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
![]() Acute arterial ischemic disorder | |
---|---|
진료과 | 혈관외과 ![]() |
허혈(虛血, ischemia, ischaemia, ischæmia[a]), 핍혈(乏血), 저혈, 단혈, 국소빈혈은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제한을 받아 물질대사에 필요한(조직이 생존하는데 필요한)[1] 산소와 글루코스가 부족해진 상태를 말한다.
허혈은 보통 혈관에 문제가 있음으로 말미암아 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역기능을 할 때 발생한다. 혈관 수축, 혈전증, 색전증 등으로 인한 신체 일부의 국소빈혈을 뜻하기도 한다. 허혈은 산소가 충분치 않은 것 뿐 아니라 영양소의 이용 감소와 대사물질의 부적절한 제거도 수반된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Merck & Co. Occlusive Peripheral Arterial Disease, The Merck Manual Home Health Handbook website, revised and updated March 2010. Retrieved March 4, 2012.
- 내용주
참고 문헌[편집]
- Elizabeth (editor). Oxford Reference: Concise Medical Dictionary (1990,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Market House Books, 1987, 2nd ed., pg. 107, ISBN 0-19-281991-7, ISBN 978-0-19-281991-8
![]() |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