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플라스토퀴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플라스토퀴논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UNII
  • InChI=1S/C53H80O2/c1-40(2)21-13-22-41(3)23-14-24-42(4)25-15-26-43(5)27-16-28-44(6)29-17-30-45(7)31-18-32-46(8)33-19-34-47(9)35-20-36-48(10)37-38-51-39-52(54)49(11)50(12)53(51)55/h21,23,25,27,29,31,33,35,37,39H,13-20,22,24,26,28,30,32,34,36,38H2,1-12H3/b41-23+,42-25+,43-27+,44-29+,45-31+,46-33+,47-35+,48-37- 아니오아니오
    Key: FKUYMLZIRPABFK-RLAZMVNUSA-N 아니오아니오
  • CC=1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O)C=1C
성질
C53H80O2
몰 질량 749.221 g·mol−1
관련 화합물
관련 화합물
1,4-벤조퀴논
퀴논
유비퀴논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플라스토퀴논(영어: plastoquinone, PQ)은 광합성광의존적 반응에서 전자전달계에 관여하는 아이소프레노이드 퀴논 분자이다. PQ-A 또는 PQ-9로 알려진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플라스토퀴논은 9개의 아이소프레닐 단위의 곁사슬을 가지고 있는 2,3-다이메틸-1,4-벤조퀴논 분자이다. 다른 형태의 플라스토퀴논 예를 들어 PQ-3(9개가 아닌 3개의 아이소프레닐 단위의 곁사슬을 가짐)와 같은 더 짧은 곁사슬을 가지는 것처럼 다른 형태의 곁사슬을 가지는 PQ-B, PQ-C, PQ-D와 같은 유사체들이 있다.[1] 벤조퀴논과 아이소프레닐 단위는 둘 다 비극성이며, 일반적으로 소수성 꼬리가 발견되는 지질 이중층의 내부에 분자가 위치한다.[1]

플라스토퀴논은 아이소프레닐 곁사슬의 길이, 메톡시기메틸기로의 치환, 퀴논의 2번 위치에 있는 메틸기의 제거에서 차이가 날뿐 유비퀴논(조효소 Q10)과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유비퀴논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토퀴논은 플라스토세미퀴놀(불안정), 플라스토퀴놀과 같은 여러 가지 산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2]

환원형인 플라스토퀴놀은 또한 세포막을 손상시킬 수 있는 광합성 반응에서 생성되는 활성 산소를 감소시키는 항산화제 역할을 한다.[3] 이에 대한 예는 플라스토퀴놀이 초과산화물과 반응하여 과산화 수소와 플라스토세미퀴논을 생성하는 것이다.[3]

플라스토퀴논(PQ) → 플라스토세미퀴논(PQH.) → 플라스토퀴놀(PQH2)로의 환원 과정

접두사인 "플라스토-(plasto-)"는 색소체 또는 엽록체를 의미하며, 세포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4]

광합성에서의 역할

[편집]
전자의 흐름(빨간색 화살표로 표시)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 광계 II의 구조. 플라스토퀴논 결합 부위 QA 및 QB는 이러한 전자 흐름에 포함되며, 플라스토퀴논은 QB를 떠나 광의존적 반응의 다음 단계에 참여한다.

플라스토퀴논은 광합성의 광의존적 반응에서 틸라코이드 막의 전자 운반체로 역할을 한다.[2]

플라스토퀴논은 광계 II로부터 2개의 전자를 받고 엽록체스트로마로부터 2개의 수소 이온(H+)을 받아 플라스토퀴놀(PQH2)로 환원된다. 전자전달계에서 플라스토퀴놀은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를 통해 수용성 전자 운반체인 플라스토사이아닌으로 전자를 전달한다.[2]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플라스토퀴논과 플라스토사이아닌 사이의 전자전달을 촉매하며, 두 개의 수소 이온(H+)을 틸라코이드 내부로 운반한다.[2] 이러한 양성자(H+) 운반은 수소 이온의 전기화학적 기울기를 형성한다. 형성된 전기화학적 기울기는 광의존적 반응에서 ATP 생성효소에 의해 ADP와 Pi로부터 ATP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2]

광계 II 내에서

[편집]

플라스토퀴논은 광계 II 내의 QA 및 QB로 알려진 두 개의 특정 결합 부위에서 발견된다. 1차 결합 부위인 QA의 플라스토퀴논은 보다 쉽게 제거되는 2차 결합 부위인 QB의 플라스토퀴논에 비해 매우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5] QA는 단일 전자만 전달하기 때문에 QB스트로마로부터 두 개의 수소 이온(H+)를 전달받고 다른 플라스토퀴논 분자로 대체되기 전에 전자를 QB로 두 번 전달해야 한다. 양성자화된 QB는 틸라코이드 막에 있는 유리 플라스토퀴논 분자 풀에 합류한다.[2][5] 유리 플라스토퀴논 분자는 결국 전자를 수용성 플라스토사이아닌으로 전달하여 광의존적 반응을 지속시킨다.[2] 광계 II (QC 및 가능하면 QD) 내에 추가적인 플라스토퀴논 결합 부위가 있지만, 그 기능 및 존재는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5]

생합성

[편집]

p-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은 티로신으로부터 합성되는 반면 솔라네실 이인산은 비메발론산 경로를 통해 합성된다. 호모젠티스산p-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으로부터 생성되고 축합 반응을 통해 솔라네실 이인산과 결합한다. 생성된 대사 중간생성물인 2-메틸-6-솔라네실-1,4-벤조퀴놀은 메틸화되어 최종 생성물인 플라스토퀴놀-9를 생성한다.[1] 이 경로는 조류식물과 같은 대부분의 광합성 생물에서 사용된다.[1] 그러나 남세균은 플라스토퀴놀 합성에 호모젠티스산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아래에 그림으로 나타낸 것과는 다른 대사 경로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1]

중간생성물은 파란색, 효소는 검은색, 추가적인 경로는 녹색으로 표시된 PQ-9의 생합성 경로

유도체

[편집]

미토콘드리아 막(SkQ1 (플라스토퀴논일-데실-트라이페닐포스포늄), SkQR1 (SkQ1의 로다민 함유 유사체), SkQ3)을 투과하도록 설계된 일부 유도체항산화제프로토노포어로 작용한다.[6] SkQ1은 항산화 능력으로 인해 노화와 관련된 시력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노화 방지 치료제로 제안되었다.[7][8][9] 이러한 항산화 능력은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종종 생성되는 활성 산소를 감소시키는 항산화 능력(플라스토퀴놀을 포함하는 분자의 부분으로부터 유도됨)과 막을 통한 이온 교환을 증가시키는 능력(막 내에서 용해될 수 있는 양이온을 포함하는 분자의 부분으로부터 유도됨)에 기인한다.[9] 특히 플라스토퀴놀과 마찬가지로 SkQ1은 세포 내(생체 내)와 세포 위부(생체 외) 모두에서 초과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SkQR1 및 SkQ1은 또한 아밀로이드 베타로 인한 손상을 잠재적으로 수정하는 능력으로 인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뇌 문제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으로 제안되었다.[9] 또한 SkQR1은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나오는 활성 산소의 양을 감소시켜 세포사멸 신호를 예방하는 항산화 능력을 통해 뇌 외상으로 인한 문제를 줄이는 방법으로 밝혀졌다.[1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owicka, Beatrycze; Kruk, Jerzy (2010년 9월 1일). “Occurrence, biosynthesis and function of isoprenoid quinone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1797 (9): 1587–1605. doi:10.1016/j.bbabio.2010.06.007. ISSN 0006-3002. PMID 20599680. 
  2. Tikhonov, Alexander N. (2014년 8월 1일). “The cytochrome b6f complex at the crossroad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pathways”.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PPB》 81: 163–183. doi:10.1016/j.plaphy.2013.12.011. ISSN 1873-2690. PMID 24485217. 
  3. Mubarakshina, Maria M.; Ivanov, Boris N. (2010년 10월 1일). “The production and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plastoquinone pool of chloroplast thylakoid membranes”. 《Physiologia Plantarum》 140 (2): 103–110. doi:10.1111/j.1399-3054.2010.01391.x. ISSN 1399-3054. PMID 20553418. 
  4.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Plastoquinone Definition of plastoquinone
  5. Lambreva, Maya D.; Russo, Daniela; Polticelli, Fabio; Scognamiglio, Viviana; Antonacci, Amina; Zobnina, Veranika; Campi, Gaetano; Rea, Giuseppina (2014). “Structure/function/dynamics of photosystem II plastoquinone binding sites”. 《Current Protein & Peptide Science》 15 (4): 285–295. doi:10.2174/1389203715666140327104802. ISSN 1875-5550. PMC 4030317. PMID 24678671. 
  6. F.F. Severina; I.I. Severina; Y.N. Antonenkoa; T.I. Rokitskayaa; D.A. Cherepanovb; E.N. Mokhovaa; M.Yu. Vyssokikha; A.V. Pustovidkoa; O.V. Markovaa; L.S. Yaguzhinskya; G.A. Korshunovaa; N.V. Sumbatyana; M.V. Skulacheva; V.P. Skulacheva (2009). “Penetrating cation/fatty acid anion pair as a mitochondria-targeted protonophore.”. 《Proc. Natl. Acad. Sci. U.S.A.》 107 (2): 663–8. doi:10.1073/pnas.0910216107. PMC 2818959. PMID 20080732. 
  7. Skulachev, Vladimir P.; Anisimov, Vladimir N.; Antonenko, Yuri N.; Bakeeva, Lora E.; Chernyak, Boris V.; Erichev, Valery P.; Filenko, Oleg F.; Kalinina, Natalya I.; Kapelko, Valery I.; Kolosova, Natalya G.; Kopnin, Boris P.; Korshunova, Galina A.; Lichinitser, Mikhail R.; Obukhova, Lidia A.; Pasyukova, Elena G.; Pisarenko, Oleg I.; Roginsky, Vitaly A.; Ruuge, Enno K.; Senin, Ivan I.; Severina, Inna I.; Skulachev, Maxim V.; Spivak, Irina M.; Tashlitsky, Vadim N.; Tkachuk, Vsevolod A.; Vyssokikh, Mikhail Yu.; Yaguzhinsky, Lev S.; Zorov, Dmitry B. (2008). “An attempt to prevent senescence: A mitochondrial approach.”.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1787 (5): 437–461. doi:10.1016/j.bbabio.2008.12.008. PMID 19159610. 
  8. http://protein.bio.msu.ru/biokhimiya/contents/v73/pdf/bcm_1329.pdf Mitochondria-Targeted Plastoquinone Derivatives as Tools to Interrupt Execution of the Aging Program. 5. SkQ1 Prolongs Lifespan and Prevents Development of Traits of Senescence. Anisimov etal. 2008
  9. Isaev, N. K.; Stelmashook, E. V.; Stelmashook, N. N.; Sharonova, I. N.; Skrebitsky, V. G. (2013년 3월 1일). “Brain aging and mitochondria-targeted plastoquinone antioxidants of SkQ-type”. 《Biochemistry. Biokhimiia》 78 (3): 295–300. doi:10.1134/S0006297913030127. ISSN 1608-3040. PMID 23586724. S2CID 10787334. 
  10. Chistyakov, V. A.; Prazdnova, E. V.; Gutnikova, L. V.; Sazykina, M. A.; Sazykin, I. S. (July 2012).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plastoquinone derivative 10-(6'-plastoquinonyl)decyltriphenylphosphonium (SkQ1)”. 《Biochemistry. Biokhimiia》 77 (7): 776–778. doi:10.1134/S0006297912070103. ISSN 1608-3040. PMID 22817541. S2CID 17313702. 
  11. Isaev, N. K.; Novikova, S. V.; Stelmashook, E. V.; Barskov, I. V.; Silachev, D. N.; Khaspekov, L. G.; Skulachev, V. P.; Zorov, D. B. (September 2012). “Mitochondria-targeted plastoquinone antioxidant SkQR1 decreases trauma-induced neurological deficit in rat”. 《Biochemistry. Biokhimiia》 77 (9): 996–999. doi:10.1134/S0006297912090052. ISSN 1608-3040. PMID 23157258. S2CID 1191368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