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생물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Glycobiology"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1번째 줄: 1번째 줄:
'''당생물학'''(糖生物學, glycobiology)은 새로운 과학 연구분야로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을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글리칸의 구조, 생합성,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 학문이다. 글리칸은 생체의 주요 성분으로 자연에 넓게 존재한다.<ref>Varki A, Cummings R, Esko J, Freeze H, Stanley P, Bertozzi C, Hart G, Etzler M (2008). ''Essentials of glycobiolog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nd edition. {{ISBN|0-87969-770-9}}. http://www.ncbi.nlm.nih.gov/bookshelf/br.fcgi?book=glyco2. </ref><ref>Varki A, Cummings R, Esko J, Freeze H, Hart G, Marth J (1999). ''Essentials of glycobiolog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ISBN|0-87969-560-9}}.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glyco.TOC&depth=2.</ref>


'''당생물학'''(Glycobiology)은 생물학의 새로운 과학 분야로,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을 바탕으로 [[당사슬]](Glycan)의 구조, 생합성,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학문이다.<ref name="Varki_2008">{{서적 인용|url=https://www.ncbi.nlm.nih.gov/bookshelf/br.fcgi?book=glyco2|제목=Essentials of glycobiology|연도=2008|출판사=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nd edition|isbn=978-0-87969-770-9}}</ref><ref name="Varki_1999">{{서적 인용|url=https://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glyco.TOC&depth=2|제목=Essentials of glycobiology|연도=1999|출판사=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isbn=0-87969-560-9}}</ref> 생물체에서 당은 필수 구성 요소이며, 이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연구한다.
== 종류 ==
생물학에서는 고분자를 크게 4 개의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전자, 단백질, 지방질 그리고 글리칸이나 또는 당질.


== 역사 ==
글리칸<ref>Rademacher TW, Parekh RB and Dwek RA. (1988). "Glycobiology". ''Annu. Rev. Biochem.'' '''57''' (1): 785–838. doi:10.1146/annurev.bi.57.070188.004033. PMID 3052290.</ref>은 특별한 특성을 보유하는 고분자 그룹인데, 아주 다양한 분자구조, 올리고메트릭 또는 폴리메트릭, 선형 또는 발달한 분지형을 보유하고 있어 단위체 사이에 여러 타입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옥스포드 영어사전]]에서의 당생물학은 [[탄수화물]]의 화학과 생화학의 결합접 학문이라 기록하였다.(1988년 Raymond Dwek)<ref name="rademacher">{{저널 인용|제목=Glycobiology|저널=Annu. Rev. Biochem.|연도=1988|권=57|호=1|쪽=785–838|doi=10.1146/annurev.bi.57.070188.004033|pmid=3052290}}</ref> 이러한 결합은 당사슬의 [[세포생물학]]과 [[분자생물학]]에 대한 훨씬 더 큰 이해의 결과이다.


== 당 접합체 ==
; 글라이콤:
당은 다른 유형의 생물학적 분자와 연결되어 당 접합체(Glycoconjugate)를 형성 할 수 있다. [[글리코실화]]의 효소 과정은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자신과 다른 분자에 연결된 당 또는 당류를 생성하여 당사슬을 생성한다. [[당단백질]], [[프로테오글리칸]], [[당지질]]은 [[포유류]] 세포에서 발견되는 가장 풍부한 당 접합체이다. 이들은 주로 외부 세포막과 분비된 액체에서 발견된다. 당 접합체는 그 자체에 더하여 다양한 당사슬 결합 수용체(Glycan-binding Receptor)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세포-세포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f name="Ma_2004">{{저널 인용|제목=CD28 T cell costimulatory receptor function is negatively regulated by N-linked carbohydrates|저널=Biochem. Biophys. Res. Commun.|연도=2004|권=317|호=1|쪽=60–7|doi=10.1016/j.bbrc.2004.03.012|pmid=15047148}}</ref><ref name="Takahashi_2004">{{저널 인용|제목=Role of N-glycans in growth factor signaling|저널=Glycoconj. J.|연도=2004|권=20|호=3|쪽=207–12|doi=10.1023/B:GLYC.0000024252.63695.5c|pmid=15090734}}</ref> [[단백질 접힘]] 및 세포 부착 기능 외에도 단백질의 [[N 연결 당사슬]](N-linked Glycan)은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위치 역할을 한다.
글라이콤은 어떤 유기체의 모든 글리코시드 복합체를 전반적으로 대표하는 식별 카드로 간주될 수 있다. 기관 또는 세포 타입에 따라서 달라진다. 글라이콤은 프로테움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왜냐하면 글라이콤은 기본 구성요소들의 아주 풍부한 구조적 다양성과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결합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 당쇄체학 ==
; 글리칸<ref>Olden K, Bernard BA, Humphries M ''et al.'' (1985).Function of glycoprotein glycans T.I.B.S., February, 78-82.</ref>:
[[당쇄체학]]은 [[유전체학]], [[단백체학]]과 마찬가지로 특정 세포 유형 또는 유기체의 모든 [[당사슬]] 구조의 체계적인 연구 및 당생물학의 하위 집합이다.<ref>[http://www.cshlpress.com/default.tpl?action=full&--eqskudatarq=666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Essentials of Glycobiology, Second Edition</ref><ref>{{저널 인용|제목=Glycobiology simplified: diverse roles of glycan recognition in inflammation.|저널=Journal of Leukocyte Biology|성=Schnaar|이름=RL|날짜=June 2016|권=99|호=6|쪽=825–38|doi=10.1189/jlb.3RI0116-021R|pmc=4952015|pmid=27004978}}</ref>
단당류는 단당류의 하이드록실 (-OH) 그룹의 공간적 방위성에 유인하여, 여러 입체 이성체를 나타낸다. 하이드록실 그룹의 포지션은 당류 사이의 결합 성격을 결정짓는다. 하이드록실 그룹은 카르복실, 아민, 또는N-아세틸 그룹같은 다른 그룹으로 대체될 수 있다.


== 당 구조 연구의 과제 ==
글리칸은 보통 크게 4 개의 종류로 나뉜다:
당 구조에서 볼 수 있는 가변성은 [[단당류]] 단위가 항상 표준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또는 [[DNA]] 의 [[뉴클레오타이드]]와는 반대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에서 관찰된다.<ref name="kreuger">{{저널 인용|제목=Decoding heparan sulfate|성=Kreuger, J|url=http://www.diva-portal.org/demo/theses/abstract.xsql?dbid=1499|연도=2001|확인날짜=2008-01-11}}</ref> 당사슬 구조에 대한 연구는 [[단백질의 1차 구조|아미노산 서열]]이 상응하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단백질]]의 경우와는 달리 생합성을 위한 직접적인 주형이 없기 때문에 복잡하다.<ref>{{저널 인용|제목=A unified vision of the building blocks of life|저널=Nature Cell Biology|성=Marth|이름=JD|연도=2008|권=10|호=9|쪽=1015–6|doi=10.1038/ncb0908-1015|pmc=2892900|pmid=18758488}}</ref>


[[당사슬]]은 2차 유전자 산물이므로 많은 효소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당사슬의 구조는 다양한 생합성 효소의 발현, 활성 및 접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구조 및 기능 연구를 위해 다량의 당사슬이 필요하지만 이를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DNA]]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 글루코스, 갈락토스, 또는 과당같은 단당류. 이 당류들은 간단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고 가수분해가 안되며 결정체를 이룬다.


== 당사슬의 구조 예측 및 당사슬 결합 리간드 연구를 위한 최신 도구 및 기술 ==
* 말토스, 락토스 또는 자당 같은 이당류
고급 분석 기기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하면 당사슬 구조의 신비를 풀 수 있다. 당사슬의 구조 및 분석을 위한 기술에는 [[크로마토그래피|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 모세관 전기영동 (CE), [[질량 분석]] (MS), [[핵자기 공명]] (NMR) 및 렉틴 어레이(Lectin Array)가 있다.<ref>{{저널 인용|제목=Mass spectrometry for glycan biomarker discovery|저널=TrAC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성=Aizpurua-Olaizola|이름=O.|성2=Sastre Toraño|이름2=J.|날짜=March 2018|권=100|쪽=7–14|doi=10.1016/j.trac.2017.12.015|issn=0165-9936|성3=Falcon-Perez|이름3=J.M.|성4=Williams|이름4=C.|성5=Reichardt|이름5=N.|성6=Boons|이름6=G.-J.}}</ref>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는 질량 분석이다.
* 반복된 유닛과 글리코사이드 브리지로 연결되어 선형 구조 또는 분지형 구조를 이루는 일반적으로 가수 분해성이 있는 올리고사카라이드와 폴리사카라이드.


당사슬 어레이는 탄수화물 특이성을 정의하고 [[리간드]]를 식별하기 위해 [[렉틴]] 또는 항체로 스크리닝 할 수 있는 탄수화물 화합물을 포함한다.
* 비반복성이며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지방질에 결합되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복합체.


===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 ===
최근까지, 이 분자 그룹,
다중 반응 모니터링(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은 장소 특이적 [[글리코실화]] 프로파일링에 사용된다. MRM은 [[대사체학]] 및 [[단백체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지만 넓은 범위에 대한 높은 감도와 선형 반응으로 인해 당사슬 바이오 마커 연구 및 발견에 적합하다. MRM은 삼중/사중 극자 (QqQ) 기기에서 수행되는데,이 장비는 첫 번째 사중 극자에서 미리 결정된 [[전구체]] 이온, 충돌 사중 극자에서 조각화, 세 번째 사중 극자에서 미리 결정된 조각 이온을 감지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비스캐닝 기법으로, 각 전이가 개별적으로 감지되고 여러 전이의 감지가 듀티 사이클에서 동시에 발한다. 이 기술은 면역 당사슬을 특성화하는데 사용된다.
글리칸은 단지 에너지 공급원으로 구조적인 역할만 수행하는것으로 간주되었었다. 몇 년 전부터 생체내에서 글리칸의 구조 조직형태 그리고 기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 날 연구 결과는 세포 표면에서 단백질과 지방질과 같이 세포사이 대화에 참가하는것이 알려졌다. 특히 글리칸의 콘트롤을 통해 세포내 단백질의 분배가 이루어지고 기관내에 세포와 세포가 서로 구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의학 ==
; 당 생물학과 의학<ref>Pohlmann, La glycobiologie, une nouvelle arme pour la médecine ?, Arte다큐 특집, ZDF, '''2007'''. 43mn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7663079290156002221#</ref> :'''
[[헤파린]], [[에리트로포이에틴]] 및 몇 가지 항독감 약물과 같이 이미 시장에 나와있는 약물은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새로운 종류의 약물로서 당사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새로운 [[항암제]]에 대한 연구는 당생물학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ref name="olden_k">{{서적 인용|제목=Function of glycoprotein glycans T.I.B.S.|연도=1985|쪽=78–82}}</ref> 새롭고 다양한 작용 기전을 가진 항암제와 [[항염증제]], 항감염제 등이 현재 임상 시험 중이다. 이러한 [[당사슬]]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합성하기 어려운 분자이지만, 이 새로운 연구 분야는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하다.


== 참고 ==
이미 시장에 출시된 헤파린, 적혈구 생성 촉진 호르몬 그리고 유행성 감기 치료제 같은 약품들은 효율성을 입증하여 새로운 종류의 약품으로서 글리칸의 중요도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암 치료제에 대한 연구도 이 당 생물학 분야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다.<ref>https://web.archive.org/web/20130530025337/http://falling-walls.com/lectures/peter-seeberger/</ref> 새로운 치료 메커니즘의 암 치료제뿐만 아니라 소염제 분야에도 다양하게 현재 임상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당 생물학 분야는 현존하는 약품들을 보완 하거나 또는 새로운 약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물론 글리칸이 아주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을 위해 합성이 어려운 문제가 남아있지만 이 새로운 연구분야는 미래를 위해 상당히 고무적인 분야이다.


;생물학과 피부:
*신호 변환
* 당사슬리 칸-단백질 상호 작용
최근 기술의 발달 덕분으로 인해 당 생물학은 피부 노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더욱 수준높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인제 글리칸은 피부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로 피부의 항상성에 결정적인 역할 수행이 명확하게 입증되었다. 글리칸은:

* 분자와 세포 인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또한 세포 표면에 생물학적 메시지 전달<ref>Faury, G.,Ruszova,E.,Molinari,J.,Mariko,B.,Raveaud,S.,Velebny,V.,Robert,L., The alpha-1-rhamnose recognizing lectin site of human dermal fibrolasts functions as a signal transducer. Modulation of Ca++ fluxes and gene expression. Biochim.Biophys.Acta, '''2008, '''1780,1388–1394.</ref>을 위해 작용한다,

* 세포 신진대사에
작용한다: 합성, 번식, 구별,…

* 세포 조직 구조와 형성에 참여한다,

피부의 양호한 신진대사에 불가결한 요소인 글리칸은 노화<ref>Jang-Hee Oh, Yeon Kyung Kim, Ji-Yong Jung, Jeong-eun Shin, Jin Ho Chung, Changes in glycosaminoglycans and related proteoglycans in intrinsically aged human skin in vivo Experimental Dermatology, '''2011'''</ref>에 따라 질적 그리고 양적 변화가 동반된다. 대화와 신진대사의 능력이 떨어지고 피부의 구조조직이 손상된다.


== 각주 ==
== 각주 ==
 
<references />
[[분류:탄수화물]]

[[분류:당생물학| ]]
[[분류:생화학]]
[[분류:생물학의 분과]]
[[분류:생물학의 분과]]
[[분류:생화학]]
[[분류:당생물학]]

2021년 4월 20일 (화) 16:27 판

당생물학(Glycobiology)은 생물학의 새로운 과학 분야로, 생화학분자생물학을 바탕으로 당사슬(Glycan)의 구조, 생합성,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학문이다.[1][2] 생물체에서 당은 필수 구성 요소이며, 이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연구한다.

역사

옥스포드 영어사전에서의 당생물학은 탄수화물의 화학과 생화학의 결합접 학문이라 기록하였다.(1988년 Raymond Dwek)[3] 이러한 결합은 당사슬의 세포생물학분자생물학에 대한 훨씬 더 큰 이해의 결과이다.

당 접합체

당은 다른 유형의 생물학적 분자와 연결되어 당 접합체(Glycoconjugate)를 형성 할 수 있다. 글리코실화의 효소 과정은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자신과 다른 분자에 연결된 당 또는 당류를 생성하여 당사슬을 생성한다. 당단백질, 프로테오글리칸, 당지질포유류 세포에서 발견되는 가장 풍부한 당 접합체이다. 이들은 주로 외부 세포막과 분비된 액체에서 발견된다. 당 접합체는 그 자체에 더하여 다양한 당사슬 결합 수용체(Glycan-binding Receptor)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세포-세포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4][5] 단백질 접힘 및 세포 부착 기능 외에도 단백질의 N 연결 당사슬(N-linked Glycan)은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위치 역할을 한다.

당쇄체학

당쇄체학유전체학, 단백체학과 마찬가지로 특정 세포 유형 또는 유기체의 모든 당사슬 구조의 체계적인 연구 및 당생물학의 하위 집합이다.[6][7]

당 구조 연구의 과제

당 구조에서 볼 수 있는 가변성은 단당류 단위가 항상 표준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단백질아미노산 또는 DNA뉴클레오타이드와는 반대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에서 관찰된다.[8] 당사슬 구조에 대한 연구는 아미노산 서열이 상응하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단백질의 경우와는 달리 생합성을 위한 직접적인 주형이 없기 때문에 복잡하다.[9]

당사슬은 2차 유전자 산물이므로 많은 효소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당사슬의 구조는 다양한 생합성 효소의 발현, 활성 및 접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구조 및 기능 연구를 위해 다량의 당사슬이 필요하지만 이를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DNA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당사슬의 구조 예측 및 당사슬 결합 리간드 연구를 위한 최신 도구 및 기술

고급 분석 기기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하면 당사슬 구조의 신비를 풀 수 있다. 당사슬의 구조 및 분석을 위한 기술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 모세관 전기영동 (CE), 질량 분석 (MS), 핵자기 공명 (NMR) 및 렉틴 어레이(Lectin Array)가 있다.[10]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는 질량 분석이다.

당사슬 어레이는 탄수화물 특이성을 정의하고 리간드를 식별하기 위해 렉틴 또는 항체로 스크리닝 할 수 있는 탄수화물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

다중 반응 모니터링(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은 장소 특이적 글리코실화 프로파일링에 사용된다. MRM은 대사체학단백체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지만 넓은 범위에 대한 높은 감도와 선형 반응으로 인해 당사슬 바이오 마커 연구 및 발견에 적합하다. MRM은 삼중/사중 극자 (QqQ) 기기에서 수행되는데,이 장비는 첫 번째 사중 극자에서 미리 결정된 전구체 이온, 충돌 사중 극자에서 조각화, 세 번째 사중 극자에서 미리 결정된 조각 이온을 감지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비스캐닝 기법으로, 각 전이가 개별적으로 감지되고 여러 전이의 감지가 듀티 사이클에서 동시에 발한다. 이 기술은 면역 당사슬을 특성화하는데 사용된다.

의학

헤파린, 에리트로포이에틴 및 몇 가지 항독감 약물과 같이 이미 시장에 나와있는 약물은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새로운 종류의 약물로서 당사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새로운 항암제에 대한 연구는 당생물학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11] 새롭고 다양한 작용 기전을 가진 항암제와 항염증제, 항감염제 등이 현재 임상 시험 중이다. 이러한 당사슬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합성하기 어려운 분자이지만, 이 새로운 연구 분야는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하다.

참고

  • 당 신호 변환
  • 당사슬리 칸-단백질 상호 작용

각주

 

  1. 《Essentials of glycobiolog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nd edition. 2008. ISBN 978-0-87969-770-9. 
  2. 《Essentials of glycobiolog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 ISBN 0-87969-560-9. 
  3. “Glycobiology”. 《Annu. Rev. Biochem.》 57 (1): 785–838. 1988. doi:10.1146/annurev.bi.57.070188.004033. PMID 3052290. 
  4. “CD28 T cell costimulatory receptor function is negatively regulated by N-linked carbohydrat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17 (1): 60–7. 2004. doi:10.1016/j.bbrc.2004.03.012. PMID 15047148. 
  5. “Role of N-glycans in growth factor signaling”. 《Glycoconj. J.》 20 (3): 207–12. 2004. doi:10.1023/B:GLYC.0000024252.63695.5c. PMID 15090734. 
  6.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Essentials of Glycobiology, Second Edition
  7. Schnaar, RL (June 2016). “Glycobiology simplified: diverse roles of glycan recognition in inflammation.”.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99 (6): 825–38. doi:10.1189/jlb.3RI0116-021R. PMC 4952015. PMID 27004978. 
  8. Kreuger, J (2001). “Decoding heparan sulfate”. 2008년 1월 11일에 확인함. 
  9. Marth, JD (2008). “A unified vision of the building blocks of life”. 《Nature Cell Biology》 10 (9): 1015–6. doi:10.1038/ncb0908-1015. PMC 2892900. PMID 18758488. 
  10. Aizpurua-Olaizola, O.; Sastre Toraño, J.; Falcon-Perez, J.M.; Williams, C.; Reichardt, N.; Boons, G.-J. (March 2018). “Mass spectrometry for glycan biomarker discovery”. 《TrAC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100: 7–14. doi:10.1016/j.trac.2017.12.015. ISSN 0165-9936. 
  11. 《Function of glycoprotein glycans T.I.B.S.》. 1985. 78–8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