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사 미분 연산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0번째 줄: 80번째 줄:
* {{서적 인용|이름=Michael Eugene|성=Taylor|제목= Pseudodifferential operators|출판사= Princeton Univ. Press 1981 |isbn=978-0-691-08282-0 | 총서=Princeton Mathematical Series | 권=34 | url=http://press.princeton.edu/titles/803.html |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이름=Michael Eugene|성=Taylor|제목= Pseudodifferential operators|출판사= Princeton Univ. Press 1981 |isbn=978-0-691-08282-0 | 총서=Princeton Mathematical Series | 권=34 | url=http://press.princeton.edu/titles/803.html |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이름=Mkhail A.|성= Shubin|제목= Pseudodifferential operators and spectral theory|출판사=Springer|날짜= 2001|isbn= 3-540-41195-X | doi=10.1007/978-3-642-56579-3 | 기타= S.I. Andersson 역|판=2 |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이름=Mkhail A.|성= Shubin|제목= Pseudodifferential operators and spectral theory|출판사=Springer|날짜= 2001|isbn= 3-540-41195-X | doi=10.1007/978-3-642-56579-3 | 기타= S.I. Andersson 역|판=2 |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이름=François|성=Treves|제목= Introduction to pseudo differential and Fourier integral operators|총서=University Series in Mathematics|출판사=Plenum Publishing Company | 날짜= 1981|isbn= 0-306-40404-4 |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이름=Jean-François|성=Treves|제목= Introduction to pseudodifferential and Fourier integral operators|총서=The University Series in Mathematics| doi=10.1007/978-1-4684-8780-0 | 출판사=Springer| 날짜= 1980|isbn=978-1-4684-8782-4 |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이름=F. G.|성= Friedlander |이름2= M. |성2=Joshi|제목=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distributions|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 |날짜=1999|isbn=0-521-64971-4 | 언어고리=en}}
* {{서적 인용|이름=F. G.|성= Friedlander |이름2= Mark Suresh |성2=Joshi|제목=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distributions|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 |판=2 | 날짜=1999-01|isbn=978-0-521-64015-2
| url = http://www.cambridge.org/us/academic/subjects/mathematics/abstract-analysis/introduction-theory-distributions-2nd-edition?format=HB | 언어고리=en}}
* {{cite book
* {{cite book
|first=Lars
|first=Lars

2015년 11월 5일 (목) 07:55 판

조화해석학에서, 유사 미분 작용소(類似微分作用素, 영어: pseudodifferential operator, 약자 ΨDO)는 미분 작용소와, 매끄러운 함수와의 곱셈의 공통된 일반화이다. 푸리에 변환 공간에서 위치와 운동량에 의존하는 임의의 매끄러운 함수를 곱한 뒤 다시 역변환시키는 연산이다.

정의

유클리드 공간 위의 복소수 값 매끄러운 함수의 집합을 이라고 쓰고, 복소수 값 콤팩트 지지 매끄러운 함수의 집합을 이라고 쓰자. 은 자연스럽게 프레셰 공간을 이루며, 은 자연스럽게 완비 거리화 가능 국소 볼록 공간을 이룬다.

위에 작용하는 유사 미분 작용소는 다음과 같은 꼴의 선형 작용소이다.

여기서

푸리에 변환이며,

매끄러운 함수이다. 를 유사 미분 작용소 표상(表象, 영어: symbol)이라고 한다.

위의 다중지표의 집합을 으로 쓰자. 어떤 정수 에 대하여 유사 미분 작용소 의 표상

를 만족시킨다면, 차 유사 미분 작용소라고 한다. 차 표상들의 집합은 보통 으로 쓰며, 차 유사 미분 작용소의 집합은 으로 쓴다. 모든 유사 미분 작용소는 함수로서 연속 함수이다.

유사 미분 작용소의 초함수 위의 작용

위의 분포

가 주어졌다고 하자. 위의 유사 미분 작용소 의 표상이 콤팩트 지지라고 하자. 그렇다면, 를 분포 위에 작용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에르미트 수반이다.

이에 따라, 콤팩트 지지 표상의 유사 미분 작용소는 분포 공간 위에 작용한다.

다양체 위의 유사 미분 작용소

매끄러운 다양체는 유클리드 공간의 열린집합 들을 매끄러운 추이 사상

으로 이어붙여 만든다.

유클리드 공간의 열린집합 및 유사 미분 작용소

및 매끄러운 미분 동형 ("좌표 변환")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작용소

를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역시 유사 미분 작용소임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만약 차 유사 미분 작용소라면 역시 차 유사 미분 작용소이다. 따라서, 좌표근방계에 조각마다 유사 미분 작용소를 정의한 뒤 일르 짜깁기하여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차 유사 미분 작용소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1]:§8

고전 유사 미분 작용소

차 표상 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표상의 열 가 존재한다면, 고전 표상(영어: classical symbol)이라고 한다.[1]:Definition 5.1

  • 동차함수이다. 즉, 이다.
  • 콤팩트 지지 매끄러운 함수 에 대하여, 만약 가 되는 0의 근방 가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고전 유사 미분 작용소(영어: classical pseudodifferential operator)는 그 표상이 고전 표상인 유사 미분 작용소이다. 고전 유사 미분 작용소의 집합을 으로 쓰자.

성질

위의, 표상이 인 유사 미분 작용소 에 대하여, 만약 콤팩트 지지 함수라면, 에 속한다. 즉,

이다.[1]:Theorem 4.2

임의의 미분 작용소

의 경우, 그 표상

을 정의하면 유사 미분 작용소

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매끄러운 함수 에 대하여, 곱셈 작용소

역시 표상이 인 유사 미분 작용소

역사

1960년대에 조지프 콘(영어: Joseph J. Kohn) · 루이스 니런버그 · 라르스 회르만데르 등이 유사 미분 작용소의 이론을 개발하였다. 이후, 유사 미분 작용소의 개념은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의 증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참고 문헌

  1. Joshi, M. S. (1999). “Introduction to pseudo-differential operators”. arXiv:math/9906155. 

바깥 고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