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5번째 줄: 15번째 줄:


== 결함 ==
== 결함 ==
마음이론 장애는 조망수용에 문제가 있다는 걸 말한다. 이는 또한 마음 장님(mind-blindness)라고도 한다. 마음장애가 있는 서람은 다른 관점으로 현상을 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ref>{{cite book | author = Moore, S.| year = 2002 | title = Asperger Syndrome and the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 publisher = Shawnee Mission, Kansas: Autism Asperger Publishing Company}}</ref> 마음이론 결함을 경험하는 개인은 타인의 의도를 알아차리기 어렵고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지 못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갖기 어렵다.<ref>{{cite book | author = Baker, J.| year = 2003 | title =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and Social-Communication Problems | publisher = Mission, Kansas: Autism Asperger Publishing Company}}</ref> 마음이론 결함은 자폐증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비언어학습장애(nonverbal learning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가 있는 사람,<ref name="pmid21289541"/>알코올과 마약 영향을 받은 사람, 수면 부족, 심각한 감정적 신체적 고통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보였다. 마음이론 결함은 청각장애가 없는 부모에게서 태어나 수화로 소통하는 농아들에게도 보이지만, 결함은 인지 결함이 아닌 언어 학습이 늦기 때문에 발생하기에 아이가 수화를 배우면 사라진다.<ref>{{citation | last1 = Peterson | first1 = Candida | year = 2016 | title = Peer Social Skills and Theory of Mind in Children with Autism, Deafness, or Typical Development | journal = Developmental Psychology | volume = 52 | issue = 1 | pages = 46–57 | display-authors = 1 | doi = 10.1037/a0039833 | pmid = 26524383 | last2 = Slaughter | first2 = Virginia | last3 = Moore | first3 = Chris | last4 = Wellman | first4 = Henry }}{{Dead link|date=September 2018 |bot=InternetArchiveBot |fix-attempted=yes }}</ref>
마음이론 장애는 조망수용에 문제가 있다는 걸 말한다. 이는 또한 마음 장님(mind-blindness)라고도 한다. 마음장애가 있는 서람은 다른 관점으로 현상을 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ref>{{cite book | author = Moore, S.| year = 2002 | title = Asperger Syndrome and the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 publisher = Shawnee Mission, Kansas: Autism Asperger Publishing Company}}</ref> 마음이론 결함을 경험하는 개인은 타인의 의도를 알아차리기 어렵고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지 못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갖기 어렵다.<ref>{{cite book | author = Baker, J.| year = 2003 | title =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and Social-Communication Problems | publisher = Mission, Kansas: Autism Asperger Publishing Company}}</ref> 마음이론 결함은 [[자폐 스펙트럼|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비언어학습장애(nonverbal learning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가 있는 사람,<ref name="pmid21289541"/>알코올과 마약 영향을 받은 사람, 수면 부족, 심각한 감정적 신체적 고통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보였다. 마음이론 결함은 청각장애가 없는 부모에게서 태어나 수화로 소통하는 농아들에게도 보이지만, 결함은 인지 결함이 아닌 언어 학습이 늦기 때문에 발생하기에 아이가 수화를 배우면 사라진다.<ref>{{citation | last1 = Peterson | first1 = Candida | year = 2016 | title = Peer Social Skills and Theory of Mind in Children with Autism, Deafness, or Typical Development | journal = Developmental Psychology | volume = 52 | issue = 1 | pages = 46–57 | display-authors = 1 | doi = 10.1037/a0039833 | pmid = 26524383 | last2 = Slaughter | first2 = Virginia | last3 = Moore | first3 = Chris | last4 = Wellman | first4 = Henry }}{{Dead link|date=September 2018 |bot=InternetArchiveBot |fix-attempted=yes }}</ref>

=== 자폐증 ===
1985년 사이먼 바론-코헨(Simon Baron-Cohen), 앨런 레슬리(Alan M. Leslie), 유타 프리스(Uta Frith)는 [[자폐증]](autism) 어린이는 마음이론을 사용하지 않으며<ref name="Baron-Cohen, Frith"/> 타인의 신념을 이해하는 과업을 수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아이가 언어 기술을 익히면서 지속되며<ref>{{cite journal | title=The role of age and verbal ability in the theory of mind task performance of subjects with autism | author=Happe, FG | journal=Child Development | year=1995 | volume=66 | issue=3 | pages=843–55 | doi=10.2307/1131954 | pmid=7789204| jstor=1131954 }}</ref> 자폐증의 주요 특징이라고 알려져 왔다.

자폐증으로 분류된 사람들은 타인에게 자신의 마음 상태를 보이는데 심각한 어려움이 있으며 일부는 마음이론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ref name="Baron-Cohen, S. 1991">{{citation | last = Baron-Cohen | first = Simon | contribution = Precursors to a theory of mind: Understanding attention in others | editor-last = Whiten | editor-first = Andrew | title = Natural theories of mind: Evolution, development, and simulation of everyday mindreading | pages = 233&ndash;251 | publisher = Basil Blackwell | location = Cambridge, Massachusetts | year = 1991 | isbn = 9780631171942 | postscript = .}}</ref> 자폐증과 마음이론의 관계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리를 설명하려 한다. 한 이론에서는 마음이론이 타인에게 마음 상태가 있다고 하는 것에 작동하며 유년기에는 가상놀이(pretend play)에서 그러한 역할을 한다.<ref name=Leslie>{{citation | last = Leslie | first = Alan M. | contribution = Theory of mind impairment in autism | editor-last = Whiten | editor-first = Andrew | title = Natural theories of mind: Evolution, development, and simulation of everyday mindreading | publisher = Basil Blackwell | location = Cambridge, Massachusetts | year = 1991 | isbn = 9780631171942 | postscript = .}}</ref> 레슬리에 의하면,<ref name=Leslie/> 주위환경이 실제인지 여부는 상관없이 마음이론은 생각, 신념, 욕구를 표현하는 능력이다. 이것이 자폐증 환자에게서 마음이론과 가상놀이의 결한이 심각하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한다. 그러나 홉슨(Hobson)은 사회정서적 정당화(social-affective justification)를 제안하는데,<ref>{{cite book | last = Hobson | first = R.P. | title = Autism and the development of mind | publisher = Lawrence Erlbaum | location = Hillsdale, N.J. | year = 1995 | isbn = 9780863772399}}</ref> 이는 자폐증 환자에게 마음이론 결핍은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것의 왜곡으로부터 나온 것임을 뜻한다. 홉슨은 일반인의 경우 태어나면서 사회참조능력(social referencing ability)과 같이 타인의 느낌을 이해하고 이에 반응하게 하는 스킬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다른 학자들은 자폐증이 특정 발달 지연을 동반하여 자폐 어린이는 다양한 결함을 보이는데, 각각의 다른 성장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아주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장애는 공동관심 행동(joint-attention behavior)의 적절한 발달을 대체하여, 온전한 마음이론을 형성하지 못한다.<ref name="Baron-Cohen, S. 1991"/>

추측되기로는<ref name="Leslie, A. M. 1991 pp. 63-77"/> 이전에는 현존과 부재라는 구분된 두 가지의 형태로 비라보는 관점이었다면, 마음이론은 하나의 연속체(continuum)에 있다는 것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자폐증 환자 일부는 타인에게 마음 상태가 있다는 것을 모른다고 했으나,<ref name="Baron-Cohen, S. 1991 pp. 233-251"/> 최근 연구에서는 유념에 둔 행동(mindful behavior)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하는 기제를 다루는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ref>{{cite journal | last1 = Dapretto | first1 = M. | year = 2006 | title = Understanding emotions in others: mirror neuron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journal = Nature Neuroscience | volume = 9 | issue = 1| pages = 28–30 | display-authors = 1 | doi = 10.1038/nn1611 | pmid = 16327784 | last2 = Davies | first2 = M. S. | last3 = Pfeifer | first3 = J. H. | last4 = Scott | first4 = A. A. | last5 = Sigman | first5 = M | last6 = Bookheimer | first6 = S. Y. | last7 = Iacoboni | first7 = M | pmc = 3713227 }}</ref>
마음이론에 관한 이분법적 관점은, 자폐증 환자가 공감이 없다는 가정이 비인간화의 근거가 되면서, 조망수용 능력이 있는 자폐증 성인에 대한 낙인(stigmatization)에 공헌하였다.<ref>{{cite journal |last=Yergeau |first= Melanie|date= 2013|title=Clinically Significant Disturbance: On Theorists Who Theorize Theory of Mind
|url=https://dsq-sds.org/article/view/3876/3405 |journal= Disability Studies Quarterly |volume=33 |issue= 4|doi= 10.18061/dsq.v33i4.3876|quote=I will say something about autism, and someone will assert that nothing I've said matters or applies to anything. Because I am self-centered. Because I do not have the capacity to intuit other minds or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others. |doi-access=free}}</ref>

미셸 타인(Michele Tine) 등은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 어린이보다 자폐 어린이가 사회적 마음이론의 측정에서 훨씬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다고 하였다.<ref>{{cite journal |doi=10.1155/2012/505393 |pmid=22934174 |pmc=3420603 |title=Unique Theory of Mind Differenti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year=2012 |last1=Tine |first1=Michele |last2=Lucariello |first2=Joan |journal=Autism Research and Treatment |volume=2012 |pages=1–11}}</ref>

보통 마음이론 능력이 발달한 아이들은 사회기술도 발달하였으며,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적응능력도 뛰어나고 타인과의 협동심도 높다. 그 결과 이런 아동들은 사랑을 받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타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으로 친구들을 조종하거나 앞서 나가 생각하거나 놀리거나 속이기도 한다.<ref>{{citation | last = Astington | first = J. W. | year = 2003 | title = Sometimes necessary, never sufficient: False-belief 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 journal =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ory of Mind: Implications for Typical and Atypical Development | pages = 13–38}}</ref> 자폐스펙트럼의 아이들처럼 마음이론이 열등한 아이들은 타인과 소통이 어려우기에 또래들로부터 거절당한다. 사회적 거절(Social rejection)은 아이들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우울 증세를 발달시킬 위험이 크다.<ref>{{citation | last1 = Chung | first1 = K. | year = 2007 | title = Peer-mediate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 journal =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 volume = 28 | issue = 4 | pages = 423–436 | doi = 10.1016/j.ridd.2006.05.002 | pmid = 16901676 | last2 = Reavis | first2 = S. | last3 = Mosconi | first3 = M. | last4 = Drewry | first4 = J. | last5 = Matthews | first5 = T. | last6 = Tassé | first6 = M. J. }}</ref>

또래 매개 개입(Peer-mediated interventions, PMI)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학교 기반 치료법으로,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고자 또래들이 롤모델이 되도록 훈련받는다. 라기(Laghi) 등은 연구에서 PMI 프로그램의 적절한 후보군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생님의 추천과 함께, 친사회적(착한) 마음이론 행동과 반사회적(못된) 마음이론 행동의 분석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마음이론 기술이 발달하여 친사회적인 방식으로 이런 기술을 사용하는 어린이를 후보로 선택하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실제 결과에서는 PMI 프로그램을 위한 후보군의 마음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가치가 없다고 밝혀져, 롤모델로서 후보들의 행동이 좋은 예측변수가 되지 못할 것이다.<ref name="Laghi 2016 207–216"/>

2014년 [[코크란 리뷰]](Cochrane review)에서 마음이론에 기반한 개입들은 자폐환자에게 가르칠 수 있지만 기술를 유지하거나 다른 환경에서도 일반화할 수 있는지 혹은 관련 기술에 대한 발달 효과가 있는지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하였다.<ref>{{Cite journal|last1=Fletcher-Watson|first1=Sue|last2=McConnell|first2=Fiona|last3=Manola|first3=Eirini|last4=McConachie|first4=Helen|date=2014-03-21|title=Interv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Mind cognitive model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SD)|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4652601|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issue=3|pages=CD008785|doi=10.1002/14651858.CD008785.pub2|issn=1469-493X|pmc=6923148|pmid=24652601}}</ref>


== 각주 ==
== 각주 ==

2021년 4월 12일 (월) 03:30 판

마음 이론(Theory of Mind, ToM)이란 타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 능력 정도를 평가한다는 의미의 심리학 용어이다. 마음 이론은 정신이 제 기능을 잘 하거나 그렇니 못한[1] 사람이 드러내는 행동 패턴 중 하나로, 신념, 의도, 욕구, 감정, 지식 등의 정신상태(mental state)에 대하여 자신 혹은 타인에게서 그 유래를 찾아내는 것을 말한다. 개인적 수용능력으로서 마음 이론은 타인이 자신과는 다른 신념, 욕구, 의도,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마음 이론이 제대로 작동하는 것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중요하며, 마음 이론의 결함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유전적 섭식장애(genetic-based eating disorder), 조현병(schizophrenia),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2] 코카인 중독(cocaine addiction),[3] 알코올 신경독성(alcohol's neurotoxicity)에 의한 뇌손상(brain damage) 환자들에게서 보인다.[4] 아편중독으로 인한 마음 이론 결함은 장기간 아편 흡입을 중단한 이후에야 뒤바뀐다.[5]

마음 이론은 심리철학(philosophy of mind)과는 다르다.

정의

마음이론은 타인의 진술이나 표정 등의 겉으로 나타난 결과물만이 직접 관찰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론이다. 마음과 내용은 직접 관찰될 수 없기에 마음의 존재양상과 본성은 추론될 수 밖에 없다.[6] 마음이론은 타인에게 마음이 있다는 가정이라고 정의하는데, 이는 사람이 자기 성찰을 통해서만 자신의 마음의 존재를 알 수 있고, 타인의 마음으로 직접 들어갈 수도 없기에, 마음이 존재한다는 것과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타인의 관찰로부터만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타인은 자신과 같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런 가정은 공동관심(joint attention)[7], 언어의 기능적 사용[8], 타인의 감정과 행동에 대한이해[9]에서 관찰되는 호혜적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반한다. 마음이론을 가지게 되면, 타인에게 사고, 욕구, 의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설명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의도나 목적이 무엇인지를 상정할 수 있다. 원래 정의처럼, 마음이론은 마음 상태가 타인의 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타인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6] 타인에게 마음 상태가 있다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마음 상태가 행동의 원인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마음이란 표현을 발생시키는 것(generator of representation)으로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0][11] 마음이론이 완벽하게 있지 않으면, 인지나 발달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마음이론은 사람의 내면에 잠재된 능력으로 그것의 완벽한 발달을 위해서는 다년간의 사회적 경험 등을 필요로 한다. 사람마다 마음이론이 발달한 정도는 다르다. 인지발달에 대한 신피아제학파 이론(Neo-Piagetian theories of cognitive development)은 마음이론이란 기능을 인식하고 감시하며 표현하는 인간 마음의 초인지적(hypercognitive) 능력의 부산물이라고 주장한다.[12]

공감(Empathy)은 관련된 개념으로, 타인의 마음, 신념, 욕구, 감정 상태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역지사지(put oneself into another's shoes)'라는 말로도 표현된다. 최근 동물 행동에 관란 신경동태학 연구(neuro-ethological studies)에서는 설치류도 윤리적 혹은 공감적 능력을 보인다고 밝혔다.[13] 공감이 감정적 조망수용(emotional perspective-taking)으로 알려져 있다면, 마음이론은 인지적 조망수용(cognitive perspective-taking)으로 정의된다.[14]

인간과 동물, 성인과 어린이, 정상적 발달과 비정상적 발달에 관란 마음이론 연구는, 데이비드 프레맥(David Premack)과 가이 우드러프(Guy Woodruff)의 1978년 논문 "침팬지는 마음이론이 있는가?(Does the chimpanzee have a theory of mind?)" 발표 이후 다년간 급격한 성장을 보여왔다.[6] 최근 부상하고 있는 분야인 사회신경과학(social neuroscience)에서도 인간의 두뇌를 영상화하는 작업을 통하여 이 논쟁을 다루기 시작하였다. 동시에 이들은 타인의 의도, 신념, 기타 마음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과업을 수행한다.

마음이론의 대안으로는 조작적 심리학(operant psychology)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조망수용과 공감의 기능적 설명에 대한 유의미한 실험증거를 제공한다. 가장 발달된 조작적 접근은 파생된 관계적 반응(derived relational responding)에 관한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관계구성틀이론(Relational frame theory) 내에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공감과 조망수용은 구별하는 것과 자기, 타자, 공간, 시간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기존에 맺은 관계들을 통하여 언어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배우는 것에 기반한 복잡한 파생된 관계적 능력을 구성한다.[15][16][17]

결함

마음이론 장애는 조망수용에 문제가 있다는 걸 말한다. 이는 또한 마음 장님(mind-blindness)라고도 한다. 마음장애가 있는 서람은 다른 관점으로 현상을 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18] 마음이론 결함을 경험하는 개인은 타인의 의도를 알아차리기 어렵고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지 못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갖기 어렵다.[19] 마음이론 결함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비언어학습장애(nonverbal learning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가 있는 사람,[2]알코올과 마약 영향을 받은 사람, 수면 부족, 심각한 감정적 신체적 고통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보였다. 마음이론 결함은 청각장애가 없는 부모에게서 태어나 수화로 소통하는 농아들에게도 보이지만, 결함은 인지 결함이 아닌 언어 학습이 늦기 때문에 발생하기에 아이가 수화를 배우면 사라진다.[20]

자폐증

1985년 사이먼 바론-코헨(Simon Baron-Cohen), 앨런 레슬리(Alan M. Leslie), 유타 프리스(Uta Frith)는 자폐증(autism) 어린이는 마음이론을 사용하지 않으며[21] 타인의 신념을 이해하는 과업을 수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아이가 언어 기술을 익히면서 지속되며[22] 자폐증의 주요 특징이라고 알려져 왔다.

자폐증으로 분류된 사람들은 타인에게 자신의 마음 상태를 보이는데 심각한 어려움이 있으며 일부는 마음이론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23] 자폐증과 마음이론의 관계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리를 설명하려 한다. 한 이론에서는 마음이론이 타인에게 마음 상태가 있다고 하는 것에 작동하며 유년기에는 가상놀이(pretend play)에서 그러한 역할을 한다.[24] 레슬리에 의하면,[24] 주위환경이 실제인지 여부는 상관없이 마음이론은 생각, 신념, 욕구를 표현하는 능력이다. 이것이 자폐증 환자에게서 마음이론과 가상놀이의 결한이 심각하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한다. 그러나 홉슨(Hobson)은 사회정서적 정당화(social-affective justification)를 제안하는데,[25] 이는 자폐증 환자에게 마음이론 결핍은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것의 왜곡으로부터 나온 것임을 뜻한다. 홉슨은 일반인의 경우 태어나면서 사회참조능력(social referencing ability)과 같이 타인의 느낌을 이해하고 이에 반응하게 하는 스킬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다른 학자들은 자폐증이 특정 발달 지연을 동반하여 자폐 어린이는 다양한 결함을 보이는데, 각각의 다른 성장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아주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장애는 공동관심 행동(joint-attention behavior)의 적절한 발달을 대체하여, 온전한 마음이론을 형성하지 못한다.[23]

추측되기로는[26] 이전에는 현존과 부재라는 구분된 두 가지의 형태로 비라보는 관점이었다면, 마음이론은 하나의 연속체(continuum)에 있다는 것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자폐증 환자 일부는 타인에게 마음 상태가 있다는 것을 모른다고 했으나,[7] 최근 연구에서는 유념에 둔 행동(mindful behavior)의 스펙트럼을 용이하게 하는 기제를 다루는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27] 마음이론에 관한 이분법적 관점은, 자폐증 환자가 공감이 없다는 가정이 비인간화의 근거가 되면서, 조망수용 능력이 있는 자폐증 성인에 대한 낙인(stigmatization)에 공헌하였다.[28]

미셸 타인(Michele Tine) 등은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 어린이보다 자폐 어린이가 사회적 마음이론의 측정에서 훨씬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다고 하였다.[29]

보통 마음이론 능력이 발달한 아이들은 사회기술도 발달하였으며,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적응능력도 뛰어나고 타인과의 협동심도 높다. 그 결과 이런 아동들은 사랑을 받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타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으로 친구들을 조종하거나 앞서 나가 생각하거나 놀리거나 속이기도 한다.[30] 자폐스펙트럼의 아이들처럼 마음이론이 열등한 아이들은 타인과 소통이 어려우기에 또래들로부터 거절당한다. 사회적 거절(Social rejection)은 아이들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우울 증세를 발달시킬 위험이 크다.[31]

또래 매개 개입(Peer-mediated interventions, PMI)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학교 기반 치료법으로,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고자 또래들이 롤모델이 되도록 훈련받는다. 라기(Laghi) 등은 연구에서 PMI 프로그램의 적절한 후보군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생님의 추천과 함께, 친사회적(착한) 마음이론 행동과 반사회적(못된) 마음이론 행동의 분석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마음이론 기술이 발달하여 친사회적인 방식으로 이런 기술을 사용하는 어린이를 후보로 선택하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실제 결과에서는 PMI 프로그램을 위한 후보군의 마음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가치가 없다고 밝혀져, 롤모델로서 후보들의 행동이 좋은 예측변수가 되지 못할 것이다.[32]

2014년 코크란 리뷰(Cochrane review)에서 마음이론에 기반한 개입들은 자폐환자에게 가르칠 수 있지만 기술를 유지하거나 다른 환경에서도 일반화할 수 있는지 혹은 관련 기술에 대한 발달 효과가 있는지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하였다.[33]

각주

  1. Gernsbacher, Morton Ann; Yergeau, Melanie (2019). “Empirical Failures of the Claim That Autistic People Lack a Theory of Mind”. 《Archives of Scientific Psychology》 7 (1): 102–118. doi:10.1037/arc0000067. ISSN 2169-3269. PMC 6959478. PMID 31938672. 
  2. Korkmaz, Baris (May 2011). “Theory of mind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of childhood”. 《Pediatric Research》 (New York City: Springer Nature) 69 (5 Pt 2): 101R–8R. doi:10.1203/PDR.0b013e318212c177. PMID 21289541. S2CID 2675335. 
  3. Sanvicente-Vieira, Breno; Kluwe-Schiavon, Bruno; Corcoran, Rhiannon; Grassi-Oliveira, Rodrigo (2017년 3월 1일). “Theory of Mind Impairments in Women With Cocaine Addict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New Brunswick,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78 (2): 258–267. doi:10.15288/jsad.2017.78.258. PMID 28317506. 
  4. Uekermann, Jennifer; Daum, Irene (May 2008). “Social cognition in alcoholism: a link to prefrontal cortex dysfunction?”. 《Addiction》 (London, England: Wiley-Blackwell) 103 (5): 726–35. doi:10.1111/j.1360-0443.2008.02157.x. PMID 18412750. 
  5. Ieong, Hada Fong-ha; Yuan, Zhen (April 2018). “Emotion recognition and its relation to prefrontal function and network in heroin plus nicotine dependence: a pilot study.”. 《Neurophotonics》 (Bellingham, Washington: SPIE) 5 (2): 025011. doi:10.1117/1.NPh.5.2.025011. PMC 5993953. PMID 29901032. 
  6. Premack, David; Woodruff, Guy (December 1978). “Does the chimpanzee have a theory of mind?”.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 (4): 515–526. doi:10.1017/S0140525X00076512. 
  7. Baron-Cohen, Simon (1991), 〈Precursors to a theory of mind: Understanding attention in others〉, Whiten, Andrew, 《Natural theories of mind: evolution, development, and simulation of everyday mindreading》, Oxford, UK Cambridge, Massachusetts: B. Blackwell, 233–251쪽, ISBN 9780631171942. 
  8. Bruner, J. S. (1981). Intention in the structure of action and interaction. In L. P. Lipsitt & C. K. Rovee-Collier (Eds.), Advances in infancy research. Vol. 1 (pp. 41-56).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9. Gordon, R. M. (1996).'Radical' simulationism. In P. Carruthers & P. K. Smith, Eds. Theories of theories of min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Courtin, C. (2000). “The impact of sign language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deaf children: The case of theories of mind”.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5 (3): 266–276. doi:10.1093/deafed/5.3.266. PMID 15454505. 
  11. Courtin, C.; Melot, A.-M. (2005). “Metacognitive development of deaf children: Lessons from the appearance-reality and false belief tasks”. 《Developmental Science》 8 (1): 16–25. doi:10.1111/j.1467-7687.2005.00389.x. PMID 15647063. 
  12. Demetriou, A., Mouyi, A., & Spanoudis, G. (2010). The development of mental processing. Nesselroade, J. R. (2010). Methods in the study of life-span human development: Issues and answers. In W. F. Overton (Ed.), Biology, cognition and methods across the life-span. Volume 1 of the Handbook of life-span development (pp. 36-55), Editor-in-chief: R. M. Lerner. Hoboken, New Jersey: Wiley.
  13. de Waal, Franz B.M. (2007), "Commiserating Mice" Scientific American, 24 June 2007
  14. Hynes, Catherine A.; Baird, Abigail A.; Grafton, Scott T. (2006). “Differential role of the orbital frontal lobe in emotional versus cognitive perspective-taking”. 《Neuropsychologia》 44 (3): 374–383. doi:10.1016/j.neuropsychologia.2005.06.011. PMID 16112148. S2CID 13159903. 
  15. Hayes, S. C., Barnes-Holmes, D., & Roche, B. (2001). Relational frame theory: A post-Skinnerian account of human language and cognition.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16. Rehfeldt, R. A., and Barnes-Holmes, Y., (2009). Derived Relational Responding: Applications for learners with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Oakland, California: New Harbinger.
  17. McHugh, L. & Stewart, I. (2012). The self and perspective-taking: Contributions and applications from modern behavioral science. Oakland, California: New Harbinger.
  18. Moore, S. (2002). 《Asperger Syndrome and the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Shawnee Mission, Kansas: Autism Asperger Publishing Company. 
  19. Baker, J. (2003).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and Social-Communication Problems》. Mission, Kansas: Autism Asperger Publishing Company. 
  20. Peterson, Candida; 외. (2016), “Peer Social Skills and Theory of Mind in Children with Autism, Deafness, or Typic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52 (1): 46–57, doi:10.1037/a0039833, PMID 26524383 [깨진 링크]
  2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Baron-Cohen, Frith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2. Happe, FG (1995). “The role of age and verbal ability in the theory of mind task performance of subjects with autism”. 《Child Development》 66 (3): 843–55. doi:10.2307/1131954. JSTOR 1131954. PMID 7789204. 
  23. Baron-Cohen, Simon (1991), 〈Precursors to a theory of mind: Understanding attention in others〉, Whiten, Andrew, 《Natural theories of mind: Evolution, development, and simulation of everyday mindreading》, Cambridge, Massachusetts: Basil Blackwell, 233–251쪽, ISBN 9780631171942. 
  24. Leslie, Alan M. (1991), 〈Theory of mind impairment in autism〉, Whiten, Andrew, 《Natural theories of mind: Evolution, development, and simulation of everyday mindreading》, Cambridge, Massachusetts: Basil Blackwell, ISBN 9780631171942. 
  25. Hobson, R.P. (1995). 《Autism and the development of min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ISBN 9780863772399. 
  26.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Leslie, A. M. 1991 pp. 63-7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7. Dapretto, M.; 외. (2006). “Understanding emotions in others: mirror neuron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Nature Neuroscience》 9 (1): 28–30. doi:10.1038/nn1611. PMC 3713227. PMID 16327784. 
  28. Yergeau, Melanie (2013). “Clinically Significant Disturbance: On Theorists Who Theorize Theory of Mind”. 《Disability Studies Quarterly》 33 (4). doi:10.18061/dsq.v33i4.3876. I will say something about autism, and someone will assert that nothing I've said matters or applies to anything. Because I am self-centered. Because I do not have the capacity to intuit other minds or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others. 
  29. Tine, Michele; Lucariello, Joan (2012). “Unique Theory of Mind Differenti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utism Research and Treatment》 2012: 1–11. doi:10.1155/2012/505393. PMC 3420603. PMID 22934174. 
  30. Astington, J. W. (2003), “Sometimes necessary, never sufficient: False-belief 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ory of Mind: Implications for Typical and Atypical Development》: 13–38 
  31. Chung, K.; Reavis, S.; Mosconi, M.; Drewry, J.; Matthews, T.; Tassé, M. J. (2007), “Peer-mediate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8 (4): 423–436, doi:10.1016/j.ridd.2006.05.002, PMID 16901676 
  3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Laghi 2016 207–216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33. Fletcher-Watson, Sue; McConnell, Fiona; Manola, Eirini; McConachie, Helen (2014년 3월 21일). “Interv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Mind cognitive model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CD008785. doi:10.1002/14651858.CD008785.pub2. ISSN 1469-493X. PMC 6923148. PMID 24652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