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보이기
(황금사자기에서 넘어옴)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黃金獅子旗 全國高校野球大會)는 1947년부터 동아일보와 대한야구협회 공동 주최로 매년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고교야구 전국대회이다. 2007년까지는 서울에서 열리는 전국고교야구대회 중 세 번째로 매년 5~6월에 치러졌지만 2008년부터는 3월로 앞당겨 시즌 첫 대회로 열리고 있다. 2007년까지는 지역 예선을 거친 팀과 그 해 성적이 우수한 팀을 초청하는 지구별 초청대회 성격으로 개최됐지만 2008년부터는 전국 고교야구 모든 팀이 참가하는 대회로 바뀌었고 시즌을 시작하는 고교 전국대회가 됐다. 2011년 대회부터는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왕중왕전 대회로 진행되고 있다.
역사
[편집]- 1947년 8월 21일 선수권대회인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보다 한 해 늦게 `제1회 전국중학지구별 초청 야구대회'라는 명칭으로 개막됐다. 당시엔 7개팀이 참가해 경남중학교가 서울 경기중학교를 꺾고 우승했다. 개막전 첫 투구는 동산중학교 박현식이 맡았다. 1, 2회 대회에는 개인상 제도가 없었다.
- 1949년 제3회 대회에서는 준우승팀인 경남중학교 어우홍이 대회 첫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다.
- 1956년에는 서울운동장 야구장의 보수공사 때문에 무산됐고 결국 다음 해 인천구장에서 개최됐다[1].
- 1972년 7월 19일 군산상업고등학교와 부산고등학교가 격돌한 제26회 대회 결승전은 고교야구 사상 최고의 명승부로 평가된다. 부산고가 9회초까지 4대1로 앞서며 우승하는 듯했지만 군산상고가 9회 말 연속 안타 등으로 역전승, 창단 3년 만에 첫 우승을 차지했다. 군산상고는 이 경기로 '역전의 명수'라는 별칭을 얻었고, 영화화되기도 했다.
- 1982년 9월 20일부터 같은 달 25일까지는 서울운동장 야구장에서, 9월 26일부터 결승전(9월 28일)까지는 잠실야구장에서 개최되었는데[2] 준결승과 결승전은 야간경기로 치뤄졌다.
- 2000년 제54회 대회에서는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 서울의 경기고등학교가 서울의 신일고등학교를 물리치고 우승했다.
- 2008년에는 3월로 시기를 앞당긴 한편 동대문야구장의 철거에 따라 목동야구장에서 개최되었지만 프로야구 우리 히어로즈의 정규시즌 준비 탓인지 1회전 2회전이 숭의구장에서 열렸다[3].
- 2010년 제64회 대회 결승전은 28년 만에 잠실야구장에서 개최되었으며[4] 그 이후 2011년 결승전과 2014년 준결승 결승전이 이 곳에서 치러졌다.
- 2012년 제66회부터[5] 2013년 제 67회까지는 창원 마산야구장에서 개최됐다.
기록
[편집]- 최다 우승 팀 : 신일고등학교(8회)
- 최다 연속 우승 팀 : 경남중학교(3회, 1947년~1949년)
- 2연속 우승 팀 : 경동고등학교(1959년~1960년), 광주일고(1983년~1984년), 덕수상고(1994년~1995년), 신일고등학교(1996년~1997년), 장충고등학교(2006년~2007년), 덕수고등학교(2016년~2017년)
- 2연속 MVP : 광주일고 박준태(1983년~1984년), 덕수고 양창섭(2016년~2017년)
- 고교 전국대회 첫 노히트노런 : 1970년 성남고등학교 노길상이 경북고등학교를 상대로 수립함.
역대 우승 팀 및 결승전 결과
[편집]회수 | 연도 | 우승교 | 경기결과 | 준우승교 | 최우수 선수 |
---|---|---|---|---|---|
1회 | 1947 | 경남중 | 9-3 | 경기중 | 개인상제도가 없었음. |
2회 | 1948 | 경남중 | 4-1 | 경기중 | |
3회 | 1949 | 경남중 | 7-3 | 동래중 | 어우홍(동래중) |
4~7회 | 1950~53 | 한국 전쟁으로 인해 중단 | |||
8회 | 1954 | 인천고 | 10-2 | 경남고 | 정병섭(경남고) |
9회 | 1955 | 경남고 | 3-2 | 인천고 | 김수갑(경남고) |
10회 | 1956 | 서울운동장 공사로 인해 중단 | |||
11회 | 1957 | 동산고 | 3-2 | 경북고 | 김창영(경북고) |
12회 | 1958 | 경기공고 | 5-0 | 경남고 | 박노희(경기공고) |
13회 | 1959 | 경동고 | 4-0 | 경기공고 | 이재환(경동고) |
14회 | 1960 | 경동고 | 3-0 | 부산상고 | 주성현(경동고) |
15회 | 1961 | 성동고 | 3-1 (연장12회) |
중앙고 | 백수웅(성동고) |
16회 | 1962 | 경기공고 | 2-0 | 중앙고 | 김태영(경기공고) |
17회 | 1963 | 선린상고 | 12-5 | 경남고 | 박동수(선린상고) |
18회 | 1964 | 성남고 | 2-1 | 마산상고 | 김윤겸(성남고) |
19회 | 1965 | 중앙고 | 7-0 | 부산고 | 이원국(중앙고) |
20회 | 1966 | 선린상고 | 12-5 | 부산고 | 윤효상(선린상고) |
21회 | 1967 | 경남고 | 3-2 | 경북고 | 조홍기(경남고) |
22회 | 1968 | 경북고 | 1-0 | 동산고 | 임신근(경북고) |
23회 | 1969 | 선린상고 | 12-5 | 경북고 | 박준영(선린상고) |
24회 | 1970 | 성남고 | 4-2 | 대구상고 | 노길상(성남고) |
25회 | 1971 | 경북고 | 6-0 | 중앙고 | 정현발(경북고) |
26회 | 1972 | 군산상고 | 5-4 | 부산고 | 양종수(군산상고) |
27회 | 1973 | 대구상고 | 4-3 | 배명고 | 김한근(대구상고) |
28회 | 1974 | 경남고 | 3-1 (연장10회) |
대구상고 | 차동렬(경남고) |
29회 | 1975 | 부산상고 | 1-0 | 중앙고 | 김영만(부산상고) |
30회 | 1976 | 신일고 | 6-0 | 선린상고 | 김남수(신일고) |
31회 | 1977 | 광주상고 | 3-2 | 인천고 | 박상진(광주상고) |
32회 | 1978 | 신일고 | 6-0 | 서울고 | 김경표(신일고) |
33회 | 1979 | 경북고 | 1-0 | 인천고 | 김성래(경북고) |
34회 | 1980 | 선린상고 | 5-3 | 광주일고 | 유지홍(선린상고) |
35회 | 1981 | 경북고 | 6-0 | 진흥고 | 홍순호(경북고) |
36회 | 1982 | 세광고 | 4-3 | 경남고 | 박희종(세광고) |
37회 | 1983 | 광주일고 | 3-2 | 대구고 | 박준태(광주일고) |
38회 | 1984 | 광주일고 | 4-0 | 경남고 | 박준태(광주일고 3학년) |
39회 | 1985 | 전주고 | 9-2 | 진흥고 | 임기정(전주고) |
40회 | 1986 | 군산상고 | 2-1 | 진흥고 | 권순구(군산상고) |
41회 | 1987 | 신일고 | 4-3 (연장10회) |
경남고 | 권오성(신일고) |
42회 | 1988 | 동산고 | 6-0 | 유신고 | 박기복(동산고) |
43회 | 1989 | 인천고 | 4-2 | 선린상고 | 박종일(인천고) |
44회 | 1990 | 충암고 | 13-0 | 배재고 | 심재학(충암고 3학년) |
45회 | 1991 | 신일고 | 14-2 | 광주일고 | 설종진(신일고) |
46회 | 1992 | 배명고 | 2-0 | 부산고 | 이경필(배명고) |
47회 | 1993 | 신일고 | 7-2 | 덕수상고 | 조현(신일고) |
48회 | 1994 | 덕수상고 | 7-1 | 경남상고 | 한규식(덕수상고) |
49회 | 1995 | 덕수상고 | 3-1 | 마산고 | 김민기(덕수상고) |
50회 | 1996 | 신일고 | 6-2 | 덕수상고 | 안치용(신일고) |
51회 | 1997 | 신일고 | 8-7 (연장 10회) |
광주일고 | 김광삼(신일고) |
52회 | 1998 | 대구상고 | 13-0 | 효천고 | 권도영(대구상고) |
53회 | 1999 | 군산상고 | 11-3 | 부산상고 | 한동희(군산상고) |
54회 | 2000 | 경기고 | 10-7 | 신일고 | 이동현(경기고) |
55회 | 2001 | 휘문고 | 6-4 | 동산고 | 지석훈(휘문고) |
56회 | 2002 | 천안북일고 | 12-3 | 동산고 | 남상준(천안북일고) |
57회 | 2003 | 신일고 | 9-5 | 천안북일고 | 최진택(신일고) |
58회 | 2004 | 덕수정보고 | 7-0 | 야탑고 | 김문호(덕수정보고) |
59회 | 2005 | 광주일고 | 10-0 | 성남서고 | 나승현(광주일고) |
60회 | 2006 | 장충고 | 2-1 | 유신고 | 전진호(장충고) |
61회 | 2007 | 장충고 | 3-0 | 천안북일고 | 최원제(장충고) |
62회 | 2008 | 광주일고 | 3-0 | 덕수고 | 정성철(광주일고) |
63회 | 2009 | 충암고 | 3-0 | 북일고 | 문성현(충암고) |
64회 | 2010 | 광주일고 | 1-0 | 장충고 | 유창식(광주일고) |
65회 | 2011 | 충암고 | 6-1 | 광주일고 | 변진수(충암고) |
66회 | 2012 | 북일고 | 4-2 | 장충고 | 윤형배(북일고) |
67회 | 2013 | 덕수고 | 4-1 | 마산고 | 한주성(덕수고) |
68회 | 2014 | 서울고 | 11-3 | 용마고 | 남경호(서울고) |
69회 | 2015 | 선린인터넷고 | 7-2 | 대구상원고 | 김대현(선린인터넷고) |
70회 | 2016 | 덕수고 | 4-2 | 마산용마고 | 양창섭(덕수고) |
71회 | 2017 | 덕수고 | 7-3 | 마산용마고 | 양창섭(덕수고) |
72회 | 2018 | 광주일고 | 10-2 | 대구고 | 조준혁(광주일고) |
73회 | 2019 | 유신고 | 10-4 | 마산용마고 | 소형준(유신고) |
74회 | 2020 | 김해고 | 4-3 | 강릉고 | 김준수(김해고) |
75회 | 2021 | 강릉고 | 13-4 | 대구고 | 최지민(강릉고) |
76회 | 2022 | 경남고 | 청담고 |
기록
[편집]기타
[편집]교명
[편집]- 덕수상업고등학교(덕수상고),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덕수정보고) -> 덕수고등학교
- 선린상업고등학교(선린상고) -> 선린인터넷고등학교(선린인고)
- 경기공업고등학교(경기공고)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대구상업고등학교(대구상고) ->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원고, 상원고)
- 광주상업고등학교(광주상고) -> 광주동성고등학교(광주동성고)
- 부산상업고등학교(부산상고) -> 개성고등학교(개성고)
- 경남상업고등학교(경남상고) -> 부경고등학교(부경고)
- 마산상업고등학교(마산상고) -> 마산용마고등학교(마산용마고, 용마고)
- 광천고등학교(광천고) -> 한국K-POP고등학교(한국K-POP고)
- 광명공업고등학교(광명공고) -> 경기항공고등학교(경기항공고)
각주
[편집]- ↑ “全國地區代表(전국지구대표) 高校野球爭覇戰開幕(고교야구쟁패전개막)”. 동아일보. 1957년 9월 22일.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 ↑ “황금사자기 고교야구 본사주최 黃金獅子(황금사자)는 신선한 팀을 찾아갔다 世光(세광) 29년만의 榮光(영광)”. 동아일보. 1982년 9월 29일.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 ↑ 장현구 (2008년 3월 18일). “고교야구 플레이볼..황금사자기 19일 개막”. 연합뉴스.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 ↑ 이재국 (2010년 3월 11일). “황금사자기 12일 개막…52개팀 18일간 고교야구 잔치”. 동아일보(스포츠동아).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 ↑ 이승건 (2012년 5월 3일). “전설의 황금사자 창원에 뜨다”. 동아일보.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