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토페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LR0725 (토론 | 기여)
24번째 줄: 24번째 줄:


락토페린은 철과 결합하여 불그스름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철에 대한 락토페린의 친화성은 트랜스페린보다 300배 더 크다.<ref name="pmid6770907">{{Cite journal |vauthors=Mazurier J, Spik G |date=May 1980 |title=Comparative study of the iron-binding properties of human transferrins. I. Complete and sequential iron saturation and desaturation of the lactotransferrin |journal=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volume=629 |issue=2 |pages=399–408 |doi=10.1016/0304-4165(80)90112-9 |pmid=6770907}}</ref> 약산성 용액에서는 친화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염증]]이 생기면 [[젖산]]과 다른 산들이 축적되어 조직의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가 감소하면서 철 이온이 트렌스페린에서 락토페린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한다.<ref name="Sousa">{{Cite book |title=Iron in immunity, cancer, and inflammation |vauthors=Broc JH, De Sousa M |publisher=Wiley |year=1989 |isbn=978-0-471-92150-9 |location=New York}}</ref> [[모유]]의 락토페린에서 포화 철 농도는 10-30%로 추정된다. (100%는 모든 락토페린 분자가 2개의 철 원자와 결합한 상태를 뜻한다.) 락토페린은 철, 아연, 구리의 이동뿐만 아니라 이들의 섭취를 조절하는 데에도 관여한다.<ref name="pmid1581301">{{Cite journal |vauthors=Shongwe MS, Smith CA, Ainscough EW, Baker HM, Brodie AM, Baker EN |date=May 1992 |title=Anion binding by human lactoferrin: results from crystallographic and physicochemical studies |journal=Biochemistry |volume=31 |issue=18 |pages=4451–8 |doi=10.1021/bi00133a010 |pmid=1581301}}</ref> 아연과 구리 이온이 적게 존재할 때는 락토페린의 철 결합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높여 주기도 한다.
락토페린은 철과 결합하여 불그스름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철에 대한 락토페린의 친화성은 트랜스페린보다 300배 더 크다.<ref name="pmid6770907">{{Cite journal |vauthors=Mazurier J, Spik G |date=May 1980 |title=Comparative study of the iron-binding properties of human transferrins. I. Complete and sequential iron saturation and desaturation of the lactotransferrin |journal=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volume=629 |issue=2 |pages=399–408 |doi=10.1016/0304-4165(80)90112-9 |pmid=6770907}}</ref> 약산성 용액에서는 친화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염증]]이 생기면 [[젖산]]과 다른 산들이 축적되어 조직의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가 감소하면서 철 이온이 트렌스페린에서 락토페린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한다.<ref name="Sousa">{{Cite book |title=Iron in immunity, cancer, and inflammation |vauthors=Broc JH, De Sousa M |publisher=Wiley |year=1989 |isbn=978-0-471-92150-9 |location=New York}}</ref> [[모유]]의 락토페린에서 포화 철 농도는 10-30%로 추정된다. (100%는 모든 락토페린 분자가 2개의 철 원자와 결합한 상태를 뜻한다.) 락토페린은 철, 아연, 구리의 이동뿐만 아니라 이들의 섭취를 조절하는 데에도 관여한다.<ref name="pmid1581301">{{Cite journal |vauthors=Shongwe MS, Smith CA, Ainscough EW, Baker HM, Brodie AM, Baker EN |date=May 1992 |title=Anion binding by human lactoferrin: results from crystallographic and physicochemical studies |journal=Biochemistry |volume=31 |issue=18 |pages=4451–8 |doi=10.1021/bi00133a010 |pmid=1581301}}</ref> 아연과 구리 이온이 적게 존재할 때는 락토페린의 철 결합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높여 주기도 한다.

=== 중합체 형태 ===
혈장과 분비액에서의 락토페린은 [[단량체]]에서 [[사량체]]까지 다양한 형태의 중합체로 존재한다. [[생체내]](''in vivo'')와 [[생체외]](''in vitro'')에서 모두 중합체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높은 농도에서 더 그런 경향이 크다.<ref Name=Sousa /> 몇몇 연구에서는 생리학적 조건에서 락토페린의 주된 형태는 사량체 형태로, 단백질 농도가 10<sup>-5</sup> M.일 때 단량체:사량체 비가 1:4 정도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냈다.<ref name="Bennett">{{Cite journal |vauthors=Bennett RM, Davis J |date=January 1982 |title=Lactoferrin interacts with deoxyribonucleic acid: a preferential reactivity with double-stranded DNA and dissociation of DNA-anti-DNA complexes |journal=The Journal of Laboratory and Clinical Medicine |volume=99 |issue=1 |pages=127–38 |pmid=6274982}}</ref><ref name="pmid6979357">{{Cite journal |vauthors=Bagby GC, Bennett RM |date=July 1982 |title=Feedback regulation of granulopoiesis: polymerization of lactoferrin abrogates its ability to inhibit CSA production |journal=Blood |volume=60 |issue=1 |pages=108–12 |doi=10.1182/blood.V60.1.108.108 |pmid=6979357 |doi-access=free}}</ref><ref name="pmid7762423">{{Cite book |title=Lactoferrin Structure and Function |vauthors=Mantel C, Miyazawa K, Broxmeyer HE |year=1994 |isbn=978-0-306-44734-1 |series=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volume=357 |pages=121–32 |chapter=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olymerization during iron saturation of lactoferrin, a myelopoietic regulatory molecule with suppressor activity |doi=10.1007/978-1-4615-2548-6_12 |pmid=7762423}}</ref>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2년 7월 16일 (토) 18:09 판

LTF
사용 가능한 구조
PDB동원체 검색: PDBe RCSB
식별자
다른 이름LTF, GIG12, HEL110, HLF2, LF, lactotransferrin
외부 IDOMIM: 150210 MGI: 96837 HomoloGene: 1754 GeneCards: LTF
RNA 발현 패턴
Bgee
인간(동원체)
최상위 발현
최상위 발현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BioGPS
n/a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쥐 보기/편집

락토페린(lactoferrin, LF) 또는 락토트랜스페린(lactotransferrin, LTF)은 트랜스페린 패밀리에 속하는 단백질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락토페린은 구상당단백질로 분자량은 대략 80kDa이다. , 타액, 눈물, 코 분비물 등의 다양한 분비액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과립구의 이차 과립에도 들어 있다. 일부 샘꽈리세포에 의해서도 분비된다. 락토페린을 얻는 방법으로는 젖에서 정제를 거치거나 재조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사람의 초유(분만 후 얼마 되지 않은 시기의 모유)에서 농도가 가장 높으며, 그 뒤를 사람의 모유와 우유(150mg/L)가 따른다.[5]

락토페린은 면역계의 일부로서 항미생물 활성을 가지며 주로 점액에서 선천면역계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5] 특히 신생아에서 살균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6][7] 락토페린이 상호작용하는 물질로는 DNA, RNA, 다당류, 헤파린이 있으며 이러한 리간드들과 복합체를 이뤄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락토페린 보충을 통해 호흡기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무작위 대조 시험들의 메타 분석을 통해 알려져 있다.[8] 그러나 영양 보충제는 의약품과 같은 엄격한 규제 절차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온라인상에서 판매되는 보충제의 품질은 문제가 될 여지가 있다.[9]

역사

소의 젖에 철을 포함하고 있는 붉은색의 단백질이 나타난다는 것은 1939년부터 보고되었으나[10] 충분한 순도로 추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제대로 특징 지을 수는 없었다. 이 단백질에 대해 이루어진 첫 상세한 연구는 1960년 전후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분자량, 등전점, 광흡수 스펙트럼에 관한 정보와 단백질 분자당 철 원자 두 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1][12] 우유에서 추출해냈으며 철을 포함하고 있고, 구조적으로나 화학적으로 혈청트랜스페린과 비슷했기 때문에 1961년 이름이 락토페린으로 정해졌다. 좀 더 이른 시기의 자료에서는 락토트랜스페린이라는 이름도 사용되었다. 이후의 연구들에서는 락토페린이 우유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락토페린의 항미생물 작용 역시 1961년에 알려졌으며, 이 작용이 철에 결합하는 락토페린의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13]

구조

락토페린 유전자

11종의 포유류에서 최소 60개의 락토페린 유전자 서열이 알려져 있다.[14] 대부분의 종에서 종결 코돈은 TAA이며 생쥐(Mus musculus)에서는 TGA이다. 종결 코돈 삭제, 삽입, 돌연변이는 암호화 부분에 영향을 미치며 암호화 부분의 길이는 2,055 ~ 2,190 뉴클레오타이드 쌍 사이에서 달라진다. 종 간의 유전자 다형성은 종 내의 락토페린 다형성보다 훨씬 더 다양하다. 아미노산 서열에도 차이가 있는데, 사람에서는 8개, 생쥐에서는 6개, 염소(Capra hircus)에서는 6개, (Bos taurus)에서는 10개, 멧돼지(Sus scrofa)에서는 20개이다. 이런 변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락토페린 간의 기능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14]

사람의 락토페린 유전자 LTF3번 염색체의 3q21-q23 유전자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황소의 경우 암호화 서열은 17개의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는 대략 뉴클레오타이드 34,500쌍이다. 황소의 락토페린 유전자를 구성하는 엑손은 트랜스페린 패밀리에 속하는 다른 유전자들의 엑손과 그 크기가 비슷하지만, 인트론의 크기는 다르다. 엑손 크기와 각각의 엑손이 단백질 분자의 도메인에 분포하는 양상이 비슷하다는 사실은 락토페린 유전자의 진화적 발달이 복제를 통해 일어났다는 것을 시사한다.[15] 락토페린 암호화 유전자의 다형성에 대한 연구는 유선염에 저항성을 가지는 가축 품종을 선별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16]

분자 구조

락토페린은 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며 혈중 철 농도와 바깥으로의 분비량을 조절하는 트렌스페린 단백질의 일종이다. 사람과 다른 포유류의 젖,[12] 혈장, 호중구에 들어 있으며 포유류의 거의 모든 외분비액(타액, 쓸개즙, 눈물, 이자액 등)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단백질이다.[17] 젖에 들어 있는 락토페린의 농도는 초유에서는 7g/L, 성숙유에서는 1g/L까지 다르게 나타난다.

X선 회절을 통해 락토페린이 700개 정도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에 기본을 두고, 상동인 두 개의 구상 도메인인 N-lobe, C-lobe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lobe는 아미노산 잔기 1-333에, C-lobe는 345-692에 대응하며 두 도메인은 짧은 알파 나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18][19] 각각의 lobe는 두 개의 서브도메인(N1, N2와 S1, S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브도메인 하나당 하나의 철 결합 부위와 하나의 글리코실화 부위를 가지고 있다. 단백질의 글리코실화 정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락토페린의 분자량도 76 ~ 80kDa 사이에서 달라진다. 락토페린의 안정성은 글리코실화 정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20]

락토페린의 등전점은 8.7로 염기성 단백질에 속한다. 철이 풍부한 홀로락토페린과 철을 포함하지 않고 있는 아포락토페린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두 형태의 삼차 구조가 다른데, 아포락토페린은 N-lobe의 열린 형태와 C-lobe의 닫힌 형태가 특징적이다. 반면 홀로락토페린은 두 lobe가 모두 닫힌 형태이다.[21]

각 락토페린 분자는 , 아연, 구리, 기타 다른 금속 이온 두 개와 가역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22] 결합 부위는 두 개의 구상 도메인에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이온 하나는 여섯 개의 리간드와 결합한다. 여섯 개 중 네 개는 폴리펩타이드 사슬에 위치(두 개의 타이로신 잔기, 한 개의 히스티딘 잔기, 한 개의 아스파르트산 잔기)하고 두 개는 탄산이나 중탄산염 이온이다.

락토페린은 철과 결합하여 불그스름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철에 대한 락토페린의 친화성은 트랜스페린보다 300배 더 크다.[23] 약산성 용액에서는 친화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염증이 생기면 젖산과 다른 산들이 축적되어 조직의 pH가 감소하면서 철 이온이 트렌스페린에서 락토페린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한다.[24] 모유의 락토페린에서 포화 철 농도는 10-30%로 추정된다. (100%는 모든 락토페린 분자가 2개의 철 원자와 결합한 상태를 뜻한다.) 락토페린은 철, 아연, 구리의 이동뿐만 아니라 이들의 섭취를 조절하는 데에도 관여한다.[25] 아연과 구리 이온이 적게 존재할 때는 락토페린의 철 결합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높여 주기도 한다.

중합체 형태

혈장과 분비액에서의 락토페린은 단량체에서 사량체까지 다양한 형태의 중합체로 존재한다. 생체내(in vivo)와 생체외(in vitro)에서 모두 중합체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높은 농도에서 더 그런 경향이 크다.[24] 몇몇 연구에서는 생리학적 조건에서 락토페린의 주된 형태는 사량체 형태로, 단백질 농도가 10-5 M.일 때 단량체:사량체 비가 1:4 정도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냈다.[26][27][28]

참고 문헌

  1.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012223 - 앙상블, May 2017
  2. GRCm38: Ensembl release 89: ENSMUSG00000032496 - 앙상블, May 2017
  3.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Sánchez L, Calvo M, Brock JH (May 1992). “Biological role of lactoferrin”.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67 (5): 657–61. doi:10.1136/adc.67.5.657. PMC 1793702. PMID 1599309. 
  6. Levin RE, Kalidas S, Gopinadhan P, Pometto A (2006). 《Food biotechnology》. Boca Raton, FL: CRC/Taylor & Francis. 1028쪽. ISBN 978-0-8247-5329-0. 
  7. Pursel VG (1998). 〈Modification of Production Traits〉. Clark AJ. 《Animal Breeding: Technology for the 21st Century (Modern Genetics)》. Boca Raton: CRC. 191쪽. ISBN 978-90-5702-292-0. 
  8. Ali AS, Hasan SS, Kow CS, Merchant HA (October 2021). “Lactoferrin reduces the risk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linical Nutrition ESPEN》 45: 26–32. doi:10.1016/j.clnesp.2021.08.019. PMID 34620326. S2CID 238475090. 
  9. “Lactoferrin supplements could aid in the recovery of COVID19 & oth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EurekAlert!》 (영어). 2022년 2월 18일에 확인함. 
  10. M. Sorensen and S. P. L. Sorensen, Compf. rend. trav. lab. Carlsberg (1939) 23, 55, cited by Groves (1960)
  11. Groves ML (1960). “The Isolation of a Red Protein from Milk”.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82 (13): 3345. doi:10.1021/ja01498a029. 
  12. Johansson B, Virtanen AI, Tweit RC, Dodson RM (1960). “Isolation of an iron-containing red protein from human milk” (PDF). 《Acta Chem. Scand.》 14 (2): 510–512. doi:10.3891/acta.chem.scand.14-0510. 
  13. Naidu AS (2000). 《Lactoferrin: natural, multifunctional, antimicrobial》. Boca Raton: CRC Press. 1–2쪽. ISBN 978-0-8493-0909-0. 
  14. Kang JF, Li XL, Zhou RY, Li LH, Feng FJ, Guo XL (June 2008). “Bioinformatics analysis of lactoferrin gene for several species”. 《Biochemical Genetics》 46 (5–6): 312–22. doi:10.1007/s10528-008-9147-9. PMID 18228129. S2CID 952135. 
  15. Seyfert HM, Tuckoricz A, Interthal H, Koczan D, Hobom G (June 1994). “Structure of the bovine lactoferrin-encoding gene and its promoter”. 《Gene》 143 (2): 265–9. doi:10.1016/0378-1119(94)90108-2. PMID 8206385. 
  16. O'Halloran F, Bahar B, Buckley F, O'Sullivan O, Sweeney T, Giblin L (January 2009). “Characteris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dentified in the bovine lactoferrin gene sequences across a range of dairy cow breeds”. 《Biochimie》 91 (1): 68–75. doi:10.1016/j.biochi.2008.05.011. PMID 18554515. 
  17. Birgens HS (April 1985). “Lactoferrin in plasma measured by an ELISA technique: evidence that plasma lactoferrin is an indicator of neutrophil turnover and bone marrow activity in acute leukaemia”. 《Scandinavian Journal of Haematology》 34 (4): 326–31. doi:10.1111/j.1600-0609.1985.tb00757.x. PMID 3858982. 
  18. Baker HM, Anderson BF, Kidd RD, Shewry SC, Baker EN (2000). 〈Lactoferrin three-dimensional structure: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function〉. Shimazaki K. 《Lactoferrin: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ctoferrin: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held in Sapporo, Japan, 18–22 May 1999》. Amsterdam: Elsevier. ISBN 978-0-444-50317-6. 
  19. Baker EN, Baker HM (November 2005). “Molecular structure, binding properties and dynamics of lactoferrin”.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62 (22): 2531–9. doi:10.1007/s00018-005-5368-9. PMID 16261257. S2CID 218464085. 
  20. Håkansson A, Zhivotovsky B, Orrenius S, Sabharwal H, Svanborg C (August 1995). “Apoptosis induced by a human milk prote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2 (17): 8064–8. Bibcode:1995PNAS...92.8064H. doi:10.1073/pnas.92.17.8064. PMC 41287. PMID 7644538. 
  21. Jameson GB, Anderson BF, Norris GE, Thomas DH, Baker EN (November 1998). “Structure of human apolactoferrin at 2.0 A resolution. Refinement and analysis of ligand-induced conformational change”.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D》 54 (Pt 6 Pt 2): 1319–35. doi:10.1107/S0907444998004417. PMID 10089508. 
  22. Levay PF, Viljoen M (1995). “Lactoferrin: a general review”. 《Haematologica》 80 (3): 252–67. PMID 7672721. 
  23. Mazurier J, Spik G (May 1980). “Comparative study of the iron-binding properties of human transferrins. I. Complete and sequential iron saturation and desaturation of the lactotransferri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629 (2): 399–408. doi:10.1016/0304-4165(80)90112-9. PMID 6770907. 
  24. Broc JH, De Sousa M (1989). 《Iron in immunity, cancer, and inflammation》. New York: Wiley. ISBN 978-0-471-92150-9. 
  25. Shongwe MS, Smith CA, Ainscough EW, Baker HM, Brodie AM, Baker EN (May 1992). “Anion binding by human lactoferrin: results from crystallographic and physicochemical studies”. 《Biochemistry》 31 (18): 4451–8. doi:10.1021/bi00133a010. PMID 1581301. 
  26. Bennett RM, Davis J (January 1982). “Lactoferrin interacts with deoxyribonucleic acid: a preferential reactivity with double-stranded DNA and dissociation of DNA-anti-DNA complexes”. 《The Journal of Laboratory and Clinical Medicine》 99 (1): 127–38. PMID 6274982. 
  27. Bagby GC, Bennett RM (July 1982). “Feedback regulation of granulopoiesis: polymerization of lactoferrin abrogates its ability to inhibit CSA production”. 《Blood》 60 (1): 108–12. doi:10.1182/blood.V60.1.108.108. PMID 6979357. 
  28. Mantel C, Miyazawa K, Broxmeyer HE (1994).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olymerization during iron saturation of lactoferrin, a myelopoietic regulatory molecule with suppressor activity〉. 《Lactoferrin Structure and Func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357. 121–32쪽. doi:10.1007/978-1-4615-2548-6_12. ISBN 978-0-306-44734-1. PMID 776242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