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경에서 말하는 그술의 영토가 오른 쪽 위에 Geshur로 나타나 있다.

그술은 고대 레반트 지역에 존재하던 왕국이다. 구약성경을 비롯해 여러 문헌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며, 골란고원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 기원전 10세기 중반에 도시국가로 창건되어 약 한 세기 후인 기원전 9세기 후반에 아람하사엘에 의해 정복되어 멸망했다고 보기도 한다.[2]

위치[편집]

그술은 갈릴래아호 동쪽에 위치했는데, 남쪽으로는 야르무크강에 접했다.[1] 이 지역은 현대에 골란고원이라 불린다.[3][4] 이 지역은 바산에서 페니키아 해변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갈릴래아 호수 남동쪽에 위치한 텔 도버가 그술의 남쪽 경계로 여겨지기도 한다. 골란고원에서 그술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을 여러 발굴하기도 했다.

종교[편집]

높은 장소에서 비석을 세워두고 동물과 그릇에 담긴 공물을 바치며 그들의 의식을 기록하는 방식의 종교의례를 가졌음을 암시하는 유적이 발굴되었다. 이 유적은 주변국들의 영향도 보여준다. 그술인들은 소 모양의 상징으로 달의 신을 묘사하며 가장 높은 위치에 두는데, 이는 시리아 남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교의 형태이다. 한편 그술인들의 공예품은 이집트의 것을 닮았다.[5] 성읍의 문이 있던 위치 주변에서 황소 우상이 종종 발견되는데, 이는 비의 신 하닷이나 달의 신, 혹은 그 둘 모두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여겨진다.[6] 음식의 종류를 제한하는 규칙과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관습은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5]

사료에서[편집]

구약성경[편집]

'그술'은 구약성경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이름으로, "요새"를 의미한다.[7] 성경은 이들을 바산 땅 근처로 적고 있으며, 아르곱[8] 아람, 시리아에 접한다는 기록도 전한다.[9] 므나쎄 지파의 땅 중 요르단강(요단강) 동편에 있는 부분을 여호수아가 점령하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나누어줬을 때 그술 사람들과 마아갓 사람들은 쫓아내지 못해 계속 같이 살았다고도 전한다.[10]

사무엘상 27장 8절은 다윗가드에 의탁해 시글락을 받아 생활하던 때에 그술인들을 정벌한 기사가 실려있다. 다윗이 이스라엘을 통치할 때 그술은 아람 왕국의 통치를 받았다. 다윗은 그술 왕 달매의 딸 마아가와 결혼했다.[11] 마아가가 낳은 아들 압살롬은 다윗의 장자 암논을 죽인 뒤 그술로 도망쳐 3년을 살다가 다윗에게 돌아온 적이 있다.[12] 기원전 9세기가 다 지나기 전에 그술은 역사에서 사라진다.[1]

아마르나 문서[편집]

아마르나 문서 중 두 도편에서 '가루의 땅'이라는 글이 식별되는데, 하솔아스다롯 사이 골란고원의 땅이 가루의 땅으로 묘사된다. 여기서 가루가 그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으나,[13] 논란의 여지가 많은 가설이다.[2]

샬마네세르 3세의 조각[편집]

샬마네세르 3세의 부서진 조각에 쓰여있는 비문에 '그술인들이 나의 발 앞에 끌려왔고, 나는 그들 부족을 받아들였다'는 기록이 적혀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2]

고고학[편집]

엣텔[편집]

고고학자들은 엣텔(et-Tell)을 중심으로 세워진 것으로 보는데, 엣텔은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1세기까지 작은 규모로 마을이 형성되어 신약성경에서 베싸이다라 불리는 지역이기도 하다.[14] 엣텔 유적은 기원전 처음에는 기원전 8세기로 식별되었으나 2016년에 기원전 10세기로 그 연대가 더 앞선 것으로 추정되었다.[14] 요단강 동쪽에 접한 철기시대의 유적 중 가장 규모가 크다.[2]

각주[편집]

  1. Avraham Negev and Shimon Gibson (2001). 〈Geshur〉. 《Archaeological Encyclopedia of the Holy Land》. New York and London: Continuum. 196쪽. ISBN 978-0-8264-1316-1. 
  2. Na'aman, Nadav (2012). “The Kingdom of Geshur in History and Memory”. 《Scandinavian Journal of the Old Testament26 (1): 92. doi:10.1080/09018328.2012.704198. S2CID 73603495. 
  3. George Ernest Wright and Floyd Vivian Filson (1946). 《The Westminster Historical Atlas to the Bible》. The Westminster Press. 51쪽. 
  4. Moshe Kochavi; 외. (Jul 1992). “Rediscovered! The Land of Geshur”. 《Biblical Archaeology Review》. 
  5. Arav, Rami, 편집. (2004). 《Bethsaida: A City by the North Shore of the Sea of Galilee, Vol 3》. Truman State University. 17–39쪽. ISBN 978-1-931112-39-0. 
  6. Cultic stele, Bethsaida, Iron Age II, 9th-8th century BCE. From The Israel Museum, Publisher: Harry N. Abrams, Inc., 2005
  7. Lawson, K. (2016). 《A Political History of the Arameans: From Their Origins to the End of Their Polities》. SBL Press. ISBN 9781628370843. 
  8. 신명기 3:14
  9. 삼하 15:8, 역대상 2:23
  10. 여호수아기 13:13
  11. 삼하 3:3, 역대상 3:2
  12. 역대상 13:37, 15:8
  13. Mazar, B. (1961). “Geshur and Maacah”.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80. doi:10.2307/3264563. JSTOR 3264563. 
  14. Philippe Bohstrom (2016년 7월 20일). “Mighty Fortifications Found by Archaeologists Show Kingdom of Geshur More Powerful Than Thought”. 《Haaretz》. 2016년 7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