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수 지방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헵타데칸산은 중요한 홀수 지방산이다.

홀수 지방산(영어: odd-number fatty acid)은 홀수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지방산이다. 포화 또는 불포화에 따라 분류되는 것 외에도 지방산은 구성 탄소 원자의 홀수 또는 짝수 정도에 따라 분류된다. 자연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대부분의 지방산들은 짝수 지방산(예: 팔미트산(C16), 스테아르산(C18))이다. 물리적 특성에서 홀수 지방산과 짝수 지방산은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무색이며, 알코올에 용해되고, 보통 다소 유성이다.[1] 홀수 지방산은 짝수 지방산과는 약간 다르게 생합성되고 대사된다. 일반적인 C12~C22인 긴사슬 지방산 외에도 일부 매우 긴사슬 지방산(VLCFA)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매우 긴사슬 지방산들 중 일부는 홀수 사슬의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2]

생합성[편집]

네르본산은 사람의 특정 장애에 대한 바이오마커 역할을 하는 단일불포화 홀수 지방산이다.

가장 일반적인 홀수 지방산은 포화된 C15 및 C17 유도체로, 각각 펜타데칸산헵타데칸산이다.[3] 짝수 지방산의 합성은 아세틸-CoA 전구체를 조립함으로써 수행된다. 전구체인 아세틸-CoA에서 2개의 탄소 단위가 사용되기 때문에 생성된 지방산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홀수 지방산에서는 아세틸-CoA 대신 프로피오닐-CoA가 지방산의 생합성을 위한 프라이머로 사용된다.[4]

물질대사[편집]

홀수 지방산의 산화에는 세 가지 추가적인 효소가 필요하다. 첫 번째는 프로피오닐-CoA 카복실화효소이다. 이 효소는 프로피오닐-CoA의 α-탄소를 카복실화하여 D-메틸말로닐-CoA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5] 다음으로 메틸말로닐-CoA 에피머화효소가 이성질화 반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카복실화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D-이성질체는 메틸말로닐-CoA의 L-이성질체로 변환된다. 이것은 최근에 발견된 효소로 1900년대 후반에 연구되었으며 첫 번째 출판은 1961년에 이루어졌다. 연구자들은 석시닐-CoA로 전환되기 전에 실제로 라세미 반응이 있었다고 결론지었다.[6] 마지막으로 비타민 B12(조효소 B12) 의존성 효소인 메틸말로닐-CoA 뮤테이스는 자유 라디칼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L-메틸말로닐-CoA를 석시닐-CoA로 전환시킨다. 석시닐-CoA는 시트르산 회로대사 중간생성물이며, 시트르산 회로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7]

생성[편집]

홀수 지방산은 특히 반추동물지방우유(예: 헵타데칸산)에서 발견된다. 일부 식물성 지방산도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으며, 식물엽록소에서 흡수된 피탄산은 여러 개의 메틸 분기점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피탄산은 3개의 홀수 단위인 3C 프로피오닐 단위와 3개의 짝수 단위인 2C 아세틸 단위 및 1개의 짝수 단위인 4C 아이소뷰티릴 단위로 분해된다. 사람의 경우 뷰티르산옥탄산과 극명하게 대조적으로 홀수의 짧은사슬 지방산인 프로피온산해당과정에 대한 억제 효과가 없으며 케톤체 생성을 자극하지 않는다.[8] 프로피오닐-CoA를 형성하는 홀수 지방산 및 가지사슬 지방산은 포도당신생합성을 위한 마이너 전구체 역할을 할 수 있다.[9][4]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mith, S. (1994). “The Animal Fatty Acid Synthase: One Gene, One Polypeptide, Seven Enzymes”. 《The FASEB Journal》 8 (15): 1248–1259. doi:10.1096/fasebj.8.15.8001737. PMID 8001737. S2CID 22853095. 
  2. Řezanka, Tomáš; Sigler, Karel (2009). “Odd-Numbered Very-Long-Chain Fatty Acids from the Microbial, Animal and Plant Kingdoms”. 《Progress in Lipid Research》 48 (3–4): 206–238. doi:10.1016/j.plipres.2009.03.003. PMID 19336244. 
  3. Pfeuffer, Maria; Jaudszus, Anke (2016). “Pentadecanoic and Heptadecanoic Acids: Multifaceted Odd-Chain Fatty Acids”. 《Advances in Nutrition》 7 (4): 730–734. doi:10.3945/an.115.011387. PMC 4942867. PMID 27422507. 
  4. Rodwell, Victor W.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31판. McGraw-Hill. 
  5. Wongkittichote P, Ah Mew N, Chapman KA (December 2017). “Propionyl-CoA carboxylase - A review”. 《Molecular Genetics and Metabolism》 122 (4): 145–152. doi:10.1016/j.ymgme.2017.10.002. PMC 5725275. PMID 29033250. 
  6. Mazumder R, Sasakawa T, Kaziro Y, Ochoa S (August 1961). “A new enzyme in the conversion of propionyl coenzyme A to succinyl coenzyme A”.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36 (8): PC53–5. doi:10.1016/S0021-9258(18)64092-X. PMID 13768681. 
  7. Mancia F, Evans PR (June 1998). “Conformational changes on substrate binding to methylmalonyl CoA mutase and new insights into the free radical mechanism”. 《Structure》 (London, England) 6 (6): 711–20. doi:10.1016/S0969-2126(98)00073-2. PMID 9655823. 
  8. Morand C, Besson C, Demigne C, Remesy C (March 1994). “Importance of the modulation of glycolysis in the control of lactate metabolism by fatty acids in isolated hepatocytes from fed rats”.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309 (2): 254–60. doi:10.1006/abbi.1994.1110. PMID 8135535. 
  9. Baynes, John; Dominiczak, Marek. 《Medical Biochemistry》 4판. Elsev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