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대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대훈
咸大勳
작가 정보
출생1907년 8월 21일
대한제국 황해도 송화군
사망1949년 3월 21일(1949-03-21)(41세)
언어한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직업작가, 교육인
학력일본 도쿄 외국어학교 러시아어학과 중퇴
활동기간1928년 ~ 1949년
장르문학평론, 소설

함대훈(咸大勳, 1907년 8월 21일 ~ 1949년 3월 21일)은 일제강점기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연극인이자 소설가이다. 아호는 일보(一步)이다.

생애[편집]

황해도 송화군 출신이다.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도쿄 외국어학교에서 러시아문학을 전공했다. 유학 시절부터 외국문학을 전공하는 도쿄 유학생들과 함께 해외문학연구회를 조직하여 《해외문학》, 《문예월간》 등 문학 잡지에 번역물과 평론을 게재해 활동을 시작했다.

1931년 해외문학연구회 동료들인 김진섭, 이하윤, 정인섭 등과 함께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였다. 극연의 창단 공연작은 니콜라이 고골리의 풍자극인 《검찰관》이었는데 함대훈이 번역한 것이다. 이 시기에 러시아문학 전공자 가운데 독보적인 인물로서 신극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후 유치진과 함께 극예술연구회의 후신인 극연좌에서 활동하였고 남녀간 애정을 중심으로 한 통속 소설도 발표했다. 소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은 《순정해협》으로, 신경균이 동명의 영화로 제작하기도 했다.

1933년 카프 계열의 경향파 문학을 대표하는 임화와 함께, 백철의 우경화된 인간묘사론을 공격하면서 벌어진 '형상 논쟁'도 유명하다.[1] 임화와 함대훈은 이 논쟁을 계기로 프로 문학의 본질에 대한 정견 차이를 드러냈다.[2]

일제 강점기 말기에 정인섭, 유치진과 함께 친일 연극 단체인 국민연극연구소를 세우고 소장을 맡았고[3], 조선문인협회에서도 활동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1940년매일신보》에 〈우리들과 지원병〉을 기고하는 등 총 11편의 친일 저작물이 확인되어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4]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 《한성일보》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곧이어 경찰에 투신하여 미군정의 군정청 공안국장과 공보국장을 맡았으며,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 재직 중 뇌일혈로 사망했다.

참고자료[편집]

  • 권영민 (2004년 2월 25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048쪽쪽. ISBN 89-521-0461-7. 
  • 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2006년 12월 15일).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서울: 소도. 347~349쪽쪽. ISBN 978-89-90626-26-4. 

각주[편집]

  1. 편집부 (2004년 2월 25일). 《임화문학의 재인식》. 서울: 소명(박성모). 265~267쪽쪽. ISBN 89-5626-064-8. 
  2. 김영민 (1999년 11월 30일). 《한국근대문학비평사》. 서울: 소명(김호영). 457~458쪽쪽. ISBN 89-88375-21-1. 
  3. 전갑생 (2004년 11월 4일). “친일미술단체들, 전쟁동원에 '회화보국'나서 - [특집] 경남.부산 친일예술인 연구 2 미술과 연극영화단체들”. 거제타임즈. 2008년 6월 15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7) (도움말)
  4. 김재용 (2002년 8월). “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67호): 123~148쪽.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