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병이끼목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Splachnum sphaericum | ||||||||||
생물 분류![]() | ||||||||||
---|---|---|---|---|---|---|---|---|---|---|
| ||||||||||
과 | ||||||||||
|
화병이끼목 또는 스플라크눔목(Splachnales)은 참이끼아강에 속하는 이끼 목 중의 하나이다.[1] 직립형 이끼로 줄기 단면에 중앙 다발(중심속)을 갖고 있다. 한랭이끼와 화병이끼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위 분류[편집]
- 한랭이끼과 (Meesiaceae) Schimp. - 참이끼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
- 화병이끼과 또는 스플라크눔과 (Splachnaceae) Grev. & Arn. - 표주박이끼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3]
계통 분류[편집]
2019년 콜(Cole)과 힐거(Hilger), 고피넷(Goffinet) 연구에 기초한 참이끼아강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참이끼아강 |
| ||||||||||||||||||||||||||||||||||||||||||||||||||||||||||||||||||||||||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Wolfgang Frey, Michael Stech, Eberhard Fischer: Bryophytes and Seedless Vascular Plants (= Syllabus of Plant Families. 3). 13th edition. Borntraeger, Berlin u. a. 2009, ISBN 978-3-443-01063-8.
- ↑ Roskov Y., Kunze T., Orrell T., Abucay L., Paglinawan L., Culham A., Bailly N., Kirk P., Bourgoin T., Baillargeon G., Decock W., De Wever A., Didžiulis V. (ed) (2014).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Species 2000: Reading, UK.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Roskov Y., Kunze T., Orrell T., Abucay L., Paglinawan L., Culham A., Bailly N., Kirk P., Bourgoin T., Baillargeon G., Decock W., De Wever A., Didžiulis V. (ed) (2014).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Species 2000: Reading, UK.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Cole & Hilger, Goffinet (2019). “Bryophyte Phylogeny Poster (BPP)”. doi:10.7287/peerj.preprints.27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