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돌노예

라즈돌노예(러시아어: Раздольное, Razdolnoye)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연해주)나데즈딘스키군에 속하는 마을이다.

지리[편집]

김일성이 하마탄의 남야영 시절인 1941년 3월 1일 아내 김정숙과 함께 찍은 사진.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에 김일성 자필로 1941년 3월 1일 B야영에서 봄을 맞아 찍었다고 적어 놓았다.[1] 김정일 출산 직후의 사진으로 보인다. 조작된 사진이라는 주장도 있다.

라즈돌노예는 우수리스크블라디보스토크의 중간에 있으며, 북한에서 올라오는 도로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우수리스크로 가는 도로가 만나는 교통의 요지이다.[2]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우수리스크로 연결되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역도 있다.[3] 옛지명은 하마탄(Хаматан, Hamatan, 虾蟆塘)이다. 1920년대부터 이 지역에는 사슴 농장이 많이 생겼는데, 토착민 나나이족이 쓰던 퉁구스-만주어로 1 ~ 5 살 사이의 사슴을 뜻하는 단어 하마타나(хаматана)에서 유래한 지명이라 한다.[4][5]

역사[편집]

라즈돌노예의 기차역은 1937년 가을 스탈린이 연해주의 한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시킬 때 사람들을 강제로 실어나르던 출발지였으며, 고려인들의 한이 맺힌 곳이다.[6][7] 연합뉴스의 2006년 르포 기사는 라즈돌노예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도하고 있다.[8]

우스리스크를 향해 가는 길목에서 대장정 원정대는 우리 민족에게 서글픈 기억으로 각인돼 있는 `라즈돌리나역(驛)'을 만났다.

1937년 소련 정부는 `일제의 첩자가 될 수 있다'는 이유로 연해주 일대에 흩어져 살던 우리 민족을 모두 이 라즈돌리나 역으로 집결시켰고, 시베리아의 혹한 속에서 이들을 지붕도 없는 가축용 화물열차에 태워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어른들도 견디지 못할 추위와 배고픔 속에서 갓난아이들은 모두 굶거나 얼어죽었고, 간이역에서 먹을거리를 구하러 잠시 열차에서 내렸던 어른들도 예고없이 떠나간 기차를 쫓아가다 시베리아 벌판의 원혼이 됐다.

대장정 원정대가 다시 찾은 라즈돌리나역은 조국없는 민족의 설움과 눈물을 간직한 채 지금은 쓸쓸하게 낡은 건물만 남아 황량했다.

라즈돌노예는 김정일의 출생지이다. 1939~1941년간 일본군의 대대적 토벌로 만주의 동북항일연군이 궤멸 위기에 처하자 김일성은 1940년 10월 23일 소만 국경을 불법 월경하여 소련으로 도피한다. 월경 직후 국경수비대에 체포되어 수감되었으나, 중국인 상관 주보중(周保中)의 신원보증으로 풀려나 처음 수용된 남야영(南野營, B 야영)이 바로 하마탄(라즈돌노예) 마을에 있었다.[9] 북야영(北野營, A 야영)이 있던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 마을에 남,북야영의 동북항일연군 인원들 모두를 수용한 제88국제여단이 창설되는 1942년 7월 중순까지 김일성 부부는 라즈돌노예의 남야영에 있었다.[10] 김정일은 이곳에서 1941년 2월 16일 태어났다. 북한에서 주장하는대로 김정일이 이듬해인 1942년 2월 16일생이 맞다고 해도[11][12] 당시 김일성 부부는 뱌츠코예 아닌 라즈돌노예에 있었으므로, 김정일의 출생지는 라즈돌노예가 확실하다. 김정일이 태어날 당시 아기를 받았던 조산원 엘냐의 증언으로 그가 태어난 집은 라즈돌노예 마을길 88번지 연립주택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13] 오늘날 연해주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러시아 연해주(Primorskiy kray) 라즈돌노예(Razdol'noye) 라조 가(Ulitsa Lazo: Lazo St.) 88번지
라즈돌노예 기차역에서 큰 길(Ulitsa Lazo)을 따라 동쪽으로 500 여 m 가서 북쪽으로 난 골목으로 들어서면 바로 나옴.
건물 이미지 1 구글맵
건물 이미지 2 구글맵: 김정일이 태어난 집이라는 이미지 설명이 나옴.
건물 이미지 3 구글맵
건물 이미지 4 구글맵: 김정일이 태어난 집이라는 이미지 설명이 나옴.
건물 이미지 5 구글맵: 김정일이 태어난 집이라는 이미지 설명이 나옴.

김정일이 라즈돌노예 인근 어느 병원에서 태어났다는 증언도 있으나 그다지 믿을만하지 않다.[12][14][15]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에는 김일성이 1941년 초의 겨울을 B야영에서 보냈다고 하면서 김정일은 1942년 2월 16일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난 것처럼 말했다. 그러나 주보중의 동북항일유격일기에는 그가 북야영에서 1942년 1월 12일부터 1월 19일까지 남야영을 방문하고 돌아온 일을 기록하면서 거기서 김일성도 만났다고 하였다.[16] 따라서 김정일이 설사 1942년생이더라도 남야영에서 태어난 것이지 어떤 경우에도 백두산에서 태어났을 수는 없다. 남편도 없이 김정숙 혼자서 외부와 단절된 눈덮인 백두산 속에서 출산을 할 수는 없는 일이다.

김정일이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는 북한의 주장이나,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 출생설과 중앙아시아 사마르칸트 출생설[17] 등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

각주[편집]

  1.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8권 (계승본) 서두에 실린 화보의 이 사진 옆에 김일성 자필로 1941년 3월 1일 B야영에서 봄을 맞으면서 찍은 사진이라고 했고, 본문 제23장 3절에서도 B야영에서 겨울을 보낸 후 사진을 찍었다고 했다.
  2. 구글 지도: Razdol'noye, 프리모르스키 크레이, 러시아 / 나데즈딘스키 군 라즈돌노예
  3. Станция Раздольное 라즈돌노예 역 (Razdolnoye Station): 구글 영역 Razdolnoye Station
  4. 하마탄 지명 유래 (러시아어)
  5. Первое знакомство с Раздольным 30.06.2014, автор Ксения Амельшина: 구글 영역 The first acquaintance with Razdolniy 30/06/2014 , author Xenia Amelshina
  6. 고려인의 강제 이주: 위키백과
  7. 고려인 강제이주를 보는 눈 자유아시아방송 2017-09-01
  8. <르포> 고려인의 중심 `우스리스크' 연합뉴스 2005-07-31 16:22
  9. 抗联余辉 北京日报 2014-01-14: 남야영(南野营)은 블라디보스톡(海参崴)과 우수리스크(雙城子) 사이에 있는 작은 기차역(小火车站) 부근의 현지인들이 하마탕(蛤蟆塘)이라 부르는 곳에 위치했다. (南野营位于海参崴与双城子之间的一个小火车站附近,当地人称蛤蟆塘。/ 南野營位于海參崴與雙城子之間的一个小火車站附近,當地人稱蛤蟆塘。)
  10. 주보중(周保中),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1991年 人民出版社) p.660: 1942년 7월 19일자에 김일성이 어제 보로실로프 경유 하바로프스크로 와서 뱌츠코예 마을 본 숙소에 머문다 (七月十九日 金日成同志已于昨日由B城來X城 住B街本寓)고 하였다.; B城은 보로실로프(Ворошилов)로 지금의 우수리스크이고, X城은 하바로프스크(Хабаровск), B街는 뱌츠코예(Вятское)를 말한다.
  11. (김씨 왕조의 실체) 김정일 출생을 둘러싼 비밀 자유아시아방송 2009-11-16
  12. 말썽꾸러기 김정일은 어떻게 최고통치자 됐나? 데일리NK 2011.06.12
  13. (황호택 칼럼) 유라의 탯줄을 길게 자른 조산원 엘냐 동아닷컴 2015-08-05
  14. "金正日(김정일) 출생지는 蘇(소)「하마탄」마을" 1992.06.13 동아일보 9면: 김정일의 어머니 김정숙의 빨치산 동료였던 김선(金善)의 후일 증언이나, 증언할 때마다 내용의 차이가 크고, 김정숙이 이때 딸을 낳았는데 죽었다고도 하여 당시 일을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는지 의문스럽다.
  15. 완전해부 인간 김정일 미스터리: '少年 김정일'을 둘러싼 7가지 미스터리 신동아 2000년 8월호(491호) pp.122~131. : 김선(金善)에 따르면, 김일성과 김정숙은 1940년 가을에 소련으로 갔다고 한다. 김선은 그 해 10월에 소련으로 갔다. 김정숙과는 몇 달 동안 함께 있었는데, 김선은 41년 겨울에 딸을 출산했고, 김정숙도 딸을 낳았다. 김선은 김정숙의 딸에게도 젖을 먹였는데 뒤에 소화불량으로 죽어버렸다. 김선은 김정일이 언제, 어디서 태어났는지는 모른다고 했다."
  16. 주보중(周保中),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1991年 人民出版社) p.644의 1942년 1월 12일자부터 이어지는 남야영 방문 당시의 일기.
  17. 이수석, 김정일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기존 쟁점들을 중심으로 Archived 2018년 1월 24일 - 웨이백 머신 統一問題硏究 2004년 하반기호 (통권 제42호) p.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