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볼 매니저

풋볼 매니저(Football Manager)는 스포츠 인터렉티브에서 개발하고 세가에서 유통한 축구 게임으로 약자로 FM이라고도 한다.
목차
개요[편집]
현실의 축구 경기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게임으로서, 실제 축구선수들과 스카우터들의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높은 현실성과 자유도 때문에 이른바‘FM 폐인’라는 매니아 층이 존재하며, 유럽에서 이혼제조기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중독성이 강하다. 문자 중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바둑판 형식이나 풋볼 2009에서 추가된 3D 시점을 통해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문자중계는 5단계로, 하이라이트는 15단계로 구분돼 있으며 현실과 똑같은 날짜 체계를 갖추었다.(그 달이 지나면 곧바로 다음 달로 이어지고 12월이 지나면 다음 해 1월로 넘어가는 방식) 많은 전술 (기본은 4-4-2로, 5-3-2는 공격형, 카운터, 수비형이 있고, 스위퍼 전술도 있다.)이 있어 자기가 원하는 축구 대형을 전술로 쓰면 된다. GK는 골키퍼, DC, DR, DL은 수비수 (DC는 중앙 수비수, DL은 왼쪽 수비수, DR은 오른쪽 수비수), FC는 공격수, SW는 스위퍼, WBR은 라이트 윙백, WBL은 레프트 윙백, AMR, AML, AMC는 공격형 미드필더(AMR 오른쪽 AMC 중앙 AML 왼쪽), DMC는 수비형 미드필더, MC,MR,ML은 미드필더 등등 많은 선수 기호가 있다. 휴가를 갔다가 돌아오면 언제까지나 밤 12시에 시작한다. FIFA 월드컵 등에서는 좋은 성적을 올리지 못하면 해고되는 경우도 있다.
선택할 수 없는 팀[편집]
일본은 게임 제작사와 라이선스 계약이 되어 있지 않아 선택할 수 없고, J리그의 팀 역시 일본의 코나미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이 되어 있으므로 선택할 수 없다. 때문에 J리그는 Nihon-League라는 이름으로 바뀌어서 나오며 구단 이름도 바뀌어서 다른 가상의 구단인 것처럼 나온다. 다만, 풋볼 매니저 2010 버전부터는 이전에 없던 국가 리그를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J리그 팀들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경기 점수 체계[편집]
오프사이드이거나 파울이면 득점이 인정되지 않고 득점이 많으면 ‘오늘 ----는 ----를 상대로 손쉽게 --골 차의 승리를 거두었다.’라고 평가를 받는다.
잘못된 명칭[편집]
FM 시리즈의 한국어판에는 일부의 오역/오타가 존재한다.
국가 명칭[편집]
가이아나는 가이니아라고 표기되었다.
쿡 제도는 쿠크 군도라고 표기되었다.
에리트레아는 에리트리아라고 표기되었다.
페로 제도는 파로 군도라고 표기되었다.
벨라루스는 벨로루시라고 표기되었다.
프랑스령 기아나는 프랑스령 기니라고 표기되었다.
레위니옹은 리유니온이라고 표기되었다.
조지아는 그루지야라고 표기되었다. 이 이름은 2010년까지 사용되다가 조지아 정부의 요청으로 바뀌었다.
대회 명칭[편집]
FM시리즈의 한국어판에는 옛 대회 명칭을 사용하는 예가 존재한다.
- CAF 컨페더레이션컵은 과거 아프리카 컵 위너스 컵이라고 표기된 적이 있다. 이 대회 이름은 1975년부터 2003년까지만 사용되고 이후 CAF컵과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 FA 커뮤니티 실드는 잉글랜드 채리티 쉴드라고 표기되었다. 이 명칭은 1908년부터 2001년까지만 사용되었다.
- UEFA 유로파리그는 UEFA컵이라고 표기된다(운영 방식은 UEFA 유로파리그와 동일하다). 이 명칭은 1971년부터 2008-2009시즌까지만 사용되었다.
구단 명칭[편집]
게임 내의 구단 명칭은 외래어 표기법의 규정과 다를 수 있다.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2군은 프랑크루프트 II라고 표기되었다.
상주 상무 피닉스는 광주 상무 불사조라고 표기되었다. 상무팀은 2010년 12월 20일에 광주에서 상주로 이전되었다. 광주 상무 불사조는 현재 광주 FC로 K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이외 오역 및 오타 또한 일부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한다.
승강제[편집]
대한민국의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간에 승강제가 철저하게 실시되어 있다.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승자 (우승 팀)가 K-리그 클래식으로 올라가고 K-리그의 꼴찌 팀 (광주 상무 불사조 제외)은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된다. 때문에 1개의 도시 (서울특별시, 수원시)에서 2개의 클럽 팀이 대결하는 더비가 생기기도 한다.
- FM 2010 부터 K리그에 강원 FC가 올라오면서 승강제는 폐지되었다. 다만, 데이터 에디터에서 승강제를 수정할 수 있다.
싱가포르의 S-리그는 2시즌 이상이 지나야 처음으로 승강제가 실시된다.
리그[편집]
2010년 버전에서는 이전에 없던 나라의 리그를 새롭게 만들거나 이전에 있던 나라의 하위 리그를 추가할 수 있다. 때문에 리그에 알래스카 주나 몬태나 주, 와이오밍 주 등 축구 오지의 팀들을 넣을 수 있다. 또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팀의 승점을 감점시키는 것까지 가능하다.
국가대표[편집]
- 2006 버전에서는 북마리아나 제도가 추가되었다.
- 2010 버전에서는 잔지바르와 투발루가 추가되었다.
- 2013 버전에서는 키리바시와 남수단이 추가되었다.
- 2014 버전에서는 지브롤터가 추가되었다.
세부 대회 생성 실패[편집]
- 풋볼 매니저 2008 시리즈가 만들어질 무렵, SI는 약한 국가들도 참가할 수 있게 대륙별로 세부 대회를 만들고자 하였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으며, 따라서
키리바시,
투발루,
팔라우,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나우루 등의 국가대표팀 추가도 취소되었다.
- 풋볼 매니저 2011 시리즈에는 이전에 없던 대륙별 클럽 대회를 새롭게 창조해 낼 수 있다.
관전 가능한 대회들[편집]
- FIFA 클럽 월드컵 (게임 속에서만 가상으로 출전하는 클럽들이 많이 있다.)
- FIFA 월드컵 (게임 속에서만 가상으로 출전하는 국가 (예: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도미니카 공화국, 부르키나파소, 인도, 카타르, 시에라리온, 바베이도스 등)들이 많이 있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월드컵과 동일하게 가상출전국이 많다.)
- AFC 아시안컵 (월드컵처럼 가상출전국이 많다.)
- CONCACAF 골드컵 (월드컵이나 아시안컵처럼 가상출전국이 많다.)
- OFC 네이션스컵 (출전국은 실제와 동일하나 가상으로 본선에 진출하는 국가들도 많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월드컵처럼 가상출전국이 많다.)
- 각 대륙의 챔피언스리그, 챔피언스 컵, 컵 (AFC, CAF, CONCACAF, OFC, UEFA-CONCACAF 챔피언스 리그와 챔피언스 컵이 2009년부터 분리되었다가 2010년에는 챔피언스 리그로 통일)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코파 수다메리카나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수페르리가
- 각국의 1부 리그, 2부 리그, 3부 리그, 4부 리그 (프리미어 리그, 슈퍼 리그) (아래의 플레이 가능한 리그 참고)
- 풋볼 콘퍼런스
- FIFA U-20 월드컵 (북미, 아시아, 아프리카 예선 1,2차-아시아 예선 1,2차는 2009 버전에, 아프리카 예선은 2013 버전에 추가)
- 월드컵 예선
- 대륙 대회 예선 (북중미 제외 - 카리브해 예선은 2010년 버전에, 다른 지역은 2013년 버전에 추가)
- 청소년 대회
- 올스타전
- 친선 경기
- 청소년 경기 (만21세 이하)
- 청소년 경기 (만20세 이하)
- 청소년 경기 (만19세 이하)
- 올림픽 축구
- 캐나다 챔피언십 (2009년 버전에 추가)
게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풋볼 매니저 - 공식 웹사이트
풋볼 매니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