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
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 | ||||
---|---|---|---|---|
Província Ultramarina de Cabo Verde | ||||
| ||||
국가 | 애국가 (1808년 ~ 1834년) 헌장 찬가 (1834년 ~ 1910년) 포르투갈의 국가 (1910년 ~ 1975년) | |||
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의 위치 | ||||
수도 | 프라이아 | |||
정치 | ||||
정치체제 | 식민지 | |||
역사 | ||||
제국주의 | ||||
• 수립 | 1462년 | |||
• 협상된 탈식민화 | 1975년 7월 5일 | |||
인문 | ||||
공용어 | 포르투갈어 | |||
경제 | ||||
통화 | 카보베르데 이스쿠두 (CV) |
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포르투갈어: Província Ultramarina de Cabo Verde)는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로, 1462년 카보베르데 제도에 처음 정착한 이후 1975년 카보베르데가 독립할 때까지 존재했다.
역사
[편집]15세기
[편집]카보베르데는 1444년 엔히크 항해왕자 (주앙 1세의 아들)와 안토니우 뇨리가 엔히크의 친척인 아폰수 5세를 섬기면서 발견했다. 가장 큰 산티아구섬을 포함한 남동부의 섬들은 1460년 안토니우 데 뇨리와 디오구 고메스에 의해 발견되었다. 남아있는 북서쪽의 상니콜라우섬, 상비센트섬, 산투안탕섬들은 1461년 또는 1462년 디오구 아폰수에 의해 발견되었다.[1] 포르투갈인이 도착하기 전에 카보베르데에 사람이 정착했다는 증거는 없다.[1]
20세기
[편집]20세기 초부터 민델로 항은 대서양 횡단 항해의 중요성을 상실했다. 석탄에서 선박 연료로 석유로 전환, 다카르와 카나리아 제도와 같은 경쟁 항구의 부상, 항만 인프라 투자 부족 등이 그 원인이었다.[2] 대체로 건조한 기후 때문에 카보베르데는 158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 가뭄과 관련된 일련의 기근에 시달렸다. 카보베르데의 역대 최악의 기근은 1941~43년과 1947~48년에 두 차례 발생하여 약 4만 5천 명이 사망했다.[3] 예를 들어 포르투갈령 상투메 프린시페의 코코아 농장에서 계약 노동력을 받는 등 수천 명의 섬 주민이 이주했다.[4]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을 앞두고 그리고 전쟁을 계획하고 싸우는 사람들은 종종 기니비사우 해방의 목표를 카보베르데 해방의 목표와 연결시켰다. 예를 들어, 1956년 아밀카르와 루이스 카브랄은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PAIGC)을 설립했다. 그러나 카보베르데에는 무력 충돌이 없었고, 결국 1974년 4월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과의 협상으로 카보베르데의 독립이 이루어졌다.[5] 1974년 8월, 포르투갈 정부와 PAIGC 사이에 알제에서 기니비사우의 독립과 카보베르데의 독립권을 인정하는 협정이 체결되었다.[6] 1975년 7월 5일, 프라이아에서 포르투갈의 총리 바스코 곤살베스가 국회의장 아빌리오 두아르테에게 권력을 이양했고, 카보베르데는 독립했다.
카보베르데 섬 주민들은 더 높은 교육 수준을 가졌고 종종 포르투갈 영토의 낮은 수준의 행정 직책에 임명되었다. 이로써 그들은 리스본에 대한 충성심의 명성을 얻었다.[7]
각주
[편집]- ↑ 가 나 Valor simbólico do centro histórico da Praia, Lourenço Conceição Gomes, Universidade Portucalense, 2008
- ↑ Génese e desenvolvimento da cidade do Mindelo: a preservação de uma identidade, Fred Yanick Fonseca Delgado, 2016, p. 76-80
- ↑ Brooks, George E. (2006). “Cabo Verde: Gulag of the South Atlantic: Racism, Fishing Prohibitions, and Famines”. 《History in Africa》 33: 101–135. doi:10.1353/hia.2006.0008. hdl:2022/3269. S2CID 162287310.
- ↑ Keese, Alexander (2012). “Managing the Prospect of Famine. Cape Verdean Officials, Subsistence Emergencies, and the Change of Elite Attitudes During Portugal's Late Colonial Phase, 1939-1961” (PDF). 《Itinerario》. XXXVI (1): 49–69. doi:10.1017/S0165115312000368. S2CID 59064950.
- ↑ António Costa Pinto, "The transition to democracy and Portugal's decolonization", in Stewart Lloyd-Jones and António Costa Pinto (eds., 2003). The Last Empire: Thirty Years of Portuguese Decolonization (Intellect Books, ISBN 978-1-84150-109-3) pp. 22–24.
- ↑ Acordo entre o governo Português e o Partido Africano da Independência da Guiné e Cabo Verde, Centro de Documentação 25 de Abril
- ↑ Alexander Keese, "The role of Cape Verdeans in war mobilization and war prevention in Portugal's African empire, 1955-1965." International journal of African historical studies 40.3 (2007): 497-511 online.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