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차수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 예 ==
== 예 ==
* 수열 1, 3, 5, 7, ...과 2, 4, 6, 8, ...의 계차수열은 모두 2, 2, 2, 2, ...이다.
* 수열 {{수학|1, 3, 5, 7, ...}}{{수학|2, 4, 6, 8, ...}}의 계차수열은 모두 {{수학|2, 2, 2, 2, ...}}이다.
* 수열 9, 99, 999, 9999, ...의 계차수열은 90, 900, 9000, ...이다. 이계차수열은 810, 8100, ...이다.
* 수열 {{수학|9, 99, 999, 9999, ...}}의 계차수열은 {{수학|90, 900, 9000, ...}}이다. 이계차수열은 {{수학|810, 8100, ...}}이다.
* [[피보나치 수열]] 1, 1, 2, 3, 5, 8, ...의 계차수열은 0, 1, 1, 2, 3, 5, 8, ...(피보나치 수열 앞에 0을 붙인 것)이다.
* [[피보나치 수열]] {{수학|1, 1, 2, 3, 5, 8, ...}}의 계차수열은 {{수학|0, 1, 1, 2, 3, 5, 8, ...}}(피보나치 수열 앞에 0을 붙인 것)이다.
* 주어진 수열 {{수학|''a<sub>n</sub>''}}의 합 {{수학|1=''S<sub>n</sub>'' = ''a<sub>1</sub>'' + … + ''a<sub>n</sub>''}}의 계차수열은 {{수학|''a<sub>2</sub>'', ''a<sub>3</sub>'', ''a<sub>4</sub>'', ...}}이다.
* 주어진 수열 {{수학|''a<sub>n</sub>''}}의 합 {{수학|1=''S<sub>n</sub>'' = ''a<sub>1</sub>'' + … + ''a<sub>n</sub>''}}의 계차수열은 {{수학|''a<sub>2</sub>'', ''a<sub>3</sub>'', ''a<sub>4</sub>'', ...}}이다.
* 등차수열 {{수학|''a'', ''a'' + ''d'', ''a''+ 2''d'', ...}}의 계차수열은 상수열 {{수학|''d'', ''d'', ''d'', ...}}이다. 특별히, 상수열 {{수학|''c'', ''c'', ''c'', ...}}의 계차수열은 0, 0, 0, ...이다.
* 등차수열 {{수학|''a'', ''a'' + ''d'', ''a''+ 2''d'', ...}}의 계차수열은 상수열 {{수학|''d'', ''d'', ''d'', ...}}이다. 특별히, 상수열 {{수학|''c'', ''c'', ''c'', ...}}의 계차수열은 0, 0, 0, ...이다.

2015년 8월 31일 (월) 15:13 판

계차수열(階差數列)이란 인접하는 두 항의 차로 이루어지는 수열이다. 예를 들어 수열 1, 4, 9, 16, ... , n2, ...의 계차수열은 4 - 1, 9 - 4, 16 - 9, ... , (n + 1)2 - n2, ..., 즉 3, 5, 7, ... , 2n + 1, ...과 같다. 수열 {an}의 계차수열의 일반항은 an+1 - an이다.

계차수열은 등차수열, 나아가 고계등차수열을 정의하는 데에 쓸 수 있다.

정의

수열 계차수열은 다음과 같은 수열 이다.[1]

또, 의 계차수열

이계차수열이라고 하고, 으로 표기한다.

비슷하게 임의의 자연수 k에 대하여 k계차수열 을 정의할 수 있다.[1]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의 0계차수열은 자기 자신, 일계차수열은 이다.

  • 수열 1, 3, 5, 7, ...2, 4, 6, 8, ...의 계차수열은 모두 2, 2, 2, 2, ...이다.
  • 수열 9, 99, 999, 9999, ...의 계차수열은 90, 900, 9000, ...이다. 이계차수열은 810, 8100, ...이다.
  • 피보나치 수열 1, 1, 2, 3, 5, 8, ...의 계차수열은 0, 1, 1, 2, 3, 5, 8, ...(피보나치 수열 앞에 0을 붙인 것)이다.
  • 주어진 수열 an의 합 Sn = a1 + … + an의 계차수열은 a2, a3, a4, ...이다.
  • 등차수열 a, a + d, a+ 2d, ...의 계차수열은 상수열 d, d, d, ...이다. 특별히, 상수열 c, c, c, ...의 계차수열은 0, 0, 0, ...이다.

성질

수열 과 그의 계차수열 에 대하여,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수열은 초항과 일계차수열에 의해 확정된다. 더 나아가, 수열은 모든 계수(0, 1, 2, ...)의 계차수열의 초항에 의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확정된다.[1]

여기서 의 대상 중에서 개를 고른 조합수이다.

다만, 위에 적은 홀수열 1, 3, ...과 짝수열2, 4, ...처럼 일계차수열이 같더라도, 수열의 초항이 다르면 다른 수열이 된다.

수열의 단조성은 계차수열과 연관있다.

  • 수열 단조증가필요충분조건이 모든 에게 성립하는 것이다.
  • 수열 단조감소할 필요충분조건은, 이 모든 에게 성립하는 것이다.

고계등차수열

k계등차수열은, x계차수열이 상수열이 되게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k인 수열을 말한다. 공차가 0이 아닌 등차수열은 일계등차수열이다. 상수열은 0계차수열(자기 자신)이 상수열이기에 0계등차수열이다.

어떤 수열 {an}이 k계등차수열일 필요충분조건은, 일반항이 n에 대한 k차 다항식이라는 것이다.[1]

각주

  1. 吴强 (2008). 张飞羽, 편집. “阶差数列的几个性质及其应用” [계차수열의 몇가지 성질과 그 응용]. 《河西学院学报》. 24 (중국어) (2):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