 심씨 - 심광사(沈光泗, 1620년 ~ 1671년)의 딸, 남인 산림 청안군 심광수(靑安君 沈光洙, 1598년 ~ 1662년)의 조카, 이조판서 청송군 심액(靑松君 沈詻, 1571년 ~ 1654년)의 손녀
        • 부인 : 전주 이씨 (실학자 이수광의 증손녀)
          • 장남 : 윤덕희(尹德熙, 1685년 ~ 1776년) - 조선의 화가이다.
            • 손자: 윤용(尹愹, 1708년 ~ 1740년) - 조선의 화가이다.
          • 차남: 윤덕렬(尹德烈, 1698년 ~ 1745년)[4]
            • 손녀 : 윤소온(尹小溫, 1728년 ~ 1770년) ↔ 정재원(丁載遠, 1730년 ~ 1792년)과 결혼
              • 외증손자 : 정약전(丁若銓, 1758년 ~ 1816년)
              • 외증손자 :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
              • 외증손자 : 정약용(丁若鏞, 1762년 ~ 1836년)
        • 외육촌 : 심득경(沈得經, 1673년 ~ 1710년) - 이조판서 심단(沈檀, 1645년 ~ 1730년)의 차남, 윤선도의 사위 심광면(沈光沔, 1622년 ~ 1647년)의 손자
    • 외조부 : 심광사(沈光泗, 1620년 ~ 1671년) - 종친부 전부를 지내고 이조참판에 추증됨, 이조판서 청송군 심액(靑松君 沈詻)의 차남, 청계부원군 심우승(靑溪府院君 沈友勝, 1551년 ~ 1602년)의 손자
  • 외증조부 : 심액(沈詻, 1571년 ~ 1654년) - 이조판서 · 판의금부사 · 청송군(靑松君)

관련[편집]

  •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시로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 서거 300주년을 기념하여 “공재 윤두서 서거 300년” 특별전을 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에서 창립 50주년을 맞은 광주MBC, 윤두서 집안의 본가인 해남 녹우당綠雨堂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특별전 <공재 윤두서>, 2014.10.21.~2015.01.18.)[5]

각주[편집]

  1.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 공재 윤두서 서거 300주년 기념 공재 윤두서(2014.10.21~2015.01.18.) 팜플렛
  2. “최초 천주교 순교자 윤지충과 정약용”. 오마이뉴스. 2007년 3월 19일. 2011년 9월 23일에 확인함. 
  3. “천주교 첫 순교자 尹持忠의 최후진술과 기적”. 해남윤씨 광주 종친회. 2004년 10월 21일. 2011년 9월 2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디지털 장서각] 1717년 윤덕렬(尹德烈) 등(等) 간찰(簡札)
  5. [특별전 <공재 윤두서>http://gwangju.museum.go.kr/sub3/sub2_view.do?s_seq=122&type=null&page=null Archived 2014년 12월 31일 - 웨이백 머신 국립광주박물관 홈페이지 http://gwangju.museum.go.kr/ Archived 2007년 12월 17일 - 웨이백 머신]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