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Miller Wi/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역사[편집]

옛날 인간은 더위를 식히기 위한 수단으로 나뭇잎으로 만든 부채를 사용했다. 그 다음은 새의 깃털로 제대로 된 모양을 갖춘 부채를 만들기 시작했고 지금도 태국, 미얀마 등지에서 소철이나 파초잎, 바나나잎을 말려서 부채로 사용하고 있다. [1] 한자로 부채를 뜻하는 '부채 선(扇)' 자는 문짝을 뜻하는 '지게 호(戶)' 자에 '깃 우(羽)'자를 합친 회의 문자로, 문짝이 문의 양쪽에 있어 새의 날개처럼 열림을 나타낸다. [2]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부채자루는 투탕카멘피라미드 속에서 발견된 황금 깃털부채자루로 이는 타조의 깃털을 꽂아 만든 것이다. [1]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옻칠 부채자루는 경남 의창군 다호리에서 출토된 깃털 부채자루로 이는 2000년 전의 원삼국시대의 것이다. [1] 또한 1800년 전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깃털부채를 들고 있는 인물상이 발견되는가 하면 「삼국사기」에는 고려 태조 왕건이 즉위하자 후백제견훤이 축하의 뜻으로 공작깃털로 만든 공작선(孔雀扇)을 선물하였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1] 이 같은 깃털 부채는 역사도 깊고 바람도 쉽게 나는 장점이 있지만 오래 쓰면 부스러지고 먼지가 날 뿐 아니라 냄새가 좋지 않아 비위생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때문에 삼베나 모시, 명주 등 천을 재료로 한 부채를 만들어 사용하다가 한지(韓紙)의 발명과 함께 우리가 아는 부채로 발전되기 시작했다. [1]

고려시대 때 세계 최초로 접었다 폈다 하는 부채를 의미하는 접선(摺扇)을 발명해서 사용한 사실은 당시 고려의 부채 제작 수준이 최고였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사신을 따라 고려에 왔던 송나라 문신 서긍[3](徐兢)은 고려의 여러 풍물을 보고 돌아가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이란 책을 지었는데, 거기에다 '고려인은 한겨울에도 부채를 들고 다니는데, 접었다 폈다 하는 신기한 부채를 들고 다닌다.'고 적어놓기도 했다. [1] 뿐만아니라 그 후로 고려에 온 중국 사신들은 접부채(동의어: 쥘부채)를 얻어가면 귀한 보물로 여겼으며, 나중에 이를 모방하여 부채를 만들기도 하였는데 그 부채를 가리켜 '고려선(高麗扇)'이라 불렀다. [4] 고려 때 부채 기술이 우수했던 것은 닥나무 한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지는 질기고 가벼우며 수명이 오래가는 특성을 가져 부채 종이로 쓰임이 적합했으며 대나무 또한 견고하고 잘 쪼개지는 특성으로 부채살을 만들기에 적합했다. 손잡이의 나무 역시 뚜렷한 사계절의 영향으로 미려한 무늬가 남겨져 있어 그 품질이 우수했다. 이 같은 우수한 재질 덕분에 고려선은 일본, 중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1]

  1. 금복현, 전통 부채의 멋 (1996). 《숲과 문화 총서》. 숲과 문화 연구회. 
  2. “네이버 한자사전”. 
  3. “네이버 한자사전”. 
  4. 최남선 (1943). 《고사통(故事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