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songe/작업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기는 자유롭게 위키백과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연습장입니다! 이 연습장도 위키백과의 한 부분이므로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다른 사람을 비방하는 내용은 적지 말아 주세요.

  1. 첫 편집이시면 소개를, 더 자세한 도움말을 보려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읽어 보세요.
  2. 편집을 하실 때 {{연습장 안내문}}은 삭제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3. 연습장에 연습한 내용은 일정 주기마다 봇에 의해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번역 등 지속적인 작업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홍길동/작업장 같은 식으로 하위 문서를 만들어 쓰시는 게 좋습니다.
  4. 토론을 연습하시려면 위키백과토론:연습장을, 틀 사용에 대한 연습은 틀:틀 연습장을 이용해 주세요.
  5. 연습장 자체에 대한 토론은 위키백과토론:연습장/토론에서 해 주세요.
  6. 연습장에 대한 설명은 위키백과:연습장이란을 참조해 주세요.
새 연습 시작하기

황병학[편집]

황병학(黃柄學, 1876년~1931년[1])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자금 모금책으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이다. 전라남도 광양 출신이며, 본관은 창원, 호는 영문(英文)이다.

생애와 활동[편집]

1905년 황병학은 황사중(黃士中), 한성순(韓性純), 고견(高堅)과 같이'을사 조약'에 대항하고자 의병 조직을 결심한다.[2]

백운산 의병활동[편집]

1908년 포수 100명을 모아 의병을 일으켜 백운산을 중심으로 활동했다.[3] 황병학 의병부대의 첫 전투는 진월면 망덕만(望德灣)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에 대한 기습공격이다. 당시, 망덕만(望德灣)은 일본인의 수탈 전진기지였다. 황병학 의병부대는 1908년 음력 8월 5일(양력 9월 1일) 새벽 3시, 150명의 의병들이 망덕만(望德灣)을 기습해 6척의 일본인 선박과 여섯 채의 일본인 주택을 불태우고 일본인이 소유하고 있던 10정의 양총을 확보했다.[4] 1909년 음력 1월 광양헌병분견소 기습작전을 펼친다. 당시 일본군은 황병학 의병부대 토벌을 위해 헌병분견소를 설치, 운영 중이었다[5]. 황병학은 광양에 위치한 헌병분견소를 공격해 총기 10정을 빼앗았다.[6]

묘도해상전[편집]

1909년7월 19일 일본군의 압력으로 의병 본거지 백운산에서의 활동이 어려워진 의병부대는 본진을 여수의 묘도로 옮기기로 한다[7]. 250여명의 의병 중 의병부대원은 100여명에 불과했다. 황병학 의병부대의 이동 계획은 일본군에게 발각되었고 해상 전투를 치른다. 이 전투에서 의병 절반 이상 되는 등 큰 타격을 입는다. 1909년 9월부터 일본군이 영남호남지방의 의병활동을 제재하고자 ‘남한대토벌작전’을 전개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황병학은 의병을 해산하고 신분을 숨기며 살아간다.

임시정부 활동[편집]

1918년 전라남도 고흥출신 독립운동가 기산도(奇山度)와 함께 ‘임시정부국민대회 전라도의무금모집단’을 조직[8]한다. 이들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상해 임시정부 활동자금을 모아서 보내는 임무를 수행했다. 1919년 황병학은 삼일운동을 계기로 다시 독립운동에 적극 나선다. 그 뒤 기산도와 함께 평안도까지 가는 도중 기산도만 일본경찰에 체포된다. 황병학은 만주지방으로 망명한 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독립운동을 하게 된다[9].

말년과 최후[편집]

1923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특사로 군자금 확보를 위해 조선에 잠입하던 중 신의주에서 일본경찰에 체포된다. 평양형무소에서 4년 간 감옥생활을 한 뒤 1927년 고향인 비촌으로 돌아온다. 이후 고문 후유증으로 건강이 악화되었고 1931년 4월 23일 56세의 나이로 사망한다[10].

사후[편집]

각주[편집]

틀:각주 목록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고 국운이 기울어져 감을 통분, 황사중(黃士中)·한성순(韓性純)·고견(高堅) 등과 협의,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심하였다."
  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제1권] 의병항쟁사》. 399쪽. 
  4. http://www.gym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8879
  5. "황병학 의병부대의 기습 공격으로 망덕항 일본어민과 일본인들이 큰 피해를 입자 일본군은 곧바로 광양에 헌병분견소를 설치하고 황병학 의병부대 토벌에 나섰다."
  6. https://news.joins.com/article/3625549
  7. "황병학 의병장은 해산을 거부하는 의병들을 이끌고 여수의 묘도로 잠적하여 재기를 도모할 계획이었으나, 일본 군경에 발각되어 치열한 전투 끝에 많은 의병들이 희생당하였다."
  8. http://www.gym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8879
  9. "일경의 탄압으로 기산도는 체포되고 황병학은 국내활동이 더는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만주 망명길에 올랐다."
  10. "평양형무소에서 4년의 감옥살이를 하고 1927년 출옥하여 모진 고문의 여독으로 1931년 4월 23일 영면한다."
  11. "일생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황병학 의병장의 뜻을 기려 정부에서는 지난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을 추서하고, 1977년에는 진상면 비촌리에 있던 선생의 묘소를 동작동 국립묘지로 이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