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exu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Lexus (토론 | 기여)
59번째 줄: 59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고운국제교류사업회]]
* [[고운국제교류사업회]]
* [[생육신]]
* [[금오신화]]
* [[부도지]]
* [[천부경]]


== 주석 ==
== 주석 ==

2013년 8월 27일 (화) 07:56 판

최치원
최치원 영정
출생857년
경주 사량부
사망미상
가야산 해인사
성별남성
국적신라
별칭자는 고운 또는 해운
학력885년 한림학사
직업학자, 문인

최치원(崔致遠, 857년~?)은 신라 말기의 문장가, 학자이다. 본관은 경주, 자는 고운(孤雲) 혹은 해운(海雲)이다.

난랑비서문(鸞郎碑序文)이 《삼국사기》를 통해 남아 있다. 특히 8l자로 구성된 천부경단군의 가르침을 단군의 신하 신지(神志)가 전문(篆文, 전서체의 문자)으로 비석에 새겨 전해오던 것을 최치원이 이를 한자로 번역하여 태백산(묘향산) 꼭대기의 바위에 새긴 경전으로 전해지고 있다. [1] [2]

생애

857년 경주에서 출생했다.

868년(경문왕 8년) 당나라 유학을 떠나 12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한 지 7년 만에 과거에 급제, 선주 율수현위(宣州 水縣尉)가 되고 승무랑(承務郞), 시어사(侍御史), 내공봉(內供奉)에 올라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874년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양저우 지방으로 벼슬을 제수받았고 황소의 난 당시 이를 비난하는 토황소격문을 지었다.

884년 음력 10월 귀국했다. 885년 시독 겸 한림학사(侍讀兼翰林學士), 수병부시랑(守兵部侍郞) 지서서감(知瑞書監)이 되었으나 문란한 국정을 통탄하고 외직(外職)을 자청, 태산(太山 : 지금의 전북태인) 등지의 태수(太守)를 지냈다.

894년 진성여왕에게 시무(時務) 10여 조(條)를 상소해서 아찬이 되었다. 그러나 귀족들의 거센 반발로 인하여 그 후 관직을 내놓고 난세(亂世)를 비관, 각지를 유랑하다가 가야산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쳤다. [1]

전해오는 이야기

매월당 김시습신라 내물왕(17대) ∼ 눌지왕(19대) 때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쓴 부도지를 부활시킨 장본인으로 알려져 있다. '징심록(澄心錄)' 15지(誌)와 박제상의 아들인 백결선생이 보탠 '금척지(金尺誌)'와 김시습이 보탠 '징심록추기' 등 총 17지(책)를 전하고 있는데 부도지는 징심록의 제1지에 있다고 전해진다.

상고사에 대한 저서 중의 하나인 ‘부도지(符都誌)’ 중 ‘징심록 추기’편에서 김시습은 금척(金尺, 금으로 된 자)이 천부경(天符經)이라는 사상적 배경과, 첫 건국의 바탕이라는 역사적 유래를 갖추고 있는 신비로운 사물이라는 것을 누누이 밝히고 있다.

이성계가 꿈속에서 금척을 받고 나라 이름을 단군과 같이 조선으로 했던 것은 단군의 맥을 이어 이 땅에 천부도(天符都)를 건설하려 했던 의도로 해석하고 있다. [1][3]

최치원과 해운대, 양저우 시

최치원은 부산 동백섬 일대의 경관에 반하여 자신의 호 '해운'을 따서 그 지역 지명을 해운대라고 붙였다고 한다. 최치원이 직접 새겼다는 '海雲臺' 석각도 동백섬 절벽 한켠에 남아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치원의 동상과 시비가 동백섬 언덕에 생겼으며, 해운대구와 최치원이 벼슬을 하며 토황소격문을 지었던 양저우시구는 자매결연을 맺게 됐다.[1]

저서

  • 《금체시》
  • 계원필경
  • 《상대사시중장(上大師侍中狀)》
  • 《잡시부》
  • 《중산복궤집》
  • 《오언칠언금체시》
  •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
  • 《부석존자존》
  • 《법장화상전》
  • 《석이성전》
  • 쌍녀분전기

같이 보기

주석

  1. 『국역 고운선생문집』 상·하(고운선생문집편찬회, 1972·1973),『최문창후전집』(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72),「최치원의 역사서술」(조인성,『역사학보』94·95, 1982),「고운 최치원의 사회개혁사상」(최근영,『한국사상』18, 1981),「최고운의 사상과 문학」(양광석,『한국문학론』, 일월서각, 1981),「최치원연구」(최경숙,『부산사학』5, 1981),「고운 최치원의 사상연구」(김복순,『사총』24, 1980) 참조
  2. 유동식 (1997).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연세대학교출판부. 64/376쪽. ISBN 9788971414231. 
  3. “한국차의 신화학 다시쓰기, 매월당 초암차 일본으로 건너가”. 세계일보. 2013년 8월 25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