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도로

로드 롤러를 이용하여 표면이 재구성되고 있는 도로
포장도로(鋪裝道路) 또는 도로포장(road surface 또는 road pavement)은 도로의 표면을 돌, 벽돌,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으로 다진 것을 말한다. 도로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행해지며, 여기서 포장은 차도의 포장을 주로한다. 그 사용 재료는 주로 콘크리트, 아스팔트이다.
포장 재료에 의한 분류[편집]
- 토사도(earthen road)
- 쇄석도(macadam road)
-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도(cement concrete pavement)
- 자갈도(gravel road)
- 블럭포장도(block pavement)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asphalt concrete pavement)
줄눈 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 분류[편집]
- 무근 콘크리트 포장(JCP : Jointed Concrete Pavement)
- 철근 콘크리트 포장(JRCP : Jointe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 연속 철근콘크리트 포장(CRCP : Contin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PCP :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아스팔트 포장[편집]
아스팔트 콘크리트(또는 아스콘) 포장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다음의 장점을 가진다.
- 보수 용이
- 포장 완료 즉시(아스콘의 상온 안정화후) 교통개방 가능
- 주행성 좋음
도로개설공사[편집]
도로개설공사의 마무리 단계인 도로포장(road pavement)은 주요한 몇몇 작업으로 완성되는 전단계인 노반의 보조기층 위에 조성되는 작업 공정이다. 도로개설공사는 주요한 토목공사의 한 예이다. 한편 도로의 개설(신설)에는 도로지반 및 주변의 성상(토양의 성질,경사 완만도,지물 및 지장물 등) 뿐만아니라 도로의 목적에 맞는 차량의 하중과 속도,회전반경등 다양한 설계조건이 토목공학적으로 다루어진다.
작업공정은 일반적으로 노반의 보조기층면위에 보조기층 및 지장물과 도로높이(G.L.)를 실측한후 설계된 치수를 확인하고 이어서 지반과 포장면 사이의 접착력 및 안착등을 위해 유제를 살포한다. 이후 포장층(도로포장겉층)을 이루는 아스콘(도로포장재)을 살포기로 포설후 각종 롤러(도로다짐기계)등을 사용하여 수회 다짐하게 된다. 도로포장기계(道路鋪裝機械)들인 이들 장비들은 도로를 포장하는 데 쓰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아스팔트 도로포장 기계, 콘크리트 포장 기계, 도로 다짐 기계 따위가 있다.[1]
참고 문헌[편집]
- ↑ [참고](건설기술정보시스템-도로건설공사기준-기준유형,2+1 차로 도로 설계지침, 2010 국토교통부)https://www.codil.or.kr/viewDtlMoctRoadGuide.do?pMetaCode=CIKCLS121063&scCode=MT1&pageIndex=1&sType=RefTypeAll
- 이승언 (2013). 〈9〉. 《살아있는 토목시공학》 2판. 구미서관. ISBN 89-8225-438-2.
- 박영태 (2019). 《토목기사 실기》. 세진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포장도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도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