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타케야마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타케야마씨
아시카가후타츠히키 足利二つ引
아시카가후타츠히키
足利二つ引
한자 畠山氏
가나 はたけやまし/うじ
본성(本姓) 간무 헤이시 타카모치 왕류
세이와 겐지 (카와치 겐지)
가조(家祖) 하타케야마 시게요시 (간무 헤이시)
하타케야마 요시즈미 (세이와 겐지)
종별(種別) 무가
사족
출신지 무사시국 오부스마군 하타케야마고
근거지 카와치국, 키이국,
야마토국, 엣츄국,
노토국, 무츠국
출신 저명인물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
하타케야마 요시츠구
지류·분가 이와마츠씨 (무가화족 (남작))
니혼마츠씨 (무가)
타나카씨 (무가)
카와치 시부카와씨 (무가)
야스이씨 (무가) 등
범례 - 분류:일본의 씨족

하타케야마씨 (일본어: 畠山氏 はたけやまし/うじ[*])무가사족이었던 일본씨족이다. 간무 헤이시계와 세이와 겐지의 2 계통이 있으며, 전자는 치치부씨 일족으로 헤이안 시대 말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고가였으나, 호죠씨에게 멸망당했다 (이것에 관해서는 하타케야마씨 (헤이시)를 참조)[1]. 후자는 아시카가씨 일족으로 무로마치 시대슈고 다이묘, 막부 관령가로서 번창했다[1]. 하지만, 하타케야마씨의 가독 싸움이 오닌의 난의 한 원인이 되었고, 그 후에도 내분이 계속 되어 몰락하였다[1]. 에도 시대에는 고가로 남아, 메이지 유신 후 "아시카가"로 복성하여 사족이 되었다[2]. 분가에 노토 슈고를 대대로 세습한 노토 하타케야마씨도 있으며[1], 이쪽도 에도 시대의 고가를 거쳐 유신 후, 사족이 되었다 (이쪽은 하타케야마 성 그대로 사용)[3].

개요[편집]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편집]

반도하치 헤이시의 일족 치치부 시게히로의 아들인 치치부 시게요시무사시국 오부스마군 하타케야마고 (현재의 사이타마현 후카야시 하타케야마 주변)에 소령을 얻어, 하타케야마 성을 칭한 것으로 시작된다 (헤이시 하타케야마가). 지쇼ㆍ쥬에이의 난에서, 그의 아들 하타케야마 시게타다는, 처음에는 헤이시 편이었지만,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따라 이치노타니 전투오슈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시게타다는 후에 호죠 토키마사와 대립해, 겐큐 2년 (1205년)에 무사시국 후타마타강에서 호죠 요시토키의 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의 난).

그 후, 시게타다의 구령과 하타케야마의 묘세키는, 아시카가 요시카네의 서장자 아시카가 요시즈미가 시게타다의 미망인인 호죠 토키마사의 딸[a]과 혼인하면서 계승되었다. 요시즈미는 원래 닛타 요시카네 (아시카가 요시카네와 같은 이름의 사촌)의 딸과 혼인하여 자식도 얻었지만, 그 처자를 의절한 후의 계승이었다[b]. 이에 따라, 간무 헤이시의 하나 였던 치치부 헤이시는 소멸하고, 세이와 겐지의 하나인 카와치 겐지의 일계 아시카가가의 일문으로 존속하게 되었다.

요시즈미의 가계 (겐지 하타케야마가)는 명문 하타케야마가의 묘세키를 계승한 것으로, 후에 아시카가 일문에서도 별가 취급을 하는 아시카가 오와리가 (무위가, 이른바 시바가)에 이어 높은 서열로 나열되어, 호소카와가 등 다른 가신 혈통 분가와는 다른 대우를 아시카가 종가로부터 받게 된다.

키이카와치, 엣츄의 슈고를 대체로 맡았으며, 분가는 노토 슈고를 맡았다.

무로마치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편집]

겐무 3년 (1336년), 아시카가 타카우지무로마치 막부를 창립하자, 하타케야마가는 지금까지의 공적으로 엣츄카와치키이슈고를 맡게되었다. 아시카가가의 내분인 칸노의 소란에서는, 서류의 하타케야마 쿠니키요아시카가 타다요시 편에 붙었지만, 후에 타카우지 편으로 갈아타, 가세를 유지하고, 한편으로는 하타케야마가 적류 하타케야마 타카쿠니쿠니우지 부자는, 칸노 2년 (1351년) 타다요시파의 키라 사다이에에게 패해 자살하고, 쿠니우지의 아들 니혼마츠 쿠니아키라는 니혼마츠로 옮겼다 (오슈 하타케야마가).

본래의 적류인 오슈 하타케야마가 쇠퇴하는 가운데, 하타케야마 쿠니키요의 가계 (킨고가)가 하타케야마가 부령격이 되었다. 쿠니키요는 칸토 관령에 임명되어, 동쪽에서 남조측과 싸우지만, 그 후 가마쿠라 공방 아시카가 모토우지와 대립해, 게이안 원년 (1361년)에 실각했다. 쿠니키요는 그대로 몰락하지만, 쿠니키요의 동생 하타케야마 요시후카가 나중에 슈고에 임명되어 하타케야마가를 다시 부흥시킨다. 요시후카의 아들 하타케야마 모토쿠니메이토쿠 2년 (1391년)에 메이토쿠의 난에서 공적을 올리는 등, 아시카가 요시미츠의 신임을 받아, 노토 슈고를 맡는 등, 슈고다이묘로서 힘을 기른다.

오에이 5년 (1398년)에 관령으로 임명되어, 같은 아시카가 일문 시바 부에이가호소카와 케이쵸가 등과 함께 삼관령가로서 이름을 날리는 가문이 되었다. 모토쿠니의 아들 하타케야마 미츠이에는 요시미츠에게 냉대를 받았지만, 아시카가 요시모치 대에 이르러서야 조정에 복귀해 관령에 취임한다. 미츠이에의 아들 하타케야마 모치쿠니 (토쿠모토)는 쇼군 권력의 강화를 목표로 하는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간섭에 시달리지만, 하타케야마가의 내분을 잠재우고 호소카와가나 야마나가와 맞대응하는 세력을 유지했다.

하지만, 모치쿠니의 아들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조카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와의 사이에서 가독을 둘러싼 격렬한 싸움이 벌어졌고, 그것이 후의 오닌의 난의 한 원인이 되었다. 분메이 9년 (1477년)의 오닌의 난이 종식된 후에도 요시히로류 (소슈가)와 마사나가류 (오슈가)는 내분을 계속해, 이 대립은 양 호소카와가의 난과 함께 키나이를 내전 상태로 만드는 주된 원인이 되었다. 또,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하타케야마 오슈가)나 하타케야마 요시타카 (하타케야마 소슈가)는 관령에 취임했지만, 센고쿠 말기에 양가에서 각각, 키자와 나가마사 (하타케야마 소슈가)와 유사 나가노리 (하타케야마 오슈가)에 의한 하극상이 벌어졌다.

엣츄국은 슈고다이 진보씨에게 뺏겼고, 카와치국도 종종 슈고다이 유사씨에게 위협을 받았지만, 오슈가의 키이만큼은 끝까지 세력을 유지했다.

그 후[편집]

에도 시대에는 오슈 하타케야마가와 노토 하타케야마가가 고가로 남았다. 메이지 유신 후, 오슈 하타케야마가의 당주 하타케야마 모토나가는 아시카가로 복성하여 사족에 편입되었다[2]. 노토 하타케야마가 쪽은 하타케야마 성 그대로 사족이 되었다[3].

1884년 (메이지 17년)에 화족이 5작제가 되었을 때 정해진 『서작내규』의 전안인 『화족령』안이나 『서작규칙』안에서는 전 고가가 전 코타이요리아이와 함께 남작에 포함되어 있었고, 아시카가가 (오슈 하타케야마가)와 노토 하타케야마가도 남작을 수여받아야 할 집안으로 꼽혔으나, 최종적인 『서작내규』에서는 고가도 코타이요리아이도 대상에서 제외되어 결국 두 가문은 사족으로 남았다[7].

헤이시 하타케야마가[편집]

역대 당주
  1. 하타케야마 시게요시 - 헤이시 하타케야마씨 선조)
  2.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3. 하타케야마 시게야스

헤이시 하타케야마가 계보[편집]

헤이시 하타케야마가 계보

오슈 하타케야마가[편집]

오슈 니혼마츠성에 근거한, 옛 오슈 사관령의 한 가문인 하타케야마가의 후손이며, 이혼마츠 하타케야마씨, 니혼마츠씨로도 불린다. 겐지 하타케야마씨의 시조인 아시카가 요시즈미의 석류는 본래 이, 니혼마츠의 오슈 하타케야마가였으나, 칸노의 소란으로 하타케야마 타카쿠니쿠니우지아시카가 타다요시 측의 키라 사다이에에게 패하여 자살하고, 쿠니우지의 아들 니혼마츠 쿠니아키라는 니혼마츠로 옮겼으나, 센고쿠 시대에는 한 국인으로써 쇠퇴하였다.

덴쇼 13년 (1585년), 당시의 당주 니혼마츠 요시츠구다테씨와의 항쟁 속에서 전사하고, 곧 국인 영주 니혼마츠씨도 멸망했다. 그의 차남인 니혼마츠 요시타카아시나씨사타케씨 등을 섬긴 뒤, 도쿠가와씨 후다이 다이묘미즈노씨를 섬겼다. 미즈노 타다쿠니의 전봉 운동에 반대하여 간언한 죄로 사망한 가로 니혼마츠 요시카도는 그 후손이다.

역대 당주 (겐지 하타케야마 본종가 : 오슈 하타케야마가)
  1. 하타케야마 요시즈미 - 겐지 하타케야마씨 시조
  2. 하타케야마 야스쿠니
  3. 하타케야마 토키쿠니
  4. 하타케야마 타카쿠니 - 오슈 하타케야마가 시조
  5. 하타케야마 쿠니우지 - 오슈 하타케야마가
(10대 생략)
니혼마츠 요시타카 - 미즈노가 가로 니혼마츠씨 시조

하타케야마 킨고가[편집]

대대로, 에몬노카미나 에몬노스케를 맡았기 때문에 킨고가 (킨고는 에몬부당명)라고 불렸다. 본래의 정류인 오슈 하타케야마가가 냉대를 받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서류인 하타케야마 쿠니키요는 지용이 뛰어나 중용되어, 키이국이즈미국의 슈고가 되어, 후에 카와치국의 슈고에도 임명되었다. 이것이 카와치 하타케야마가의 시작이다.

칸노의 소란에 있어서 쿠니키요는 처음에는 타다요시파였지만, 적류이자 타카우지파였던 타카쿠니ㆍ쿠니우지 부자가 패배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타카우지파로 몰려 몰락한 오슈 하타케야마가를 대신해 하타케야마가의 부령격이 된다. 가마쿠라의 아시카가 모토우지를 보좌하는 간토 집사 (간토 관령)으로 활약했고,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집사 호소카와 키요우지와 함께 니키 요시나가를 추방하여, 한때 중앙 정무를 농단하였으나, 후에 요시아키라나 모토우지와 대립하여 실각했고, 카와치 하타케야마가는 하타케야마 쿠니키요의 동생 하타케야마 요시후카의 계통에 의해 계승되었다.

요시후카의 아들 하타케야마 모토쿠니는 처음에는 가마쿠라 공방을 섬겼으나, 아시카가 요시미츠의 측근으로서 교토의 무로마치 막부를 중심으로 활동하게 되어, 관령가 호소카와 케이쵸가와 시바 부에이가가 대립하는 가운데, 제 3세력으로 대두, 노토국의 슈고직을 획득하고, 후에 하타케야마가의 인물로는 첫 관령직에 임명된다. 이후, 카와치 하타케야마가는 대대로 관령을 배출하는 가문이 되었다. 참고로, 현재의 교토시 카미교구 하타케야마정은, 이 부근 일대에 관령 하타케야마씨의 저택이 었던 데서 유래한 지명이다.

하타케야마 미츠이에하타케야마 모치쿠니는 관령으로서 막부 정치에 무게를 두었으나, 모치쿠니의 후계를 둘러싸고, 하타케야마 마사나가하타케야마 요시히로의 후손이 서로 싸웠고, 오닌의 난 이후에도 양가가 분열되어 내분이 계속되었다. 서군이었던 요시히로류 하타케야마가는 관직의 카미소노스케에서 소슈가로, 동군이었던 마사나가류 하타케야마가는 관직의 오와리노카미에서 오슈가로 각각 칭하였다.

역대 당주 (겐지 하타케야마 본종가 : 킨고가)
  1. 하타케야마 사다쿠니
  2. 하타케야마 이에쿠니
  3. 하타케야마 쿠니키요 - 간토 집사
  4. 하타케야마 요시후카 - 쿠니키요의 동생
  5. 하타케야마 모토쿠니 - 관령, 키이국 슈고, 노토국 슈고, 엣츄국 슈고, 카와치국 슈고
  6. 하타케야마 미츠노리 - 카와치국 슈고 등의 슈고, 후 노토 하타케야마가 초대. 모토쿠니의 차남
  7. 하타케야마 미츠이에 - 관령, 키이국 슈고, 카와치국 슈고, 엣츄국 슈고. 모토쿠니의 장남
  8. 하타케야마 모치쿠니 - 관령, 키이국 슈고, 카와치국 슈고, 엣츄국 슈고. 미츠이에의 장남
  9. 하타케야마 모치나가 - 카와치국 슈고. 미츠이에의 차남. 모치쿠니의 동생
  10. 하타케야마 요시히로 - 모치쿠니의 아들. 카와치국 슈고, 키이국 슈고, 엣츄국 슈고
  11.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 모치토미 (미츠이에의 3남)의 아들. 관령. 키이국 슈고, 카와치국 슈고, 엣츄국 슈고, 야마시로국 슈고

가신단[편집]

오닌의 난 전후로, 하타케야마씨의 가신단은 각자 마사나가 측과 요시히로측으로 나뉘는 등, 혼란을 겪었다. 센고쿠 시대에 이르러, 하타케야마씨 당주의 권력이 약해지면서, 재지 세력이었던 "코쿠진슈(国人衆)", "야마토슈(大和衆)"가 힘을 갖게 되었는데, 슈고다이로서 권력을 장악한 유사씨・진보씨는 "가마쿠라슈(鎌倉衆)", "가마쿠라 이후"의 가문이었다. 하타케야마가의 가신단은 크게 출신에 따라 "무사시슈(武蔵衆)", "아시카가슈(足利衆)", "가마쿠라슈(鎌倉衆)", "코쿠진슈(国人衆)", "야마토슈(大和衆)"의 다섯 계통이 있다.

가신단
무사시슈(武蔵衆)
아시카가슈(足利衆)
  • "아시카가슈" - 아시카가 요시즈미가 하타케야마씨 후계자로 들어올 때부터 따랐던 가신.
    • 대표 성씨:이나사와씨, 사이토씨, 타카시나씨, 토모씨, 히라(平)씨
      • 사이토씨, 히라씨는 중신, 이나사와씨, 토모씨는 우마마와리슈로서 잔존. 타카시나씨는 몰락했다. 타카시나씨는 코씨와 동계. 아시카가슈는 센고쿠 시대에 이르러 당주 측근으로 활약했다. 사이토씨나 히라씨는 부교직이나 유히츠로서 문서를 발급해, 하타케야마씨의 행정 관료적 존재가 되었다. 또한, 이나사와씨, 토모씨는 당주 측근의 평시 경호를 직무로 하여, 전진에서는 우마마와리슈가 되어 전령이나 작전 참모적 위치에 올랐으나, 군권이 슈고다이로 넘어가자, 실권을 잃고 몰락하였다.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1. 이설로써, 토키마사의 딸을 소생으로 하는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의 딸[4]
  2. 다만, 시게타다의 소령은 후가 (일설엔 타케모)로부터 직접 아들 야스쿠니에게 계승되어[5], 게다가 일부는 닛타 요시카네의 딸의 후손인 이와마츠씨에게 넘겨졌을 가능성이 있는[6] 등, 요시즈미의 하타케야마씨 계승에는 불분명한 점도 많다.

출처주[편집]

  1. 일본대백과전서 (닛포니카)(일본어)畠山氏』 - Kotobank
  2. 마츠다 타카유키 2015, 53쪽.
  3. 마츠다 타카유키 2015, 573쪽.
  4. 타케무라 2009, 23쪽.
  5. 와타리 2012, 틀:要ページ番号쪽.
  6. 히코요시 2012, 틀:要ページ番号쪽.
  7. 마츠다 타카유키 2015, 54/573쪽.

참고문헌[편집]

  • 타케무라 코이치 (2009년 11월). “足利一族の基礎知識 (特集 足利一族の謎)”. 《歴史研究》 (歴研) (576): 20–29. NAID 40016875308. 
  • 시미즈, 료, 편집. (2012년 6월), 《畠山重忠》, 中世関東武士の研究;第7巻, 戎光祥出版, ISBN 978-4-86403-066-3 
    • 와타리, 마사카즈 (2012년 6월), 〈鎌倉時代の畠山氏について〉, 시미즈 료, 《畠山重忠》, 中世関東武士の研究;第7巻, 戎光祥出版  (初出:『埼玉県立歴史資料館研究紀要』 第12号、埼玉県立歴史資料館、1990年。第13号、埼玉県立歴史資料館、1991年。)
    • 히코요시, 미에코 (2012년 6월), 〈足利氏と畠山氏〉, 시미즈 료, 《畠山重忠》, 中世関東武士の研究;第7巻, 戎光祥出版  (初出:『武蔵野』 第81巻 第2号 武蔵野文化協会、2005年。)
  • 유미쿠라, 히로토시 (2006), 《中世後期畿内近国守護の研究》, 청문당 출판, ISBN 4-7924-0616-1 
  • 마츠다 타카유키 (2015년). 《〈華族爵位〉請願人名辞典》. 요시카와 홍문관. ISBN 978-4642014724. 

같이 보기[편집]

하타케야마 일족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