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수자원(水資源, 문화어: 물자원)은 사람에게 실질적으로나 잠재적으로 쓸모있는 물의 원천을 가리킨다. 농업, 산업, 가정, 레크리에이션, 환경적인 활동에 물이 이용된다. 실질적으로 모든 사람에게는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지구 위의 물 가운데 97퍼센트는 해수(소금기가 있는 물)이고, 나머지 3%만이 담수(민물)이며, 그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빙하로 얼어 있거나 극 만년설에 있다.[1] 나머지 얼지 않은 민물은 주로 지하수이며 매우 작은 양의 민물이 공기나 땅 위에 존재한다.[2]
민물은 재생가능자원이지만 전 세계의 깨끗한 민물의 공급은 꾸준히 줄고 있다. 물 수요는 이미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초과 공급을 겪고 있으며 세계 인구가 꾸준히 늘면서 물 수요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물의 보존에 대한 국제적인 중요성이 최근에 강조되고 있다. 수자원을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구조를 수리권이라고 한다.
수자원 현황
[편집]대한민국
[편집]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2011년 2월) |
한국은 PAI가 정한 물 스트레스 국가[3]로서, 1인당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게다가 한국의 지형학적 특징상 산악지대가 많아 하천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물이 금방 바다로 흘러들어가, 수자원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강수가 6~9월에 집중되는 것도 한국의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4][5]
한국의 한 해 총 강수량 1267억m²가운데 45%(570억m²)는 증발되어 이용할 수 없으며, 또한 총 강수량의 31%(396억m²)는 그대로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우리가 실제 사용하고 있는 물의 양은 나머지 24% 정도이다.[6]
대한민국은 하천법 23조에 따라 수자원 관련 국가 최상위 계획으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20년 단위로, 하천법 25조에 따라 '하천기본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하여 수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구분 | 계획기간 | 계획 기조 및 기본 목표 |
---|---|---|
수자원개발 10개년 계획
(1차) |
'66 - '75 | 다목적 댐 개발
|
수자원장기종합개발계획
(2차) |
'81 - '01 | 댐 개발 및 치수사업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3차) |
'91 - '11 | 수자원 개발 및 관리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3-1차) |
'97 - '11 | 환경친화적 수자원 개발 및 관리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차) |
'01 - '20 | 건전한 물 활용과 안전하고 친근한 물 환경 조성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1차) |
'06 - '20 | 사람과 자연이 바라는 지속가능한 물 관리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2차) |
'11 - '20 | 2020 녹색국토를 위한 물 강국 실현
|
2016년 국토교통부가 작성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3차 보고서에 따르면 환경기초시설이 지속적으로 확충되며 수질이 개선되고 있으나 최근 수질개선 정도는 과거에 비해 둔화되었다. 114개 중권역 중 BOD 3mg/L 이하 달성 비율은 2015년 83.3%이다. 총 인(T-P)은 개선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에서 OECD 부영양화 기준인 T-P 0.035mg/L를 초과하고 있다. 클로로필-a 지표는 개선 추세이나 영산강 하류 구간은 악화되었다. 국무총리실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에서 2014년 12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한강, 낙동강, 금강은 대체로 BOD, 식물성 플랑크톤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낙동강 상류 지역 4개 보 구간은 BOD가 증가했고, 영산강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증가했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해 환경기초시설이 늘어나면서 하수 인 제거가 수질 개선에 큰 기여를 했으나, 보와 준설로 인해 물의 체류시간이 길어져서 수질 악화도 함께 일어났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Water distribution: Where is water on, above, and in the Earth?”.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Scientific Facts on Water Resources”. 2018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PAI에서는 단순히 강수량을 인구밀도로 나눈 값으로 물 풍요 국가, 물 스트레스 국가, 물 기근 국가를 구분한다. 또한, PAI는 UN의 산하기관이 아니다.
- ↑ 한국수자원공사
- ↑ 국토교통부 (201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3차》.
- ↑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원문 다운로드]
참고 자료
[편집]- 국토교통부 (201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3차》.
이 글은 지구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