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개구리과
![]() | ||
---|---|---|
![]() Heterixalus alboguttatus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양서강 | |
목: | 개구리목 | |
아목: | 신와아목 | |
과: | 풀개구리과 (Hyperoliidae) | |
속 | ||
|
풀개구리과(Hyperoliidae)는 개구리목에 속하는 양서류과의 하나이다. 17속 216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대부분이 서식하며[1], 단일종의 가드너세이셸 개구리속(Tachycnemis)은 세이셸 제도, 10종을 포함하는 헤테릭살루스속(Heterixalus)은 마다가스카르섬에서 발견된다.
하위 속[편집]
- Acanthixalus Laurent, 1944 - 2종
- Afrixalus Laurent, 1944 - 31종
- Alexteroon Perret, 1988 - 3종
- Arlequinus Perret, 1988 - 1종
- Callixalus Laurent, 1950 - 1종
- Chrysobatrachus Laurent, 1951 - 1종
- Cryptothylax Laurent and Combaz, 1950 - 2종
- Heterixalus Laurent, 1944 - 11종
- Hyperolius Rapp, 1842 - 137종
- Kassina Girard, 1853 - 16종
- Kassinula Laurent, 1940 - 1종
- Morerella Rödel, Kosuch, Grafe, Boistel, and Veith, 2009 - 1종
- Opisthothylax Perret, 1966 - 1종
- Paracassina Peracca, 1907 - 2종
- Phlyctimantis Laurent and Combaz, 1950 - 4종
- Semnodactylus Hoffman, 1939 - 1종
- Tachycnemis Fitzinger, 1843 - 1종
계통 분류[편집]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3]
신와아목 |
| ||||||||||||||||||||||||||||||||||||||||||||||||||||||||||||||||||||||||||||||||||||||||||||||||||||||||||||||||||||||||||||||||||||||||||||||||||||||
각주[편집]
- ↑ Shiotz, 1999
- ↑ 2012. UC Regents, Berkeley, CA.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AmphibiaWeb》.
- ↑ Barej; 외.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Frontiers in Zoology 2014, 11:8》.
- Schiotz, A. 1999. Treefrogs of Africa. Edition Chimaira, Frankfurt, ISBN 3-930612-24-0
- Burton, R.; Burton, M. (2002). “Reed frogs” (PDF).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3판. Marshall Cavendish. 2146–2147쪽. ISBN 978-0-7614-7266-7. 2012년 2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