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Dolicom/과학/인체과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 내용은 위키백과의 정리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단순 복사하여 만들어진 내용 입니다.

인체과학에 대한 고찰.

뇌의 구조와 기능[편집]

Human brain in the coronal orientation. Amygdalae are shown in dark red.


편도체[편집]

  • 본능적 공포
동물의 편도체를 파괴하면 본능적인 공격성, 두려움등이 사라지기 때문에 의 편도체를 파괴할 경우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야생 스라소니의 편도체를 파괴하면 매우 얌전해진다. 사람의 편도체가 손상될 경우 지능은 정상이지만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거나 공격적이게 된다.[출처 필요]
  • 공포 기억
편도체는 공포에 대한 기억에 관여한다. 공포 기억에 대한 연구는 주로 공포 조건화를 이용한다. 흰쥐나 토끼와 같은 실험 동물에게 특정한 소리를 전기적 충격과 함께 반복해서 들려 준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 그 특정 소리만 들려 주어도 강한 공포 반응을 보인다. 그런데 이 동물의 편도를 제거하면 더 이상 특정 소리에 대해 공포 반응을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조셉 르두(Joseph E. LeDoux)는 학습된 두려움에 대한 기억이 편도의 중심핵으로부터 시상하부를 통해 자율신경계를 자극하거나, 뇌간을 통해 행동적 거부 반응을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 불안증
편도체의 외측기저핵 신경세포의 활성에 의해 불안증이 조절된다는 보고가 있다. 예를 들어 흰쥐의 외측기저핵을 전기적인 자극으로 파괴하거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 수용체에 대한 억제제를 처리하면 불안증은 강화된다.[1][2] 반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AMPA나 NMDA에 대한 수용체의 억제제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 수용체에 대한 작용제를 처리하면 불안증은 감소한다.[3][4][5][6][7]


인지과학[편집]

출처 : 인지과학

뇌 이미징 (Brain imaging)[편집]

사람 두뇌에 대한 이미지. 화살표는 시상하부의 위치를 나타냄.

뇌 이미징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두뇌 안에서의 활동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행동과 뇌의 기능을 연계시킬 수 있고,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 지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뇌 이미징은 종종 인지신경과학에서 사용된다.

  • 단일광자방출단층활영(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PECT와 PET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사용하는 데 대상자의 혈류에 주입된 방사선 동위원소가 뇌로 유입되면 뇌의 어떤 영역에 방사선 동위원소가 있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뇌의 특정 영역이 다른 영역 보다 활성화되는 지를 볼 수 있다. PET는 fMRI와 비슷한 공간 해상도를 지니지만 시간 해상도가 너무 약하다. (시간 해상도는 움직이는 동영상에서 각 영상 프레임의 시간 간격을 의미하는데, 그 해상도가 약하다는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영상을 보여줄 수 없다는 것이다.)
  •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는 대상자의 두피에 여러 개의 전극을 부착해서 대뇌피질의 대규모 뉴런들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기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시간해상도는 매우 좋으나 상대적으로 공간해상도가 약하다.
  • 기능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는 뇌의 다른 부위로 유입되는 산화 혈액의 상대적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특정한 영역에서 산화된 혈액이 더 많다는 것은 뇌의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신경 활동의 증가와 관련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뇌의 여러 다른 영역에서 특정 기능에 해당되는 부분을 찾을 수 있다. fMRI는 중간 수준의 공간 해상도 및 시간 해상도를 지닌다..
  • 광학촬상(Optical imaging). 이 기법은 적외선 송출기와 수신기를 활용해서 뇌의 여러 영역 인근 혈액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혈액은 산소의 함유 또는 제거에 따라서 다른 양의 빛을 반사하는 데, 이를 통해서 어떤 영역이 더 활성화 (즉, 산소를 함유한 혈액이 더 많음)되는 지를 알 수 있다. 광학촬상은 중간 수준의 시간 해상도를 지니지만 공간해상도는 매우 약하다. 하지만, 인체에 전혀 무해하기 때문에 신생아 뇌 연구에도 사용될 수 있다..
  • 뇌자기도(Magnetoencephalography). MEG는 대뇌피질의 활동에 따른 자기장을 측정한다. 이는 EEG와 유사하지만,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거나 두피, 뇌막 등에 의해 약화되지 않아 공간 해상도가 더 좋다. MEG는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를 사용하여 사소한 자기장도 감지한다

계산 모형(Computational modeling)[편집]

두 계층으로 구성된 신경망.

계산 모형은 어떤 문제를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형태로 표현한다. 컴퓨터 모델을 사용하여 지능의 여러 특정한 속성과 일반적인 속성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실험적인 규명을 수행한다. 계산 모형을 통해서 우리는 특정한 인지 현상의 기능적 조직을 이해할 수 있는 데, 인지 모형에 대해서는 두 가지 기본적인 접근이 있다. 첫 번째는, 지능의 추상화된 정신적 기능들에 중점을 두는 데 기호를 활용한다. 그리고 두 번째는, 소위 하위기호(subsymbolic)이라고 하는, 두뇌 신경의 연합적 속성들을 따른다.

  • 기호 모형(Symbolic modeling)은 지식 기반 시스템의 기술들을 사용하는 컴퓨터 과학의 전형적인 예에서 발전된 것으로, 또한 "Good Old-Fashioned Artificial Intelligence" (GOFAI)와 같은 철학적 관점에서도 기인하였다. 인지 연구자들이 최초로 개발하였고 나중에 전문가 시스템을 위한 정보 공학에 사용되었다. 1990년대 초반, “personoids”와 같이 사람과 유사한 기능적 인지 모형 탐구를 위하여, “systemics”로 일반화되었고, 동시에 SOAR 환경으로 개발되었다. 최근에, 특히 인지적 의사 결정의 맥락에서, 기호 인지 모형은 사회와 조직의 인지를 포함한 사회적 인지 접근 (socio-cognitive approach)으로 확대되었다.
  • 하위기호 모형은 연결주의 모형/신경망 모형을 포함하는 데, 연결주의에 따르면 정신/뇌는 단순한 노드로 구성되어 있고 그 단순 노드들 간의 연결 여부와 그 방식에 따라 시스템으로서의 능력이 표출된다는 것이다 신경망은 이러한 접근의 교과서적인 구현이다. 이러한 모형이 생물학적 현실에 대하여 시스템적 작동으로 표현할 수는 있으나, 비록 단순한 방식의 연결이더라도 연결들의 복합적 구성 체계는 너무 복잡하여 모형 자체를 쉽게 설명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인기를 얻고 있는 다른 접근들은 동적 시스템 이론 (dynamical systems theory)과 또한 기호 모형과 연결주의 모형을 서로 부합시키는 기법 (신경 기호 통합)이다. 종종 기계학습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 베이지안 모형 (Baysian models) 또한 인기를 끌고 있다. 위의 모든 접근은, 인조/추상 지능의 통합적 계산 모형 형태로 일반화 되어가는 데, 개인 그리고 사회/조직적 의사결정과 추론 과정을 설명하고 향상시키는 데 적용된다.

신경생물학 방법(Neurobiological methods)[편집]

신경과학신경심리학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차용된 연구 방법을 통해서 지능의 여러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지능적 행동이 물리적 시스템에 어떻게 구현되는 지를 알 수 있다.

  • 단일 단위 기록 (Single-unit recording)
  • 직접적 두뇌 (시뮬레이션 Direct brain stimulation)
  • 동물 모형 (Animal models)
  • 사후 연구 (Postmortem studies)

신경 세포의 동작과 모델[편집]

수지상 조직 검출기
수지상 조직 일치 검출기

검출기의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은 피라미드의 꼭대기 돌기과 기울어 해마 신경 세포에서 일치합니다.

왼쪽:

빔의 혀끝의 영역에 특정 흥분성 입력 펄스의 영수증의 색상 표현은 혀끝의 수상 돌기를 닫고 만료에 활동 전위를 생성합니다.소마에서 가까울 입력 펄스는 약한 수지상 있지만 선단 (상단)에 대한 입력 빔의 강한 기세에 기인 수지상 스파이크를 촉진한다.

오른쪽:

  1. 위: 시간에서 나무의 세 곳에서 수상 돌기에 의존 가능성 (- 메기, 녹색 - 검정 혀끝의 수상 돌기, 빨간색 - 혀끝의 술); 이 장소는 신경 세포의 모델에 색 점으로 표시되는 경우 빨간색 - 천공기 경로와 녹색 - kolateral 섀퍼;

  2. 아래: 빔의 선단 단부에 메인 혀끝 수지상 따라 방법의 소마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일정 피크 전압 (블랙).적색 선은 시뮬레이션, 거리에서 동시에 전압 변화의 단부에서의 전압 레벨을 나타낸다.

수지상 스파이크 강한 여기 펄스에 있으며, perforant 경로에 의해 발생했지만, 소마 그들의 확산 흥미로운 샤퍼 펄스의 담보를 강화 하였다.후자의 부재 하에서, 빔의 꼭대기 수지상 스파이크 소마에 도달 할 수 있고, 활동 전위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작은 펄스 담보은 심지어 축삭과 소마의 활동 전위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소마 이러한 수지상 스파이크의 증진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분히 할 수있다.[8]

수지상 통합의 유형:
А. 수지상 통합의 첫 번째 모델 중 하나입니다. Klasteron - 한정 일반화 임계 선형 2 차 유닛 각각의 흥분성 시냅스 입력의 영향은 다른 이웃 시냅스의 활성에 의존하는은 (활성 입력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Hebba klasterona 훈련의 유형은 시냅스가 종종 soaktiviruyutsya 안정해야한다 그들의 이웃 시냅스와 그렇지 않으면이 불안정하게되어 있으며 새로운 수지상 장소에 다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9]
B. 거의 즉시 대 수지상 계산의 통합적인 방법. 왼쪽: 거의 즉각적인 처리 입력 신호, 소마로 합 신호 만 다른 수지상 소단위 결과 현재의 입력 신호의 레벨에 의존한다. 이 고전적인 신경망 수지상 신호가 제 전역 합산 그래야만 뉴런 스파이크의 주파수를 결정 비선형 통과되는 것을 시사한다. 오른쪽 : 그 신호 전에 로컬 비선형 동작을 수행하는 수지상 소단위가 소마로 요약되는 사실에 기초하여 덴 드라이트의 현대 개념.
C. Dvuhsloynaya 모델 신경 세포 [10] (CM. 텍스트).

신경세포 뉴런(neuron)[편집]

비둘기 소뇌의 신경 세포의 그림, 1899년 스페인 뇌과학자 Santiago Ramón y Cajal. (A) Purkinje cells, (B) 과립 세포(granule cells), 양쪽에 다극형.

신경 세포(neuron)는 신경계를 구성하는 주된 세포로, 나트륨/칼륨 통로 등의 이온 통로를 통해 전기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신경세포와 시냅스라는 구조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두뇌에는 대뇌피질에만 약 100억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noframe
noframe
noframe noframe

뇌 회로망의 구성 상, 각각의 신경 세포는 다른 신경 세포와 연결되어 정신세계가 동작한다.

신경 세포 조직
noframe
noframe
noframe
noframe

신경 회로망과 시냅스[편집]

정신이 작동하려면 여러개의 신경 세포가 연합하여 작동해야 한다. 특정 입력이 들어오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입력 자극에 의해 각각의 신경 세포가 자극을 받아 연결된 세포에 자극을 전달한다.

시냅스(synapse)는 인접한 두 신경 세포가 연접되면서 각각의 가지가 복합적으로 망을 구성한다.


세포체(cell body)의 신호는 축삭을 통해 다음 셀로 전달된다.
신경 세포 회로망
SMI32-stained pyramidal neurons in cerebral cortex.
Cajal의 법칙에 따라 성장한 합성된 수상 돌기의 피라미드 숲.

신경회로망과 신경 신호 전달 및 자극[편집]

집단적 자극 형성의 메커니즘 개략도. 청색 깜박 신경 신호를 생성하는 순간을 나타낸다(활동 전위).


해부학적 구조[편집]

뉴런


  • The dendrites of a neuron are cellular extensions with many branches. This overall shape and structure is referred to metaphorically as a dendritic tree. This is where the majority of input to the neuron occurs via the dendritic spine.
  • 신경 세포의 수상 돌기가 많은 지사를 가지고있는 세포의 확장이다. 이것은 전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수지상 트리 은유 칭한다. 뉴런에 대한 입력의 대부분 [돌기 척추]을 통해 발생하는 곳이다.
  • The axon is a finer, cable-like projection that can extend tens, hundreds, or even tens of thousands of times the diameter of the soma in length. The axon carries nerve signals away from the soma (and also carries some types of information back to it). Many neurons have only one axon, but this axon may—and usually will—undergo extensive branching, enabling communication with many target cells. The part of the axon where it emerges from the soma is called the axon hillock. Besides being an anatomical structure, the axon hillock is also the part of the neuron that has the greatest density of voltage-dependent sodium channels. This makes it the most easily excited part of the neuron and the spike initiation zone for the axon: in electrophysiological terms it has the most negative action potential threshold. While the axon and axon hillock are generally involved in information outflow, this region can also receive input from other neurons.
  • 축삭은 수십, 수백, 심지어 수만 수천 배의 길이 소마의 직경을 확장 할 수 있습니다 미세한, 케이블 등의 투사이다. 축삭은 [[신경 신호가] 소마에서 멀리 s의 수행 (그리고 또한 다시 정보의 일부 유형을 수행한다). 많은 뉴런은 단지 하나의 엑손을 가지고 있지만,이 축삭 및 통상, 많은 표적 세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광범위한 분지-을 받게 될 것이다. 이 소마에서 나온다 축삭의 부분은 [[축삭 소구]라고합니다. 해부학 적 구조되고 게다가, 축삭 둔덕은 전압 - 의존성 나트륨 채널의 가장 큰 밀도가 신경 세포의 일부입니다. 이는 뉴런과 축삭 용 스파이크 개시 존 쉽게 흥분하게 부 : 전기 생리 학적 관점에서 가장 마이너스의 활동 전위 임계치를 갖는다. 축삭과 축삭 둔덕은 일반적으로 정보 유출에 관여하고 있지만,이 지역은 다른 신경 세포로부터 입력을받을 수 있습니다.
  • The axon terminal contains synapses, specialized structures where neurotransmitter chemicals are released to communicate with target neurons.
  • [[축삭 터미널] 시냅스, [[신경 전달 물질이] 화학 물질이 대상 뉴런과 통신하기 위해 배포 된 전문 구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canonical view of the neuron attributes dedicated functions to its various anatomical components; however dendrites and axons often act in ways contrary to their so-called main function.

신경 세포의 표준보기는 다양한 해부학 적 구성 요소에 전용 기능을 속성; 그러나 수상 돌기 및 축삭은 종종 소위 주요 기능에 반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Axons and dendrit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re typically only about one micrometer thick, while some i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are much thicker. The soma is usually about 10–25 micrometers in diameter and often is not much larger than the cell nucleus it contains. The longest axon of a human motor neuron can be over a meter long, reaching from the base of the spine to the toes.

말초 신경계에서 약간 더 두껍다 동안 중추 신경계에서 축삭 및 수상 돌기는 일반적으로 단지 약 하나의 마이크로 미터 두께이다. 소마 통상 직경이 약 10-25 미크론이며, 종종 포함 세포핵보다 훨씬 큰 아니다. 인간의 운동 신경의 긴 축삭은 발가락에 척추의 기지에서 도달, 긴 미터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Sensory neurons can have axons that run from the toes to the posterior column of the spinal cord, over 1.5 meters in adults. Giraffes have single axons several meters in length running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ir necks. Much of what is known about axonal function comes from studying the squid giant axon, an ideal experimental preparat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immense size (0.5–1 millimeters thick, several centimeters long).

감각 신경 세포는 성인의 1.5 미터 이상 척수의 후방 칼럼에 발가락에서 실행 축삭을 가질 수 있습니다. [기린]]의 단일 축삭에게 그들의 목의 전체 길이를 따라 길이를 실행에 수 미터가 있습니다. 공부에서 오는 어떤 축삭 기능에 대해 알려진 대부분 오징어 거대한 축삭을, 때문에 상대적으로 거대한 크기 (길이 0.5 밀리미터 두께, 몇 센티미터)의 이상적인 실험 준비.

세포체[편집]

세포체 (soma, cell body)는 신경세포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세포과 세포소기관들이 있다.

가지돌기[편집]

가지돌기 (dendrite)는 수많은 가지로 뻗어나가 있으며, 주로 신경세포가 신호를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가지돌기또는 수상돌기는 신경세포(뉴런)에서 뻗어나온 나뭇가지 모양의 짧은 돌기이다. 가지돌기는 다른 신경세포에서 보내는 전기화학 신호를 받아들여 신경세포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11] 이전 뉴런의 전기 신호는 시냅스를 통해 가지돌기의 말단으로 전달된다. 이때 가지돌기는 활동전위보다 강한 신호만 신경세포체로 전달한다. 최근의 연구결과 가지돌기도 활동 전위 이상의 자극이 주어졌을때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발혀졌다.(이전엔 축삭돌기만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졌었다.)

수지상 세포도 가지돌기와 유사하게 생긴 나뭇가지 모양의 돌출부가 있지만, 전기신호의 전달과는 무관하다.

축삭 (축삭돌기, 軸索突起)[편집]

축삭(axon)은 세포체로부터 아주 길게 뻗어나가는 부분으로 가지돌기와 세포체를 거쳐 전달된 신호를 다른 신경세포나 세포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세포체로부터 축삭이 시작되는 부분인 축삭둔덕 (axon hillock)에는 전압 개폐 나트륨 통로가 다량 분포하여 전달된 신호에 의해 활동전위를 발생시켜 축삭을 통해 전달한다.

축삭돌기신경 세포(뉴런)의 세포체에서 길게 뻗어나온 가지이다. 활동전위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축삭, 축색돌기, 축색이라고도 한다.

축삭은 뉴런의 세포체에서 뻗어나온 원형질의 긴 돌출부이며, 가지돌기는 짧은 돌출부이다. 축삭은 가지돌기와 여러 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먼저, 모양이 다르다. 축삭은 일정한 두께로 뻗어가는데 비해, 가지돌기는 뻗어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길이 면에서도 축삭돌기가 가지돌기보다 훨씬 길며, 가지돌기는 전기 신호를 받아들이는데 비해 축삭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등 수행하는 역할도 다르다. 물론 이러한 규칙에 약간 예외되는 경우도 있긴 있다.

어떤 신경세포(뉴런)들은 축삭이 없다. 이러한 신경세포를 무축삭세포(en:amacrine cell)라 하며, 이 경우엔 가지돌기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어떤 신경세포도 두 개 이상의 축삭을 가지지는 않는다.

축삭은 다른 신경세포들과 연결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근육세포나 분비세포와 연결되기도 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냅스라고 하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시냅스에서는 축삭의 세포막이 목표 세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틈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해주는 분자들이 존재한다.

해부학적 구조[편집]

축삭은 신경계의 가장 중요한 신경 전달 통로이며, 축삭이 다발로 모여 신경을 구성한다. 일반적인 축삭의 지름은 1μm정도이지만, 길이는 수십cm에 이르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인체에서 가장 긴 축삭을 가진 신경세포인 좌골신경척추의 끝에서 시작하여 양 발의 엄지발가락까지 이어지며, 좌골신경을 구성하는 신경세포의 축삭은 1m 이상의 길이로 자랄 수 있다.[12]


연접(시냅스,synapse)[편집]

시냅스(synapse)는 인접한 두 신경 세포가 연접하면서 만드는 구조이다.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된 신호는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적 신호로 바뀌어 시냅스를 통과한다. 시냅스를 기준으로 신호를 주는 신경 세포를 시냅스 전 신경 세포(presynaptic neuron), 신호를 받는 신경 세포를 시냅스 후 신경 세포(postsynaptic neuron)라고 한다. 한 신경세포가 만들어내는 시냅스는 대략 1000여개 이상으로 신경 세포의 신경말을 이루는데 근간이 되며, 시냅스 신호전달의 강화 현상은 학습기억의 기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시냅스


시냅스
일반적인 화학적 시냅스의 구조

연접(連接, synapse 시냅스[*])이란 한 뉴런에서 다른 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지점이다. "시냅스"(synapse)라는 단어는 찰스 셰링턴이 만든 합성어 "synaptein"에서 온 것이다. "synaptein"는 그리스어 "syn-"(함께)과 "haptein"(결합하다)의 합성어이다. 신경접합부라고도 한다.

연접은 뉴런이 작동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뉴런이 신호를 각각의 표적 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면, 연접은 뉴런이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연접전 뉴런의 세포막과 연접후 뉴런의 세포막은 가까이에 존재하는데, 연접에서 연접전 신경세포와 연접후 신경세포의 두 세포막을 연결시켜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분자적 집합체가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연접에서는 연접전 신경세포의 축삭 부분과 연접후 신경세포의 가지돌기가 만난다.[13]

연접은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구분한다.

  • 화학적 연접 - 연접전 신경세포가 신경전달물질이라는 일종의 화학 물질을 분비하여 신경전달물질이 연접후 신경세포의 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 전기적 연접 - 연접전 신경세포와 연접후 신경세포의 세포막이 전류를 통과시키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연접전 신경세포의 전기 신호가 연접후 신경세포로 직접 전달된다.

연접은 신경전달의 효율성을 최대한 키우기 위해 끊임없이 소멸, 생성되고 커지거나 작아지는 등의 변화를 겪는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가지돌기[편집]

  • Ricki Lewis 외,《LIFE》,6th Ed.,Mc Graw Hill(2009)
  • Campbel et al, 《Biology》,8th Ed., Pearson(2008)

인지과학 바깥고리[편집]

각주[편집]

  1. Saldivar-Gonzalez JA, Posadas-Andrews A, Rodriguez R, Gomez C, Hernandez-Manjarrez ME, Ortiz-Leon S, Martinez-Pineda A, Ortiz-León S, Martínez-Pineda A, Gómez-Laguna D, Salgado V, Manjarrez J, Alvarado R. Life Sci. 2003.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baso-lateral amygdala nucleus on defensive burying shock probe test and elevated plus maze in rats. vol. 72(7). pp819-829.
  2. Sanders SK, Shekhar A. Pharmacol. Biochem. Behav. 1995. Regulation of anxiety by GABAA receptor in the rat amygdala. vol. 52. pp701-706.
  3. Miserendino MJD, Sananes CB, Melia KR, Davis M. Nature. 1990. Blocking of acquisition but not expression of conditioned fear potentiated startle by NMDA antagonists in the amygdala. vol. 345. pp716-718.
  4. Kim M, McGaugh JL. Brain Res. 1992. Effects of intra-amygdala injections of NMDA antagonists on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inhibitory avoidance. vol. 585. pp35-48.
  5. Kim M, Campeau S, Falls WA, Davia M. Behav. Neurol. Biol. 1993. Infusion of the non-NMDA receptor antagonist CNQX into the amygdala blocks the expression of fear-potentiated startle. vol. 59. pp5-8.
  6. Bueno CH, Zangrossi Jr. H, Viana MB. Braz. J. Med. Biol. Res. 2005. The inactivation of the basolateral nucleus of the rat amgydala has an anxiolytic effect in the elevated T-maze and light/dark transition tests. vol. 38. pp1697-1701.
  7. Sajdyk TJ, Shekar A. Brain Res. 1997. Excitatory amino acid receptors in the basolateral amygdala regulate anxiety responses in the social interaction test. vol. 764. pp262-264.
  8.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Jarsky 2005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9. Mel, BW. (1992). 〈The clusteron: toward a simple abstraction for a complex neuron.〉. Moody J. , Hanson S. , & R. Lippman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Morgan Kaufmann Publishers. 35–42.쪽. ISBN 9781558602229. 
  10. Poirazi Panayiota and Mel Bartlett W. (2001). “Impact of Active Dendrites and Structural Plasticity on the Memory Capacity of Neural Tissue”. 《Neuron》 29 (3): 779–796. doi:10.1016/S0896-6273(01)00252-5. ISSN 0896-6273. 
  11. Ricki Lewis 외,《LIFE》,6th Ed.,Mc Graw Hill(2009) 345-346p, 2010년 10월 4일 확인.
  12. DNA From The Beginning, section 6: Genes are real things., "Amination" section, final slide
  13. Ricki Lewis 외,《LIFE》,6th Ed.,Mc Graw Hill(2009) 418p, 2010년 11월 8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