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모듈러 형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에서 모듈러 형식복소해석학정수론에서 중요한 상반평면에 있는 특정 복소 해석 함수이다. 소수 를 법으로 환산하면 복소 모듈러 형식의 고전 이론과 모듈러 형식의 -진 이론에 대한 비슷한 이론이 있다.

법 2로 모듈러 형식 축소[편집]

법 2로 줄이기 위한 조건[편집]

모듈러 형식은 해석 함수이므로 푸리에 급수 표현을 갖는다. 모듈러 형식도 모듈러 군군 작용에 대한 함수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이 푸리에 급수는 항 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래서 만약 가 모듈러 형식이면 이 성립하는 계수들 이 있다. 모듈러 형식들 가운데 -급수의 계수가 모두 정수인 경우만 모은 모듈러 형식 공간의 부분 공간을 고려하자. 그러면 모든 계수를 법 2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법 2로 축소한 모듈러 형식을 제공한다.

법 2 모듈러 형식의 기저[편집]

모듈러 형식은 , 로 생성된다.[1] 그러면 , -급수의 계수가 모두 정수인 , 로 정규화 할 수 있다. 이것은 법 2로 축소될 수 있는 모듈러 형식들의 생성원이다. 밀러 기저에는 몇 가지 흥미로운 성질이 있다.[2] 일단 법 2를 줄이면, 는 그냥 이다. 즉, 자명한 축소이다. 자명하지 않은 축소를 얻기 위해 수학자들은 모듈러 판별식 을 사용한다. 이전에 "선험적인" 생성원으로 도입되었다. 따라서 모듈러 형식은 , , 의 다항식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위에서이지만, 축소를 위해 정수 를 통해 볼 수 있다.) 일단 법 2로 축소하면 위에서 의 다항식이 된다.

법 2 모듈러 판별식[편집]

모듈러 판별식은 무한 곱

으로 정의된다. 이 무한곱의 -급수 형태에서 계수는 일반적으로 라마누잔 타우 함수 에 해당한다. 콜베르그[3]와 장-피에르 세르[4]의 결과는 임을 보여준다. 즉, 2를 법으로 -급수는 홀수 제곱의 거듭제곱에.

법 2 헤케 연산자[편집]

헤케 연산자는 일반적으로 모듈러 형식에서 작동하는 가장 중요한 연산자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를 법 2로 줄이려는 시도는 정당하다.

모듈러 형식 의 헤케 연산자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5] 에 대해 .

헤케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급수 위에서 정의할 수 있다:[5] 이면, , 여기서

모듈러 형식이 -급수을 사용하여 축소되었기 때문에, -급수 정의를 채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합은 소수 헤케 연산자(즉, 이 소수일 때)이 많이 단순화 하기 때문에(더하는 항이 2개뿐이다.), 이는 법 2로 축소에 하기 아주 좋다. 더하는 항이 3개 이상인 경우 법 2로 많은 상쇄가 발생하며 과정의 유의미성이 의심될 수 있다. 따라서 법 2 헤케 연산자는 일반적으로 소수에 대해서만 정의한다.

-표현 을 가진 법 2 모듈러 형식 에 대해, 위의 헤케 연산자 로 정의된다. 여기서

법 2 헤케 연산자는 영인자를 가지고 있다는 흥미로운 성질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인자의 위수를 찾는 것은 장-피에르 세르와 장-루이 니콜라가 2012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해결한 문제이다.[6]

법 2 헤케 대수[편집]

헤케 대수는 법 2로 축소될 수도 있다. 그것은 위에서 법 2 헤케 연산자에 의해 생성된 대수로 정의된다.

[7]에서 세르와 니콜라의 표기법에 따라 , 즉 . 이도록로 쓰면서, 주어진 그리고 애 대해 -부분 대수로 정의한다.

즉, 만약 의 부분 선형 공간이면, .

마지막으로 헤케 대수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므로, 의 원소를 얻기 위해 의 원소를 로 제한할 수 있다. 사상 에 대한 제한으로 생각할 때, 는 준동형사상이다. 이 항등원 또는 0이므로 이다. 따라서 사슬 을 얻는다. 그런 다음 헤케 대수 일 때 위의 사영 극한으로 정의하자. 명시적으로 이것은을 의미한다.

헤케 대수 의 주요 성질은 이 대수가 의 급수로 생성된다는 것이다.[7] 즉, .

따라서 임의의 소수 에 대해, 이 성립하는 계수 를 찾을 수 있다.

참조[편집]

  1. Stein, William (2007). 《Modular Forms, a Computational Approach》.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Theorem 2.17. ISBN 978-0-8218-3960-7. 
  2. Stein, William (2007). 《Modular Forms, a Computational Approach》.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Lemma 2.20. ISBN 978-0-8218-3960-7. 
  3. Kolberg, O. (1962). “Congruences for Ramanujan's function ”. 《Årbok for Universitetet i Bergen Matematisk-naturvitenskapelig Serie》 (11). MR 0158873.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38) (도움말)
  4. Serre, Jean-Pierre (1973). 《A course in arithmetic》. Springer-Verlag, New York-Heidelberg. 96쪽. ISBN 978-1-4684-9884-4. 
  5. Serre, Jean-Pierre (1973). 《A course in arithmetic》. Springer-Verlag, New York-Heidelberg. 100쪽. ISBN 978-1-4684-9884-4. 
  6. Nicolas, Jean-Louis; Serre, Jean-Pierre (2012). “Formes modulaires modulo 2: l'ordre de nilpotence des opérateurs de Hecke”. 《Comptes Rendus Mathématique》 350 (7–8): 343–348. arXiv:1204.1036. Bibcode:2012arXiv1204.1036N. doi:10.1016/j.crma.2012.03.013. ISSN 1631-073X. 
  7. Nicolas, Jean-Louis; Serre, Jean-Pierre (2012). “Formes modulaires modulo 2: structure de l'algèbre de Hecke”. 《Comptes Rendus Mathématique》 350 (9–10): 449–454. arXiv:1204.1039. Bibcode:2012arXiv1204.1039N. doi:10.1016/j.crma.2012.03.019. ISSN 1631-07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