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카르포스

폴리카르포스 혹은 폴리캅(그리스어: Πολύκαρπος, Polýkarpos, 69 ~ 155년) (폴리카르포나 폴리카르푸스라고도 부른다)은 초대 그리스도교 신학자이다. 사도 요한의 제자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공경하며, 축일은 두 교파 모두 동일한 2월 23일이다.[1] 이름의 의미는 그리스어로 '많은 열매'이다.
생애[편집]
폴리카르포스의 생애에 대하여는 '폴리카르포스의 순교', '이단 반박', '플로리누스에게 보내는 서신', '이그나티우스의 서신', '빌립보에 보내는 서신'을 참고할 수 있다.[2] 사도 요한을 위시하여 예수님을 직접 본 제자들과 많은 접촉을 통해서 정통 초대교회의 신앙의 가르침을 받은 인물이다. 사도 시대와 그 이후를 잇는 뛰어난 저술가로,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에 중요한 인물이다.
직책과 성향[편집]
폴리카르포스는 1~2세기 교회의 감독 중에 로마 감독 클레멘트와 안디옥 감독 이그나티우스와 함께 3명의 위대한 감독으로 불린다.[3] 폴리카르포스의 설교를 들으면서 자라난 이레니우스에 의하면 폴리카르포스는 이단인 발렌티누스주의(Valentinianism)와 마르키온주의(Marcionism)와 다른 이단에 격렬히 반대하였고, 초대교회 진리에 대하여 열성적으로 증거했다고 한다.[4] 대부분의 사도들이 죽고난 이후에 활동했다. 그의 주된 역할은 사도 요한과 연락을 주고 받으며, 참된 진리를 전파하는 역할이었다.[5]
아니케터스 방문과 1차 파스카 논쟁[편집]
A.D. 155년 폴리카르포스는 로마 교회를 방문한다. 이레니우스에 의하면, 폴리카르포스는 로마 교회 감독인 아니케터스를 방문하였다. 방문 당시 아시아의 교회와 로마를 위시한 서방 교회의 차이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두 감독은 특정 부분은 빠른 의견 일치를 했다. 하지만, 파스카 관련해서는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하였다. 아시아의 교회들은 예수님과 사도들의 가르침대로 니산월 14일에 유월절을 지키고 있고, 서방 교회들은 관습적으로 춘분 후 만월 뒤에 오는 일요일에 부활절을 지키는 것에 대하여 의견을 좁히지 못하였다.[6]
이레니우스는 나중에 이 일을 서신에 이렇게 기록하였다.
“아니케투스가 로마교회의 감독으로 있을 때, 폴리카르포스가 로마를 방문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해 의견의 차이가 있었으나 곧 서로 화해했으며, 이 주제로 서로 논쟁하지도 않았습니다. 아니케투스는 폴리카르포스에게 그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권면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폴리카르포스는 주의 제자 요한, 그리고 그와 교제한 나머지 사도들과 함께 그것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 폴리카르포스도 아니케투스에게 그 관습을 지키라고 권면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아니케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폴리카르포스의 순교[편집]
아니케터스 방문 이후 서머나로 돌아온 그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로 인해 체포되었다. 이교도의 신에게 제사 드리기를 거부하여 화형을 언도 받았다. '폴리카르포스의 순교'에서 폴리카르포스의 순교에 대하여 이렇게 기록하였다:[7]
"86년간 하나님을 섬겼다.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것도 틀린 것을 주신 일이 없다. 그런데, 어떻게 내가 하나님이자 나의 구원자를 모독할 수 있단 말인가? 당신은 일순간 나를 태울 불로 나를 위협하고 있다. 나는 곧 타 없어지겠지. 하지만, 당신은 악인들을 위해 영원히 타는 지옥불에 대하여 모르는구나"
— 폴리카르포스의 순교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http://mobile.catholic.or.kr/web/saint/s_basic.asp?conn_gubun=&saintid=2832
- ↑ “Polycarp” (영어). 2020년 3월 2일.
- ↑ “Polycarp” (영어). 2020년 3월 2일.
- ↑ 이레니우스. 《이단 반박 III.3.4》.
- ↑ “Henry Wace: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20년 3월 7일에 확인함.
- ↑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Polycarp》.
- ↑ Fr. Paolo O. Pirlo, SHMI (1997). 《St. Polycarp》.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pp. 58–59.쪽. ISBN 971-9159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