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집사(執事)는 일반적으로 사무를 관할하는자를 의미하며, 고위 인물의 집이나 사찰에서 가사 · 사무를 도맡는 사람을 가리킨다.

어원[편집]

한국에서는 원래 집사관(執事官) 또는 집사(執事)라 불리는 관직이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 사량부도화녀진지왕의 혼과 맺어 비형랑을 낳았는데, 진평왕이 궁중에 들여다가 길러 15살이 되자 집사를 제수하였다고 한다. 당시집사는 석장(石匠)들을 지휘 감독해 공사하는 직책이었다.[1]

신라 말에는 왕실의 기밀 사무를 관장하던 집사성(執事省)이 설치되었다. 집사성은 신라의 최고관청이었고, 그 장관은 진골 출신이 임명되었는데, 초기에는 진덕여왕 5년 중시(中侍), 후기에는 경덕왕 6년 시중(侍中)으로 고쳤다.[2]

고려 시대에는 집사가 향리직 가운데 하나로서, 집사는 사(史)로 바뀌었는데, 이는 집사성의 사(史)에서 유래한다.[3]

조선 시대에는 집사가 국왕과 왕실을 중심으로 한 각종 의식에서 주관자를 도와 의식을 진행시킨 의식 관원이었다. 점차 의미가 확대되어, 각종 행사 의식을 집전하는 집사관 및 집례관도 집사라고 칭하게 되었다.[4] 집례관의 우두머리를 주례(主禮)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는 뒤에 혼례의 주례로 역할이 한정되기도 한다.

집사관 가운데 선전관(宣箋官)은 조선시대 국왕을 위한 조하의식(朝賀儀式)에서 백관의 전문(箋文)을 읽어 바치는 관직이며, 선전관(宣傳官)과는 다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