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뮤온 중성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리듬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번역:en:Muon neutrino
1번째 줄: 1번째 줄:
{{입자 정보
{{입자 정보
|bgcolour =
|이름 = 뮤온 중성미자
|name = 뮤온 중성미자
|구성 = [[기본입자]]
|image =
|가족 = [[페르미 입자]]
|caption =
|세대 = 2세대
|num_types =
|상호작용 = [[약한 상호작용]], [[중력]]
|composition = [[기본 입자]]
|기호 = {{아원자입자|뮤온중성미자}}
|무리 = [[렙톤]]
|statistics = [[페르미온]]
|group = [[렙톤]]
|반입자 = [[뮤온 반중성미자]]
|generation = 2세대
|이론 = (1940년대)
|interaction = [[약한 상호작용]], [[중력]]
|발견 = [[리언 레더먼|레더먼]], [[멜빈 슈워츠|슈워츠]], [[잭 스타인버거|스타인버거]](1962년)
|particle =
|질량 = 미세하지만 질량이 있다.([[중성미자]] 참조)
|antiparticle = 뮤온 반중성미자 ({{SubatomicParticle|뮤온 반중성미자}})
|전하 = 0 [[기본 전하|''e'']]
|theorized = (1940년대)
|스핀 = 1/2
|discovered = [[리언 레더먼]],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 (1962)
|symbol = {{SubatomicParticle|Muon neutrino}}
|mass = 작지만 0은 아니다. (''[[중성미자#질량|중성미자 질량]]'')
|decay_time =
|decay_particle =
|electric_charge = 0 [[기본 전하|''e'']]
|color_charge = 없음
|spin = {{sfrac|1|2}}
|num_spin_states =
|weak_isospin = {{sfrac|1|2}}
|weak_hypercharge= −1
|chirality = 왼손형 (오른손형 중성미자에 대해서는 [[비활성 중성미자]] 참고)
}}
'''뮤온 중성미자'''({{llang|en|muon neutrino}}, 기호: {{아원자입자|muon neutrino}})는 [[전하|전기 전하]]가 없는 [[경입자]]로, [[기본입자|기본]] [[아원자 입자]] 이다. [[뮤온]]과 같이 [[세대 (물리학)|2세대]]를 이루기 때문에 뮤온 [[중성미자]]라고 이름이 붙혀졌다. 뮤온 중성미자는 1940년대 초에 여러 사람에 의해 처음 추측되었으며, 1962년 [[리언 레더먼]]과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가 공동으로 발견하여, 그 공로로 198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발견==
1962년에 [[리언 레더먼]]과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가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에서 실험을 통해 중성미자가 한 종류 이상 존재하는 것을 [[뮤온]] 중성미자(이미 ''neutretto''(중성 중간자)라는 이름으로 가설이 세워져 있었다<ref>
{{arXiv 인용
|author=I.V. Anicin
|year=2005
|title=The Neutrino - Its Past, Present and Future
|eprint=physics/0503172
}}</ref>)와의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감지해서 증명하여,<ref name="slac.stanford.edu">
{{저널 인용|author1=G. Danby |author2=J.-M. Gaillard |author3=K. Goulianos |author4=L. M. Lederman |author5=N. B. Mistry |author6=M. Schwartz |author7=J. Steinberger |year=1962 |title=Observation of high-energy neutrino reactions and the existence of two kinds of neutrinos |journal=[[피지컬 리뷰 레터|Physical Review Letters]] |volume=9 |issue=1 |pages=36 |doi=10.1103/PhysRevLett.9.36 |bibcode=1962PhRvL...9...36D }}</ref> [[노벨 물리학상|1988년 노벨상]]을 수상했다.<ref>
{{웹 인용
|date=
|url=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laureates/1988/index.html
|title=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8
|publisher=[[노벨 재단]]
|accessdate=2010-02-11
}}</ref>

==속도==
{{본문|초광속#초광속_중성미자_검출_착오}}
2011년 9월에 OPERA 연구자들은 뮤온 중성미자가 분명히 [[광속]]보다 [[초광속|빠르게]] 이동한다고 발표했다. 이 결과는 2011년 11월에 두 번째 실험으로 다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과학 공동체에서 회의적인 시각으로 보았으며, 더 많은 실험으로 이 현상을 조사했다. 2012년 3월 ICARUS팀이 OPERA의 결과와 직접적으로 모순되는 결과를 발표했다.<ref name=ICARUS>{{저널 인용|arxiv = 1203.3433v3|last1 = Anicin|first1 = Ivan V.|last2 = Aprili|first2 = P.|last3 = Baiboussinov|first3 = B.|last4 = Baldo Ceolin|first4 = M.|last5 = Benetti|first5 = P.|last6 = Calligarich|first6 = E.|last7 = Canci|first7 = N.|last8 = Centro|first8 = S.|last9 = Cesana|first9 = A.|last10 = Cieślik|first10 = K.|last11 = Cline|first11 = D.B.|last12 = Cocco|first12 = A.G.|last13 = Dabrowska|first13 = A.|last14 = Dequal|first14 = D.|last15 = Dermenev|first15 = A.|last16 = Dolfini|first16 = R.|last17 = Farnese|first17 = C.|last18 = Fava|first18 = A.|last19 = Ferrari|first19 = A.|last20 = Fiorillo|first20 = G.|last21 = Gibin|first21 = D.|last22 = Gigli Berzolari|first22 = A.|last23 = Gninenko|first23 = S.|last24 = Guglielmi|first24 = A.|last25 = Haranczyk|first25 = M.|last26 = Holeczek|first26 = J.|last27 = Ivashkin|first27 = A.|last28 = Kisiel|first28 = J.|last29 = Kochanek|first29 = I.|last30 = Lagoda|first30 = J.|title = Measurement of the neutrino velocity with the ICARUS detector at the CNGS beam|journal = Physics Letters B|volume = 713|issue = 1|pages = 17–22|year = 2012|doi = 10.1016/j.physletb.2012.05.033|displayauthors = 29|bibcode = 2012PhLB..713...17A}}</ref>

이후, 2012년 7월에 중성미자의 변칙적인 초광속 전파는 [[그란사소]]의 광섬유 타이밍 시스템<!--fibre optic timing system-->의 잘못된 요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교정한 후에 측정된 중성미자는 실험 오차 내로 광속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나다났다.<ref name=Cern2012>{{뉴스 인용|url=http://press.web.cern.ch/press-releases/2011/09/opera-experiment-reports-anomaly-flight-time-neutrinos-cern-gran-sasso|title=OPERA experiment reports anomaly in flight time of neutrinos from CERN to Gran Sasso (UPDATE 8 June 2012)|accessdate=19 April 2013|date=8 June 2012|work=CERN press office}}</ref>

==같이 보기==
*[[전자 중성미자]]
*[[중성미자 진동]]
*[[PMNS 행렬]]
*[[타우 중성미자]]

==참고 문헌==
{{각주}}

==더 알아보기==
*{{웹 인용
|author=[[리언 레더먼]]
|year=1988
|url=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laureates/1988/lederman-lecture.pdf
|title=Observations in Particle Physics from Two Neutrinos to the Standard Model
|work=Nobel Lectures
|publisher=[[노벨 재단]]
|accessdate=2010-02-11
}}
*{{웹 인용
|author=[[멜빈 슈워츠]]
|year=1988
|url=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laureates/1988/schwartz-lecture.pdf
|title=The First High Energy Neutrino Experiment
|work=Nobel Lectures
|publisher=[[노벨 재단]]
|accessdate=2010-02-11
}}
*{{웹 인용
|author=[[잭 스타인버거]]
|year=1988
|url=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laureates/1988/steinberger-lecture.pdf
|title=Experiments with High-Energy Neutrino Beams
|work=Nobel Lectures
|publisher=[[노벨 재단]]
|accessdate=2010-02-11
}}
}}
'''뮤온 중성미자'''는 2세대 [[중성미자]]이다. 1960년 발견되었다. [[뮤온]]과의 연관성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1940년대 초에 여러 사람에 의해 처음 추측되었으며, 1962년 [[리언 레더먼]]과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가 공동으로 발견했다. 뮤온 중성미자를 발견한 공로로 198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기본 입자}}
{{기본 입자}}
{{토막글|물리학}}


[[분류:중성미자]]
[[분류:중성미자]]
[[분류:경입자]]
[[분류:기본 입자]]

2018년 11월 8일 (목) 22:09 판

뮤온 중성미자
구성기본 입자
통계페르미온
세대2세대
상호작용약한 상호작용, 중력
기호
ν
μ
반입자뮤온 반중성미자 (
ν
μ
)
이론(1940년대)
발견리언 레더먼,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 (1962)
질량작지만 0은 아니다. (중성미자 질량)
전하0 e
색전하없음
스핀1/2
약한 아이소스핀1/2
약한 초전하−1
카이랄성왼손형 (오른손형 중성미자에 대해서는 비활성 중성미자 참고)

뮤온 중성미자(영어: muon neutrino, 기호:
ν
μ
)는 전기 전하가 없는 경입자로, 기본 아원자 입자 이다. 뮤온과 같이 2세대를 이루기 때문에 뮤온 중성미자라고 이름이 붙혀졌다. 뮤온 중성미자는 1940년대 초에 여러 사람에 의해 처음 추측되었으며, 1962년 리언 레더먼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가 공동으로 발견하여, 그 공로로 198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발견

1962년에 리언 레더먼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에서 실험을 통해 중성미자가 한 종류 이상 존재하는 것을 뮤온 중성미자(이미 neutretto(중성 중간자)라는 이름으로 가설이 세워져 있었다[1])와의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감지해서 증명하여,[2] 1988년 노벨상을 수상했다.[3]

속도

2011년 9월에 OPERA 연구자들은 뮤온 중성미자가 분명히 광속보다 빠르게 이동한다고 발표했다. 이 결과는 2011년 11월에 두 번째 실험으로 다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과학 공동체에서 회의적인 시각으로 보았으며, 더 많은 실험으로 이 현상을 조사했다. 2012년 3월 ICARUS팀이 OPERA의 결과와 직접적으로 모순되는 결과를 발표했다.[4]

이후, 2012년 7월에 중성미자의 변칙적인 초광속 전파는 그란사소의 광섬유 타이밍 시스템의 잘못된 요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교정한 후에 측정된 중성미자는 실험 오차 내로 광속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나다났다.[5]

같이 보기

참고 문헌

  1. I.V. Anicin (2005). “The Neutrino - Its Past, Present and Future”. arXiv:physics/0503172. 
  2. G. Danby; J.-M. Gaillard; K. Goulianos; L. M. Lederman; N. B. Mistry; M. Schwartz; J. Steinberger (1962). “Observation of high-energy neutrino reactions and the existence of two kinds of neutrinos”. 《Physical Review Letters9 (1): 36. Bibcode:1962PhRvL...9...36D. doi:10.1103/PhysRevLett.9.36. 
  3.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8”. 노벨 재단. 2010년 2월 11일에 확인함. 
  4. Anicin, Ivan V.; Aprili, P.; Baiboussinov, B.; Baldo Ceolin, M.; Benetti, P.; Calligarich, E.; Canci, N.; Centro, S.; Cesana, A.; Cieślik, K.; Cline, D.B.; Cocco, A.G.; Dabrowska, A.; Dequal, D.; Dermenev, A.; Dolfini, R.; Farnese, C.; Fava, A.; Ferrari, A.; Fiorillo, G.; Gibin, D.; Gigli Berzolari, A.; Gninenko, S.; Guglielmi, A.; Haranczyk, M.; Holeczek, J.; Ivashkin, A.; Kisiel, J.; Kochanek, I.; 외. (2012). “Measurement of the neutrino velocity with the ICARUS detector at the CNGS beam”. 《Physics Letters B》 713 (1): 17–22. arXiv:1203.3433v3. Bibcode:2012PhLB..713...17A. doi:10.1016/j.physletb.2012.05.033. 
  5. “OPERA experiment reports anomaly in flight time of neutrinos from CERN to Gran Sasso (UPDATE 8 June 2012)”. 《CERN press office》. 2012년 6월 8일. 2013년 4월 19일에 확인함. 

더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