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쇼와 난카이 지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89번째 줄: 89번째 줄:
== 지진의 특징 ==
== 지진의 특징 ==
=== 규모 ===
=== 규모 ===
[[일본 기상청 규모]]M<sub>j</sub>)는 8.0을 기록하였다.<ref name="JMA정보" /> 약 20초 주기의 표면파 규모는 M<sub>s</sub>8.2이며,<ref>{{책 인용 |저자 = 宇津徳治 |제목 = 世界の被害地震の表(古代から1989年まで) |날짜 = 1990년 |쪽 = 243}}</ref><ref name="hiroo2">{{저널 인용 |url = http://gps-prod-storage.cloud.caltech.edu.s3.amazonaws.com/people_personal_assets/kanamori/HKjgr77.pdf |제목 = The Energy Release in Great Earthquakes |저자 = Hiroo Kanamori |저널 =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날짜 = 1977년 7월 10일 |권 = 82 |호 = 20 |쪽 = 2981-2987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 |doi = 10.1029/JB082i020p02981}}</ref> [[모멘트 규모]](M<sub>w</sub>)는 8.1에서<ref name="hiroo2" /> 최대 8.4로 추정된다.<ref>{{저널 인용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0031920182900899 |제목 =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저자 = Masataka Ando |저널 =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권 = 28 |호 = 4 |날짜 = 1982년 7월 |쪽 = 320-336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 |doi = 10.1016/0031-9201(82)90089-9}}</ref><ref>{{저널 인용 |url = https://www.jstage.jst.go.jp/article/eps1998/53/4/53_4_235/_article/-char/ja/ |제목 =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6 Nankai earthquake and aseismic slips caused by the earthquake |저널 = Earth, Planets and Space |권 = 53 |호 = 4 |날짜 = 2001년 |쪽 = 235-241 |확인날짜 = 2018년 10월 1일 |doi = 10.1186/BF03352380}}</ref>


== 더 보기 ==
== 더 보기 ==

2018년 10월 1일 (월) 14:03 판

쇼와 난카이 지진
본진
UTC 시각??
ISC 지진번호
USGS-ANSS
발생일 *1946년 12월 21일
발생시간 *4시 19분 4.1초 (JST)[1]
현지일
현지시간
규모   일본 기상청 규모 (Mj)[1] 8.0

모멘트 규모 Mw 8.1-8.4
최대 진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진도 6 : 구마노시
진원 깊이24[1] km
진앙일본 기이반도 해역[1]
북위 32° 56′ 06″ 동경 135° 50′ 54″ / 북위 32.93500° 동경 135.84833°  / 32.93500; 135.84833
종류해구형지진[2], 역단층형 지진
여진
최대여진1948년 4월 18일 규모 M7.0 최대진도4 지진[3]
피해
지진해일최대 4-6m
사상자1,330명 사망[4]

쇼와 난카이 지진(일본어: 昭和南海地震, しょうわなんかいじしん)은 1946년 12월 21일 오전 4시 19분 시오노미사키곶 남쪽 앞바다 78km 지점에서 일어난 일본 기상청 규모 Mj8.0(모멘트 규모 Mw8.4)의 지진이다.[1] 1946년 난카이 지진(1946年南海地震)이나 일본에선 짧게 난카이 지진(일본어: 南海地震)이라고도 한다.[5] 필리핀해판유라시아판 아래로 침강하면서 만들어진 난카이 해곡을 따라 일어난 전형적인 해구형지진이다.[2] 이 지진으로 서남일본 지역이 쓰나미의 피해를 입었다.

난카이 해곡에선 주기적으로 거대지진이 일어나고 있으며,[6] 안세이 난카이 지진이 일어난 지 92년만에 일어난 지진이다. 또한 난카이 지진 2년 전인 1944년엔 쇼와 도난카이 지진이 일어났다. 도난카이 지진이 일어난 후 이마무라 아키쓰네는 "호에이 지진안세이 도카이/난카이 지진은 도카이에서 난카이까지 광범위한 단층이 있었으나 (1944년의 지진은) 도카이도 방면만 단층이 생겨 난카이 지역 단층도 주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이에 주목한 사람은 없었다.[7][8]

1940년대 일본에는 1943년 돗토리 지진, 1945년 미카와 지진 등 사망자 1,000명인 지진이 잇달아 일어나 이를 묶어 태평양 전쟁 종전 전후 4대 지진이라 부른다.[9]

각지의 진도

진도 4 이상을 느낀 지역은 다음과 같다.[1]

진도 지방 관측소
진도6 (위탁관측소) 사이다이지오쿠구마노고제쓰다시모타카세노네・하하지마섬(오키노시마섬)
진도5 호쿠리쿠 지방 후쿠이시
도카이 지방 기후시쓰시오와세시
긴키 지방 히코네시스모토시가시하라시와카야마시구시모토정
주고쿠 지방 사카이미나토시
시코쿠 지방 도쿠시마시다카마쓰시다도쓰정무로토시고치시스쿠모시
규슈 지방 오이타시
진도4 간토 지방 구마가야시
고신 지방 고후시스와시이다시
호쿠리쿠 지방 조에쓰시쓰루가시
도카이 지방 나고야 시가메야마시이가시
긴키 지방 미야즈시교토시오사카시고베시
주고쿠 지방 돗토리시요나고시마쓰에시하마다시오키노시마정오카야마시후쿠야마시
시코쿠 지방 마쓰야마시우와지마시
규슈 지방 운젠시미나미아소촌구마모토시히토요시시미야자키시

고치 기상소에 기록된 진동 시간은 약 9분이었으나 매우 심하게 흔들린 시간은 약 1-2분 정도이다. 하지만 실제 지진을 경험한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9분간 강하게 흔들렸다는 말이 나와 이는 지진에 대한 공포심으로 길게 느낀 것으로 추정한다.[10] 고치에서 느낀 초기 지진 미동은 18.2초이다.[11]

일본 중앙기상대가 관측한 최대 진동은 진도5(강진)으로, 시코쿠에서부터 기이반도, 도카이 지방, 호쿠리쿠 지방, 사카이미나토, 오이타 지방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강한 진동을 느꼈다. 홋카이도모리정에선 진도1(미진)을, 우라카와정에선 진도3(약진)을 기록했다. 또한 위탁관측소의 기록에선 시코쿠에서 아와지섬, 기이반도 일부에서 진도6(열진)을 느꼈다고 보고했다.[12][13]

지진의 특징

규모

일본 기상청 규모Mj)는 8.0을 기록하였다.[1] 약 20초 주기의 표면파 규모는 Ms8.2이며,[14][15] 모멘트 규모(Mw)는 8.1에서[15] 최대 8.4로 추정된다.[16][17]

더 보기

각주

  1.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2. Hiroo Kanamori (1972년).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5: 129-139. doi:10.1016/0031-9201(72)90082-9.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3.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4. 中央気象台 編 (1946년). “昭和二一年一二月二一日南海道大地震調査概報” (일본어). 中央気象台. doi:10.11501/1140446.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5. “過去の地震津波災害”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6. 古村孝志, 2015, 南海トラフ地震の"新しい"地震像, 南海トラフ広域地震防災研究プロジェクト研究交流会
  7. 今村 明恒 (1944년). “遠州沖大地震所感”. 《地震 第1輯》 (일본어) (著者情報) 16 (11-12): 299-303. doi:10.14834/zisin1929.16.299.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8. “1944 東南海地震・1945 三河地震” (일본어). 일본 내각부. 2007년 3월. 2012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29일에 확인함. 
  9. “戦中戦後の歴史に埋もれた「昭和の4連続超巨大地震」” (일본어). naver.jp.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0. 間城龍男 『宝永大地震 -土佐最大の被害地震-』 あさひ謄写堂、1995年
  11. 『南海大震災誌』 高知県、1949年
  12. 中央気象台「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昭和21年12月
  13. 2 歴史地震の震度分布 内閣府
  14. 宇津徳治 (1990년). 《世界の被害地震の表(古代から1989年まで)》. 243쪽. 
  15. Hiroo Kanamori (1977년 7월 10일). “The Energy Release in Great Earthquakes”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2 (20): 2981-2987. doi:10.1029/JB082i020p02981.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6. Masataka Ando (1982년 7월). “A fault model of the 1946 Nankaido earthquake derived from tsunami data”.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28 (4): 320-336. doi:10.1016/0031-9201(82)90089-9.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17.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6 Nankai earthquake and aseismic slips caused by the earthquake”. 《Earth, Planets and Space》 53 (4): 235-241. 2001년. doi:10.1186/BF03352380.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외부 링크

地震予知連絡会会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