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저아목: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리듬 (토론 | 기여)
18번째 줄: 18번째 줄:
'''호저아목''' 또는 '''바늘두더지아목'''(Hystricomorpha)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정의가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천축서형]]의 협골궁형 교근을 지닌 [[뛰는쥐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설치류를 가리킨다. 이 아목은 [[산미치광이하목]]와 [[군디과]], [[비늘꼬리청서과]] 그리고 [[뜀토끼과]]를 포함하고 있다. 분자생물학과 형태학적 연구 결과는 호저아목 내에 비늘꼬리청서과와 뜀토끼과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2005년 칼레톤(Carleton)과 무세르(Musser)는 이 2개 과를 별도의 아목인 [[비늘꼬리청서아목]]으로 분류하여 취급하고 있다.
'''호저아목''' 또는 '''바늘두더지아목'''(Hystricomorpha)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정의가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천축서형]]의 협골궁형 교근을 지닌 [[뛰는쥐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설치류를 가리킨다. 이 아목은 [[산미치광이하목]]와 [[군디과]], [[비늘꼬리청서과]] 그리고 [[뜀토끼과]]를 포함하고 있다. 분자생물학과 형태학적 연구 결과는 호저아목 내에 비늘꼬리청서과와 뜀토끼과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2005년 칼레톤(Carleton)과 무세르(Musser)는 이 2개 과를 별도의 아목인 [[비늘꼬리청서아목]]으로 분류하여 취급하고 있다.


== 분류 ==
== 하위 분류 ==

* [[군디과]] (Ctenodactylidae)
* 군디상과 (Ctenodactyloidea)
* [[멸종|†]] Tammquammyidae
** [[군디과]] (Ctenodactylidae)
* [[라오스바위쥐과]] (Diatomyidae)
* [[멸종|†]] Yuomyidae
** [[멸종|†]] Tammquammyidae
** [[라오스바위쥐과]] (Diatomyidae)
* [[멸종|†]] Chapattimyidae
* [[멸종|†]] Tsaganomyidae
** [[멸종|†]] Yuomyidae
* [[멸종|†]] "Baluchimyinae"
** [[멸종|†]] Chapattimyidae
* Hystricognathiformes
* [[호저과]] (Hystricidae)
* [[멸종|†]] Myophiomyidae
** [[멸종|†]] Tsaganomyidae
** 호저하목 (Hystricognathi)
* [[멸종|†]] Diamantomyidae
* [[멸종|†]] Phiomyidae
*** [[멸종|†]] "Baluchimyinae"
* [[멸종|†]] Kenyamyidae
*** [[호저과]] (Hystricidae)
*** Phiomorpha
* [[아프리카바위쥐과]] (Petromuridae)
**** [[멸종|†]] Myophiomyidae
* [[사탕수수쥐과]] (Thryonomyidae)
**** [[멸종|†]] Diamantomyidae
* [[두더지쥐과]] (Bathyergidae)
* [[멸종|†]] Bathyergoididae
**** [[멸종|†]] Phiomyidae
**** [[멸종|†]] Kenyamyidae
* [[아메리카호저과]] (Erethizontidae)
**** [[아프리카바위쥐과]] (Petromuridae)
* [[아구티과]] (Dasyproctidae)
* [[파카과]] (Cuniculidae)
**** [[사탕수수쥐과]] (Thryonomyidae)
**** [[두더지쥐과]] (Bathyergidae)
* [[멸종|†]] Eocardiidae
**** [[멸종|†]] Bathyergoididae
* [[파카라나과]] (Dinomyidae)
*** Caviomorpha
* [[멸종|†]] Cephalomyidae
**** 아메리카호저상과 (Erethizontoidea)
* [[천축서과]] (Caviidae)
***** [[아메리카호저과]] (Erethizontidae)
* [[데구과]] (Octodontidae)
**** 천축서상과 (Cavioidea)
* [[투코투코과]] (Ctenomyidae)
***** [[아구티과]] (Dasyproctidae)
* [[아메리카가시쥐과]] (Echimyidae)
* [[뉴트리아과]] (Myocastoridae)
***** [[파카과]] (Cuniculidae)
***** [[멸종|†]] Eocardiidae
* [[후티아과]] (Capromyidae)
***** [[파카라나과]] (Dinomyidae)
* [[멸종|†]] Heptaxodontidae
***** [[멸종|†]] Cephalomyidae
* [[친칠라과]] (Chinchillidae)
***** [[천축서과]] (Caviidae)
* [[멸종|†]] Neoepiblemidae
**** 데구상과 (Octodontoidea)
* [[친칠라쥐과]](Abrocomidae)
***** [[데구과]] (Octodontidae)
***** [[투코투코과]] (Ctenomyidae)
***** [[아메리카가시쥐과]] (Echimyidae)
***** [[뉴트리아과]] (Myocastoridae)
***** [[후티아과]] (Capromyidae)
***** [[멸종|†]] Heptaxodontidae
**** 친칠라상과 (Chinchilloidea)
***** [[친칠라과]] (Chinchillidae)
***** [[멸종|†]] Neoepiblemidae
***** [[친칠라쥐과]](Abrocomidae)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15년 8월 4일 (화) 21:04 판

호저아목
카피바라
카피바라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호저아목
(Hystricomorpha)
Brandt, 1855
  • 본문 참조
호저아목의 대부분의 종에서 나타나는, 확장된 안와하관을 보여주는 카피바라의 두개골. 이런 형태를 천축서형이라고 부른다.

호저아목 또는 바늘두더지아목(Hystricomorpha)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정의가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천축서형의 협골궁형 교근을 지닌 뛰는쥐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설치류를 가리킨다. 이 아목은 산미치광이하목군디과, 비늘꼬리청서과 그리고 뜀토끼과를 포함하고 있다. 분자생물학과 형태학적 연구 결과는 호저아목 내에 비늘꼬리청서과와 뜀토끼과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2005년 칼레톤(Carleton)과 무세르(Musser)는 이 2개 과를 별도의 아목인 비늘꼬리청서아목으로 분류하여 취급하고 있다.

하위 분류

참고 문헌

  • Bergsten, J. 2005. A review of long-branch attraction. Cladistics, 21:163-193.
  • Cao, Y., Adachi, J., Yano, T. and Hasegawa, M. 1994. Phylogenetic place of guinea pigs: No support of the rodent-polyphyly hypothesis from maximum-likelihood analyses of multiple protein sequenc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1: 593-604.
  • Carleton, M. D. and G. G. Musser. 2005. Order Rodentia. Pp745–752 i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D. E. Wilson and D. M. Reeder ed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D'Erchia, A., Gissi, C., Pesole, G., Saccone, C. and Arnason, U. 1996. The guinea-pig is not a rodent. Nature, 381 (6583): 597-600.
  • Flynn, J. J., Wyss, A. R., Croft, D. A., and Charrier, R. 2003. The Tinguiririca Fauna, Chile: biochronology, paleoecology, biogeography, and a new earliest Oligocene South American Land Mammal ‘Age’.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95:229-259.
  • Graur, D., Hide, W. and Li, W. 1991. Is the guinea-pig a rodent? Nature, 351: 649-652.
  • Huchon, D. E. J. P. Douzery. 2001. From the Old World to the New World: A molecular chronicle of the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hystricognath rodent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0:238-251.
  • Kuma, K. and Miyata, T. 1994. Mammalian phylogeny inferred from multiple protein data. Japanese Journal of Genetics, 69 (5): 555-66.
  • Landry, S. O. J. 1999. A proposal for a new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for the glires. Mitt. Mus. Nat. Kd. Berl. Zool. Reihe, 75:283-316.
  • Lin, Y-H, et al. 2002. Four new mitochondrial genomes and the increased stability of evolutionary trees of mammals from improved taxon sampling.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9: 2060-2070.
  • Marivaux, L., M. Vianey-Liaud, and J.-J. Jaeger. 2004. High-level phylogeny of early Tertiary rodents: dental evidence.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42:105-134.
  • Marivaux, L. J. L. Welcomme, M. Vianey-Liaud, and J.J. Jaeger. 2002. The role of Asia in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hystricognathous rodents. Zoologica Scripta, 31:225-239.
  • McKenna, Malcolm C., and Bell, Susan K. 1997. Classification of M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631 pp. ISBN 0-231-11013-8
  • Reyes, A., Pesole, G. and Saccone, C. 2000. Long-branch attraction phenomenon and the impact of among-site rate variation on rodent phylogeny. Gene, 259 (1-2): 177-87.
  • Reyes, A., Gissi, C., Catzeflis, F., Nevo, E. Pesole, G. and Saccone, C. 2004. Congruent mammalian trees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using Bayesian method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1 (2): 397-403.
  • Robinson-Rechavi, M., Ponger, L. and Mouchiroud, D. 2000. Nuclear gene LCAT supports rodent monophyly.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7: 1410-1412.
  • Sullivan, J. and Swofford, D.L. 1997. Are guinea pigs rodents? the importance of adequate models in molecular phylogenetics. Journal of Mammalian Evolution, 4: 7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