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죽도
협죽도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용담목 |
과: | 협죽도과 |
아과: | 협죽도아과 |
족: | 협죽도족 |
속: | 협죽도속 Nerium L., 1753 |
종: | 협죽도 |
학명 | |
Nerium oleander | |
L., 1753 | |
학명이명 | |
Nerium indicum | |
보전상태 | |
|
협죽도(夾竹桃, 문화어: 류선화, 학명: Nerium indicum)는 협죽도과에 속하는 넓은잎 늘푸른떨기나무이다. 인도 원산이며, 한국에서는 제주도에 자생한다.[2] 유도화(柳桃花)라고도 부른다.
학명과 분류
[편집]1753년 린네가 《식물의 종》에서 Nerium oleander로 등재하였다.[3][4] 속명 네리움(Nerium)은 고대 그리스어 네리온(νἠριον)을 라틴어화 한 것으로 물가에서 잘 자란다는 의미를 갖고 있고, 종명 올리엔더(oleander)의 명명에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올리브 나무와 비슷한 모양새라서 그렇게 붙였다는 것과[5] 독성을 나타내기 위해 그리스어로 죽인다는 뜻을 지닌 올리오(ολλύω)와 사람을 뜻하는 안드로스(άνδρος)를 합쳐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6] 필립 밀러가 1768년 Nerium Indicum으로 학명을 다시 등재하였다.[7]
생태
[편집]높이는 2-4m 정도이며 꽃이 아름답다.[8] 전체 수형은 부채꼴 모양이다.[9] 잎은 피침형이며 두껍고 질기다.[8] 길이 7~15센티미터, 너비 8~20밀리미터쯤 되며 돌려난다.[9] 꽃은 화려하며 장미를 많이 닮았다. 여러 변종 가운데 붉은색 꽃이 피는 변종과 흰색 꽃이 피는 변종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8] 지름이 4~5센티미터쯤 되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9]
지중해 연안과 아프리카 북부의 모리타니, 모로코, 포르투갈 등에 자생지가 있으며 자생지역은 아라비아반도와 남아시아를 거쳐 중국 남부의 윈난성까지 분포하고 있다.[10][11][12][13]
재배
[편집]대개 기후가 따뜻한 지역에서는 실외에 심고, 온대지역에서는 관상용으로 많이 기른다. 줄기를 잘라 물병에 꽂아두면 몇 주 안에 뿌리가 나오는데, 보통 꺾꽂이법을 이용해 재배한다.[8] 오염에 내성이 강하고 이식이 쉽다.[9]
쓰임새
[편집]아주 미량이라도 치사율이 높기 때문에 독화살, 사약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다.[14] 강한 독성이 있으나 껍질과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한다.[8] 생약으로는 잎을 쓰며 협죽도엽이라고 한다. 강심제와 이뇨제로 쓴다.[2]
독성
[편집]협죽도는 독성이 있다. 협죽도의 독성분은 스테로이드를 비당체(aglycon)로 삼는 배당체 가운데 심근에 작용하여 울혈성 심부전에 효과가 있는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이며 여러 종류의 강심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올레안드린이다.[15] 올레안드린의 반수 치사량은 300 ug/kg이다.[16] 독성분은 주로 잎에 분포하며 꽃이 필 때 최고조에 이른다.[17] 소가 잎을 뜯어 먹을 경우 치사량은 마른 잎을 기준으로 50mg/kg 이라고 한다.[15]
이 외에도 협죽도에 포함된 글리코사이드 역시 민감한 사람은 중독 증세를 보일 수 있다.[18]
품종
[편집]- 만첩협죽도(Nerium indicum for. plenum Makino) : 겹꽃이다.
- 흰협죽도(Nerium indicum for. leucanthum Makino) : 흰색 꽃이 핀다.
- 노랑협죽도(Nerium indicum for. lutescens Makino) : 노란색 꽃이 핀다.
미디어
[편집]미디어에서는 종종 협죽도의 독성에 대한 뉴스를 보도한다. 협죽도가 가로수로 심어져 있는 것을 우려하는 보도가 있었다.[19][20][21]이러한 보도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가로수나 조경수로 심어진 협죽도를 배어내는 경우도 있다.[22]
한편, 협죽도의 독성을 보도할 때 청산가리 독성의 6천배에 달한다고 보도하는 경우도 있는데[22][23], 청산가리의 반수 치사량은 설치류가 입을 통해 섭취할 때 5 - 10 mg/kg 이어서[24] 6천배라는 표현은 매우 과장된 것이다.[25]
사진
[편집]-
꽃
-
열매
-
잎
-
만개한 꽃
각주
[편집]- ↑ Lansdown, R.V. 2013. Nerium oleander.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3: e.T202961A13537523. https://dx.doi.org/10.2305/IUCN.UK.2013-1.RLTS.T202961A13537523.en. Accessed on 21 December 2022.
- ↑ 가 나 한국 약용식물 연구회 (2001년 2월 10일). 《종합 약용식물학》. 학창사. 262쪽.
- ↑ "Nerium" Archived 2017년 9월 20일 - 웨이백 머신. Atlas of Florida Plants. Retrieved 2017-05-07.
- ↑ 209p - PENTANDRIA MONOGYNIA, Species Plantarum, Carl Linnaeus, 1753
- ↑ oleander, Online Etymology Dictionary
- ↑ Wilhelmina F. Jashemski & Frederick G. Meyer (2002). The Natural History of Pompeii. p. 133.
- ↑ D.O. Wijnands, The Botany of the Commelins Archived 2017년 12월 30일 - 웨이백 머신, 43 p.
- ↑ 가 나 다 라 마 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씨식물-협죽도.《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 ↑ 가 나 다 라 김용식·송근준·안영희·오구균·이경재·이유미 (2000년 1월 20일). 《조경수목 핸드북》. 광일문화사. 249쪽.
- ↑ Pankhurst, R. (editor). Nerium oleander L. Flora Europaea.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Retrieved on 2009-07-27.
- ↑ Bingtao Li, Antony J. M. Leeuwenberg, and D. J. Middleton. "Nerium oleander L.", Flora of China. Harvard University. Retrieved on 2009-07-27.
- ↑ INCHEM (2005). Nerium oleander L. (PIM 366).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INCHEM. Retrieved on 2009-07-27
- ↑ Huxley, A.; Griffiths, M.; Levy, M. (eds.) (1992). The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ISBN 0-333-47494-5.
- ↑ 생존 매뉴얼 365: 생명의 위험 속에서 나를 지키는 Archived 2017년 12월 27일 - 웨이백 머신, 김학영, , 지영환 2015
- ↑ 가 나 동물의 중독성 식물 정보 Archived 2017년 12월 29일 - 웨이백 머신, 농림축산 검역본부
- ↑ Oleandrin, TOXNET
- ↑ 협죽도, 국가생물종 지식정보 시스템
- ↑ Szabuniewicz, M; Schwartz, WL; McCrady, JD; Camp, BJ (1972). "Experimental oleander poisoning and treatment". Southwestern Veterinarian. 25 (2): 105–14.
- ↑ 위험한 가로수..경남 남해 도로변 식재 협죽도에 맹독 Archived 2017년 12월 28일 - 웨이백 머신, 국민일보, 이영재 기자, 2008년 9월 7일
- ↑ 통영시, 협죽도 독성 분석 후 대체 수종 심기로 Archived 2017년 12월 28일 - 웨이백 머신, 연합뉴스, 2015년 7월 29일
- ↑ 예쁘지만 독성 있어서 위험 -협죽도 가로수 괜찮나 Archived 2017년 12월 28일 - 웨이백 머신, 연합뉴스, 2016년 8월 21일
- ↑ 가 나 청산가리 6000배 독나무…부산시, 초등학교 앞에 식재, 헤럴드경제, 2017년 12월 27일
- ↑ 청산가리 6천 배 독 품은 협죽도가 시민 산책로에 Archived 2017년 12월 28일 - 웨이백 머신, 2017년 12월 27일
- ↑ "Cyanides (as CN)".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청산가리 6000배의 독성을 가진 가로수?, the Science Life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협죽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국가표준식물목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산림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영어)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 (영어) USDA GRIN Taxonomy for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