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북동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북동로(河北東路)송나라에서 설치한 중 하나로 지금의 허베이성 해안지대를 통치했다. 1073년(희녕 6년), 하북로가 동로와 서로로 분리되면서 형성되었다. 3부 11주 5군 57현을 두었다.[1] 정강의 변이후 본로를 점령한 금나라는 대명부일대를 분리해 대명부로에 소속시키면서 중심지를 하간부로 옮겼다.[2]

[편집]

대명부(大名府)[편집]

대명부참고

개덕부(開德府)[편집]

상급부로 전연군(澶淵郡) 진녕군절도(鎮寧軍節度)를 두었다. 1105년(숭녕 4년), 전주(澶州)에다가 북보를 두었다. 1106년에 부로 승격되었다. 1120년(선화 2년), 보군을 파하고 하북동로에 소속시켰다. 숭녕연간에는 31,878호 82,826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낭유석(莨莠席), 남분(南粉)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복양현 濮陽縣 푸양 시 푸양 현 1004년 요나라가 본현으로까지 남진을 해 송나라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이 요군의 대공세를 버티지 못한 송나라는 본현에서 전연의 맹을 맺었다.
관성현 觀城縣 랴오청 시 선 현 서남 관성진 1049년(황우 원년)에 복양현과 돈구현에 통폐합되었다가 3년뒤에 복구되었다.
임하현 臨河縣 허비 시 쉰 현 선당진 동
청풍현 淸豊縣 푸양 시 칭펑 현 1044년(경력 4년)에 청풍현에 덕청군치소를 두었고 현에 군을 설치해 주에 소속시켰다. 1073년(희녕 6년)에 돈구현을 본현에 통폐합시켰다.
위남현 衛南縣 푸양 시 푸양 현 서남
조성현 朝城縣 랴오청 시 양구 현 조성진 대명부에 속했으나 1105년(숭녕 4년)에 남악현과 함께 본부에 이관되었다.
남악현 南樂縣 푸양 시 난러 현
덕청군 德淸軍 푸양 시 칭펑 현 서북 見上

창주(滄州)[편집]

상급주로 군명은 경성군(景城郡)이다. 매해군절도(橫海軍節度)를 두었다. 숭녕연간 65,851호 118,218명이 살았다. 대견(大絹), 큰 버드나무로 만든 상자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청지현 淸池縣 창저우 시 창 현 1071년(희녕 4년)에 요안현을 진으로 격하시켜 본현에 소속시켰다. 건부채(乾符), 항고채(巷姑), 삼녀채(三女), 니고채(泥姑), 소남하오채(小南河五砦)가 있다. 1112년(정화 2년), 항고를 해청(海淸)으로 개명하고 삼녀채를 삼하채(三河)로 니고채를 하평채(河平)으로 고쳤다.
무태현 無棣縣 빈저우 시 우디 현 상가진일대 치평연간에 무태현의 치소에 보순군(保順軍)을 두고 현을 군사의 치소로 두고 주에 소속시켰다.
염산현 鹽山縣 창저우 시 황화 시구성진
낙릉현 樂陵縣 더저우 시 라오링 시 1069년(희녕 2년), 함평진(咸平鎮)에 치소를 두었다.
남피현 南皮縣 창저우 시 난피 현 1073년(희녕 6년)에 임진현(臨津縣)을 본현에 통폐합시켰다.

보순군(保順軍)[편집]

후주에서 창주 무태현에남쪽 30리에 설치했다. 970년(개보 3년), 창주와 태주(棣州)2주의 경계의 보순진과 오교진의 땅을 추가확장했다.

기주(冀州)[편집]

하간부(河間府)[편집]

상급부로 군명은 하간군이다. 영해군절도(瀛海軍節度)를 두었다. 997년(지도 3년)에 고양을 순안군에 소속시켰다. 976년(태평흥국 원년)에 고양현을 고양관으로 개명했다. 1048년(경력 8년)에 처음으로 고양관로안무사(高陽關路安撫使)를 두고 영주(瀛州), 막주(莫州), 패주(貝州), 기주, 창주, 영주(永州), 정주(靜州) 보정, 건녕, 신안의 10개주군을 관할했다. 비단을 공납으로 바쳤다.

영주는 본래 석경당요나라에 할양한 연운십육주중의 하나였으나 송나라건국 이전 후주 시영이 요나라에게서 수복했다. 수복후에 송나라는 영주에 방어를 두었는데 1108년(대관 2년)에 부로 승격시키고 군명을 폐했다. 숭녕연간에는 31,930호 60,206명이 살았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하간현 河間縣 창저우 시 허젠 시 희녕연간에 현 서쪽에 평로채(平虜砦)를 두었다. 경덕 2년에 숙녕성(肅寧城)으로 이름을 바꿨다.
악수현 樂壽縣 창저우 시 셴 현 997년 심주에서 본주로 이관되었다. 1073년(희녕 6년)에 경성현(景城縣)을 진으로 격하시켜 본현에 통폐합했다.
속성현 束城縣 창저우 시 허젠 시 동북 속성진(束城鎭) 1073년, 진으로 격하시켜 하간현에 두었다가 1086년에 원래대로 되돌렸다.

박주(博州)[편집]

상급주로 군명은 박평군(博平郡)이다. 방어를 두었다. 992년(순화 3년), 황하의 유로가 바뀌자 치소를 효무도의 서쪽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46,492호 91,333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비단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급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요성현 聊城縣 랴오청 시 주의 치소를 두었다.
고당현 高唐縣 랴오청 시 가오탕 현
당읍현 堂邑縣 랴오청 시 당읍진
박평현 博平縣 랴오청 시 츠핑 현 박평진(博平镇)

체주(棣州)[편집]

상급주로 군명은 낙안군으로 방어를 두었다. 961년(건륭 2년), 단련을 두었다가 방어로 바꿨다. 1018년(대중상부 8년)에 양신현 경계에 있는 팔방사로 치소를 옮겼다. 숭녕연간에는 39,137호 57,234명이 살았다. 비단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염차현에 치소를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염차현 厭次縣 빈저우 시 후이민 현
상하현 商河縣 지난 시 상허 현
양신현 陽信縣 빈저우 시 양신 현

막주(莫州)[편집]

석경당요나라에게 할양한 연운 16주중 하나였지만 후에 송나라가 수복하였다. 상급주로 군명은 문안군(文安郡)이다. 방어를 두었다. 1073년 장풍현을 진으로 격하하고 막현을 임구현으로 통폐합시켰다. 1087년(원우 2년), 막현을 복구했다가 진으로 격하했다. 숭녕연간에는 14,560호 31,992명이 살았다. 면섬유를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임구현 任丘縣 창저우 시 런추 시 마촌채(馬村砦)와 왕가채(王家砦)가 있다. 정화3년, 마촌채를 정안채(定安砦)로 왕가채는 정평채(定平砦)로 바꿨다.

웅주(雄州)[편집]

중급주로 방어를 두었다. 당나라 탁주의 와교관(瓦橋關)이 있었다. 석경당거란연운십육주를 할양할 때 같이 거란에 넘어갔다가 귀신현이 수복되었다. 1113년(정화 3년), 역양군이라는 군명이 붙었다. 숭녕연간에는 13,013호 52,967명이 살았다. 고(槹)를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귀신현 歸信縣 바오딩 시 슝 현 장가채(張家砦), 목장채(木場砦), 삼교채(三橋砦), 쌍유채(雙柳砦), 대와채(大渦砦), 칠고환채(七姑桓砦), 홍성채(紅城砦), 신환채(新桓砦)의 8개의 채가 있다.
용성현 容城縣 963년(건륭 4년)에 복구되었으나 치소는 귀신현과 복구하였다.

패주(霸州)[편집]

중급주로 방어를 두었다. 당나라가 유주 영청현에 익진관을 세웠다. 후주가 패주를 설치하고 막주의 문안현과 영주의 목성현을 내속시켰다. 정화 3년, 영청군이라는 군명을 붙였다. 숭녕연간에는 15,918호 21,516명이 살았다. 견직물(絹)을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치소는 랑팡 시 바저우 시에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문안현 文安縣 랑팡 시 원안 현 1035년(경우 2년)에 영청현을 통폐합했다. 유가와채(劉家渦砦), 조어채(刁魚砦), 막금구채(莫金口砦), 아옹채(阿翁砦), 안두채(雁頭砦), 여양채(黎陽砦), 희와채(喜渦砦), 녹각채(鹿角砦)의 8개채를 두었다. 원풍 4년, 녹각채를 신안군에 주었다. 정화 3년, 유가와채를 안평채(安平)로, 아옹채를 인효(仁孝)채, 안두채를 화령(和寧)채, 희와채를 희안(喜安)채로 개명했다.
대성현 大城縣 랑팡 시 다청 현

덕주(德州)[편집]

상급주로 군명은 평원군이다. 군사(軍事)를 두었다. 송나라초에 귀화현을 폐했다. 1035년, 안층현을 장릉현에 통폐합시켰다. 그리고 영정군(永靜軍)에 이관시켰다. 1073년(희녕 6년)에 덕평현을 진으로 격하하여 안덕현에 통폐합했다. 숭녕연간에는 44,591호 82,025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안덕현 安德縣 더저우 시 링청 구
평원현 平原縣 더저우 시 핑위안 현

빈주(濱州)[편집]

상급주로 군사를 두었다. 대관 2년에 발해군이란 군명을 받았다. 1012년(대중상부 5년), 포태현(蒲台縣)을 폐지했다. 숭녕연간에는 49,991호 114,984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발해현 渤海縣 빈저우 시 빈성진(滨城镇)
초안현 招安縣 빈저우 시 잔화 구 고성진(古城镇) 경력 3년에 초안진을 현으로 승격시켰다. 희녕 6년에 진으로 다시격하하고 발해현에 이관시켰다. 원풍 2년에 현으로 복구했다.

은주(恩州)[편집]

하급주로 군명은 청하군이었다. 군사를 두었다. 당나라는 이곳에 패주(貝州)를 두었고 후진 영청군절도를 두었다. 후주에선 방어를 두었다. 송나라가 건국된 후 절도를 복구했다. 1048년(경력 8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주명을 바꿨다. 견직물과 흰담요(白毯)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청하현 淸河縣 싱타이 시 칭허 현 988년(단공 원년), 치소를 영녕진에 두었다. 순화 5년에 지금의 위치로 치소를 옮겼다. 희녕 4년에 청양현을 통폐합했다.
무성현 武城縣 더저우 시 우청 현
역정현 曆亭縣 더저우 시 우청 현 동북 지화 원년에 장남현을 통폐합했다.

영정군(永靜軍)[편집]

동하(同下)급주로 당나라에선 경주(景州)를 두었다. 981년, 군을 대명직할에 두었다. 순화 원년에 기주 부성현(阜城縣)을 내속했다. 경덕 원년, 군명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34,193호 39,022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동광현 東光縣 창저우 시 둥광 현
장릉현 將陵縣 더저우 시 치소를 장하진에 두었다.
부성현 阜城縣 헝수이 시 푸청 현 1063년(가우 8년), 진으로 격하해 동광현에 통폐합시켰다가 희녕10년에 현으로 복구했다.

청주(淸州)[편집]

하급주로 본래 군명은 1113년에 지어진 건녕군(乾寧軍)이었다. 유주 노태군(蘆台軍)의 땅이었으나 석경당거란에 연운16주를 할양할 때 같이 거란에 이속되었다. 후주가 이곳을 수복하고 3개의 관을 설치하면서 영안현(永安縣)을 설치하여 창주에 소속시켰다. 태평흥국 7년 군을 설치하고 현을 건녕현으로 개명시켰다. 대관 2년, 주로 승격시켰다. 숭녕연간에는 6,619호 12,078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조대채(釣台)、독류북채(獨流北)、독류동채(獨流東)、부성채(當城)、사와채(沙渦)、백만채(百萬)의 6개채가 있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건녕현 建寧縣 바오딩 시 칭 현 1073년(희녕 6년)에 진으로 격하시켰다. 원부 2년에 복구했다. 숭녕 3년에 폐했다가 정화 5년에 재복구했다.

신안군(信安軍)[편집]

동하급주로 981년, 패주의 어구채(淤口砦)에 파로군(破虜軍)을 두었다. 경덕 2년에 신안군을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715호 1,437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081년(원풍 4년)에 패주에서 내속된 녹각채를 비롯하여 주하채(周河), 조어채, 전가채(田家), 낭성채(狼城), 불성와채(佛城渦), 이상채(李詳)의 7개채를 두었다. 지금의 바저우 시 신안진에 치소를 두었다.

보정군(保定軍)[편집]

동하급주로 981년에 탁주 신진(新鎭)에 평융군(平戎軍)을 설치했다. 경덕 원년에 보정군으로 군명을 고쳤다. 경우 원년에 패주 문안현과 대성현의 2개현의 500호를 본군에 내속시켰다. 1125년(선화 7년)에 보정군을 현으로 격하시켜 막주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현사에게 군사의 업무를 추가시켰다. 숭녕연간에는 1,029호 2,484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깁직물(絁)을 공납으로 바쳤다. 2개의 채를 도화채(桃花)와 부모채(父母) 2개의 채를 두었다. 이중 부모채는 1113년(정화 3년)에 안녕채(安寧)로 개명되었다. 지금의 바저우 시 서남쪽에 치소를 두었다.

[편집]

하간부[편집]

금나라는 대명부에 대명부로를 신설했기 때문에 하북동로의 중심지를 하간부로 옮겼다. 1129년(금 태종 천회 7년) 총관부가 신설되었고 해릉양왕말년인 정륭연간에 차부(次府)가 더해졌으며 영주(瀛州)가 설치되었다. 영해군절도사(瀛海軍節度使)가 총관을 겸임했고 동시에 전운사(轉運司)가 파견되었다가 후에 총관부가 복구되었다. 꿰메지 않은 면, 소금, 골풀로 만든 돗자리, 마린화(馬藺花), 향부자, 전하해(錢蝦蟹), 말린 물고기가 생산되었고 31,691호 2현 3진을 관할했다.

현명 한자 속진 비고
하간의 河間倚 속성진(束城鎭), 영녕진(永寗鎭), 북림진(北林鎭)
숙녕현 肅寧縣

여주(蠡州)[편집]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정강의 변직후에는 송나라가 설치한 영녕군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1129년 영주(寧州) 박야군(博野郡), 박야군(博野軍)을 설치했다. 1151년(해릉양왕 천덕 3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29,997호 1현 1진을 관할했다.

현명 한자 속진 비고
박야의 博野倚 신교진(新橋鎭) 사하(沙河), 당하(唐河)가 있다.

막주[편집]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1214년(금 선종 정우 2년) 막정현(莫亭縣)으로 격하되었다. 22,933호 1현 1진을 거느렸다.

현명 한자 속진 비고
임구현 任丘縣 장풍진(長豐鎭)

헌주(獻州)[편집]

하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담당했다. 1129년 악수현이 수주(壽州)로 분리되었다가 1151년 헌주로 개명되었다. 50,632호 2현 10진을 관할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속진 비고
악수의 樂壽倚 도해하(徒駭河), 방연(房淵), 한나라 헌왕 유덕(劉德)의 묘가 있다.
교하현 交河縣 창저우 시 보터우시 교하진 경성진(景城鎭), 남대수진(南大樹鎭), 유해진(劉解鎭), 괴가진(槐家鎭), 참군진(參軍鎭), 관하진(貫河鎭), 북망진(北望鎭), 래탄진(夾灘鎭), 책하진(策河鎭), 사와진(沙渦鎭)

기주[편집]

심주[편집]

상급주로 자사가 민정을 맡았다. 요양군(饒陽郡)방어(防禦)를 반영하여 금나라초에 군(郡)으로 분리(刺)했다. 56,340호 5현 1진을 거느렸다.

현명 한자 속진 비고
정안의 靜安倚 하박진(下博鎭) 형장수(衡漳水), 대륙택(大陸澤)이 있다.
속록현 束鹿縣 수운으로 있는 물자창고가 있었다. 형장수, 호타하(滹沱河)가 흐른다.
무강현 武强縣 형장수, 무강천(武强泉)이 있다.
요양현 饒陽縣 호타하가 흐른다.
안평현 安平縣 사수(沙水), 호타하가 흐른다.

청주[편집]

중급주로 금나라초에는 송나라 건녕군을 그대로 설치했으나 1129년 방어를 파견했다. 47,875호 3현 1진을 관할했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회천현 會川縣 창저우 시 칭 현 1153년(해릉양왕 정원 원년) 송나라 건녕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수운창고와 범교진(範橋鎭)이 있었다.
흥제현 興濟縣 창저우 시 창 현 흥제진 1166년(금 세종 대정 6년)본로로 내속되었다.
정해현 靜海縣 톈진시 징하이 구 1193년(금 장종 명창 4년) 청주 와자구(窩子口)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창주[편집]

상급주로 송대와 같이 매해군절도가 파견되었다. 104,774호 5현 11진을 거느렸다.

현명 한자 속진 비고
청지현 淸池縣 장로진(長蘆鎭), 요안진(饒安鎭), 건부진(乾符鎭), 곽탄진(郭疃鎭), 곽교진(郭橋鎭)이 있었으나 장로진을 제외하면 모두 폐지되었다. 부양수(浮陽水), 도해하가 흐른다.
무태현 無棣縣 분수진(分水鎭) 노오산(老烏山), 격진하(鬲津河)가 있다.
염산현 鹽山縣 해풍진(海豐鎭), 해윤진(海潤鎭), 후에 증설된 이풍진(利豐鎭), 박두진(撲頭鎭) 염산(鹽山), 부수(浮水)가 있다.
남피현 南皮縣 마명진(馬明鎭) 대대산(大臺山), 소대산(小臺山), 영제거(永濟渠), 결하(潔河)가 있다.
낙릉현 樂陵縣 회녕하진(會寧河鎭), 영리진(永利鎭), 동중진(東中鎭)이 있었으나 모두 폐지되었다. 격진하, 독마하(篤馬河), 구반하(鉤盤河)가 있다.

경주(景州)[편집]

상급주로 자사가 파견되었다. 금나라초 영정군을 경주로 승격시켰고 1154년 본로로 내속되었다. 대안연간에 관주(觀州)로 개명되었다가 금 장종의 묘호로 인한 피휘문제로 경주로 개명했다. 65,828호 6현 4진을 관할했다.

현명 한자 속진 비고
동광의 東光倚 건교진(建橋鎭) 영제거, 장하가 흐른다. 수운창고가 있었다.
부성현 阜城縣 형수, 장수하가 흘렀다.
장릉현 將陵縣 수운창고가 있었다. 영제거, 구반하가 있었다.
오교현 吳橋縣 영제거가 있다.
수현 蓚縣 장하, 수시(蓚市)가 있다.
영진현 寧津縣 서보안진(西保安鎭), 광평진(廣平鎭), 회진진(會津鎭)

각주[편집]

  1. 《송사》 권86 지리지 2 하북로-동 [1]
  2. 《금사》 권25 지리지 中 하북동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