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비둘기
낭비둘기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비둘기목 |
과: | 비둘기과 |
속: | 흑비둘기속 |
종: | 낭비둘기 |
학명 | |
Columba rupestris | |
Pallas,1811 | |
보전상태 | |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
낭비둘기(Columba rupestris)는 친척종인 바위비둘기의 친척종이다. 이들은 한반도 및 그 주변지역인 연해주, 중국, 시베리아, 몽골, 타지키스탄, 티베트 중부, 히말라야,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에 분포하고 있다.[3] 대한민국에서는 매우 희귀한 텃새이다.[4][쪽 번호 필요] 원래 흔한 텃새였으나 외래종인 집비둘기의 유입으로 인해 번식지경쟁에서 밀려나고 여러 잡종들의 탄생으로 인해 매우 희귀해졌다.[5]집비둘기와 비슷하게 생겨서 외래종으로 오해를 받아 외래종이라는 뜻인 양이 붙은 양비둘기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 이는 새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도 잘 실수하는 부분이며 낭비둘기 또는 굴비둘기가 맞는 이름이다. 속리산 법주사와 임진각 등 다른 곳의 내륙의 집단은 자취를 감춘지 오래고 1995년까지 30여 개체가 서식했던 전남 청산도를 비롯해 도서 지역의 집단도 거의 사라졌다.[3]
형태
[편집]머리, 얼굴, 턱밑은 짙은 회색이고 뒷목과 가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다. 어깨, 날개덮깃, 가슴 아랫부분은 회색이다. 허리는 순백색이고 날개에는 두 줄의 폭 넓은 검은색 띠가 있고, 꼬리 끝에는 흰색 무늬가 뚜렷이 있다.[6] 부리는 검고 눈은 적색, 눈동자는 검은색이며 다리는 붉다.[7][쪽 번호 필요]
생활권
[편집]해안의 절벽, 도서지역, 교외의 콘크리트 교각, 내륙 산악 등이다.
분포권
[편집]한반도, 연해주, 중국, 시베리아, 몽골, 타지키스탄, 티베트 중부, 히말라야,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에 분포하고 있다.[3]
먹이
[편집]농경지 곡식의 낟알, 곡물 등이다.
보전현황
[편집]지리산국립공원남부사무소는 구례 화엄사와 천은사에 남아 있는 양비둘기를 보전하기 위해 양비둘기 서식처 보호활동을 펼치고 있고[8],임진강 일대에서 발견된 양비둘기 무리에 대한 정밀 분포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9]
각주
[편집]-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Columba rupestr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22690074A93259855. doi:10.2305/IUCN.UK.2016-3.RLTS.T22690074A93259855.en. 2021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국립생물자원관. “양비둘기”.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가 나 다 윤순영 (2020년 7월 17일). “100마리 남은 토종 ‘양비둘기’를 만나다”. 한겨레. 2021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원병오; 김화정 (2012년 3월 20일). 《한반도의 조류》. 아카데미서적. ISBN 9788976164773.
- ↑ 김화정; 박진영; 강승구; 김동원; 오미래; 이기섭; 여용구; 이진원 (2016). 《멸종위기 양비둘기 보전 및 증식·복원 연구 (3차년도)》. 국립생물자원관. 2쪽.
- ↑ “멸종위기의 텃새 양비둘기”. 환경부. 2쪽. 2021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송순창; 송순광 (2005년 3월 7일). 《세밀화로 보는 한반도 조류도감》. 김영사. ISBN 9788934917137.
- ↑ “지리산남부사무소-화엄사, 양비둘기 서식처 보전활동”. 2018년 11월 12일. 2022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멸종위기 토종 양비둘기, 연천 임진강에도 산다”. 2022년 7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