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평택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평택시의 행정 구역은 4읍 5면 16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탄출장소와 안중출장소를 두고 있다. 평택시의 면적은 458.12 km2[1]이고, 인구는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3만7307명, 24만3838 가구[2]이다.

평택시는 크게 다음 3개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3][4]

권역 위치 읍·면·동 비고
남부(남평택·팽성) 남부 1읍·8동 팽성읍, 신평동, 원평동, 통복동, 비전1동, 비전2동, 용이동, 동삭동, 세교동
북부(송탄·고덕) 북부 3면·8동 진위면, 서탄면, 고덕면, 고덕동,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송탄출장소 관할
서부(안중·청북) 서부 3읍·2면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오성면, 현덕면 안중출장소 관할

행정구역 목록

[편집]
평택시의 행정 지도
읍·면·동 한자 법정리·동 면적 인구
남평택·팽성권 100 255,664
팽성읍 彭城邑 객사리(客舍里), 남산리(南山里), 추팔리(秋八里), 노와리(老瓦里), 평궁리(坪宮里), 신궁리(新宮里), 두리(頭里), 신호리(新虎里), 근내리(近乃里), 석봉리(石峰里), 원정리(院井里), 도두리(棹頭里), 함정리(咸井里), 신대리(新垈里), 본정리(本井里), 노양리(老陽里), 노성리(老成里), 두정리(斗井里), 석근리(石斤里), 대사리(大沙里), 안정리(安亭里), 동창리(東倉里), 내리(內里), 대추리(大秋里), 송화리(松花里) 56.52 27,696
신평동 新平洞 평택동(平澤洞), 유천동(柳川洞), 합정동(蛤井洞) 6.45 22,779
원평동 原平洞 평택동(平澤洞), 통복동(通伏洞), 군문동(軍門洞), 신대동(新垈洞) 5.02 10,686
통복동 通伏洞 통복동(通伏洞) 0.36 4,087
비전1동 碑前1洞 비전동(碑前洞), 동삭동(東朔洞), 죽백동(竹栢洞), 청룡동(靑龍洞), 월곡동(月谷洞) 15.48 85,171
비전2동 碑前2洞 비전동(碑前洞), 소사동(素沙洞) 6.97 53,769
용이동 龍耳洞 용이동(龍耳洞) 2.64 25,034
동삭동 東朔洞 칠원동(七院洞), 동삭동(東朔洞) 15.48 85,171
세교동 細橋洞 동삭동(東朔洞), 신대동(新垈洞), 세교동(細橋洞), 지제동(芝制洞) 7.98 26,442
송탄·고덕권 138.9 175,232
진위면 振威面 봉남리(鳳南里), 마산리(馬山里), 은산리(銀山里), 동천리(東泉里), 고현리(高峴里), 청호리(淸湖里), 갈곶리(葛串里), 야막리(野幕里), 가곡리(佳谷里), 견산리(見山里), 하북리(下北里), 신리(新里) 34.03 11,401
서탄면 西炭面 금암리(金岩里), 사리(寺里), 수월암리(水月岩里), 내천리(奈川里), 마두리(馬頭里), 회화리(檜花里), 적봉리(赤峰里), 장등리(長登里), 금각리(金角里), 황구지리(黃口池里) 28.66 3,683
고덕면 古德面 당현리(堂峴里), 두릉리(杜陵里), 문곡리(文谷里), 동청리(東淸里), 해창리(海倉里), 궁리(宮里), 동고리(東古里), 방축리(防築里), 여염리(余染里), 좌교리(坐橋里) - -
고덕동 古德洞 고덕동(古德洞) - -
중앙동 中央洞 서정동(西井洞), 이충동(二忠洞), 장당동(獐堂洞) 8.16 43,954
서정동 西井洞 서정동(西井洞) 2.55 25,454
송탄동 松炭洞 모곡동(茅谷洞), 칠괴동(七槐洞), 가재동(佳才洞), 장안동(長安洞), 칠원동(七院洞), 도일동(道日洞) 20.33 19,859
지산동 芝山洞 지산동(芝山洞) 0.66 12,571
송북동 松北洞 지산동(芝山洞), 독곡동(獨谷洞) 7.17 22,042
신장1동 新場1洞 신장동(新場洞) 1.59 7,446
신장2동 新場2洞 0.69 5,770
안중·청북권 219.3 106,411
안중읍 安仲邑 안중리(安仲里), 학현리(鶴峴里), 금곡리(金谷里), 대반리(大盤里), 삼정리(三井里), 용성리(龍城里), 덕우리(德佑里), 성해리(城海里), 송담리(松潭里), 현화리(玄華里) 28.47 43,668
포승읍 浦升邑 내기리(內基里), 도곡리(道谷里), 원정리(遠井里), 만호리(晩湖里), 희곡리(希谷里), 신영리(新榮里), 방림리(芳林里), 석정리(石井里), 홍원리(洪原里) 60.46 24,010
청북읍 靑北面 현곡리(玄谷里), 삼계리(三溪里), 고잔리(高棧里), 옥길리(玉吉里), 후사리(後寺里), 토진리(土津里), 백봉리(栢峰里), 어연리(魚淵里), 율북리(栗北里), 한산리(閑山里), 어소리(魚沼里), 고렴리(古念里) 52.47 26,705
오성면 梧城面 숙성리(宿城里), 교포리(橋浦里), 신리(新里), 안화리(安化里), 양교리(梁橋里), 죽리(竹里), 길음리(吉音里), 당거리(堂巨里), 창내리(倉內里) 32.38 6,717
현덕면 玄德面 도대리(道垈里), 운정리(雲井里), 화양리(華陽里), 황산리(黃山里), 인광리(仁光里), 덕목리(德睦里), 신왕리(新旺里), 대안리(大安里), 기산리(岐山里), 권관리(權管里), 장수리(長水里), 방축리(防築里) 45.88 5,311

* 인구는 2020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역사

[편집]
  • 1914년 4월 1일 : 경기도 진위군(현재의 평택시 도심과 진위면·서탄면·고덕면 중 당현리, 두릉리, 문곡리, 동청리를 제외한 지역)과 수원군의 서남부(현재의 안중읍·포승읍·청북읍·오성면·현덕면·고덕면 중 당현리, 두릉리, 문곡리, 동청리 지역), 충청남도 평택군(현재의 팽성읍 지역)이 경기도 진위군으로 통합하였다. (11면)[5]
  • 1926년 : 진위군청을 북면에서 병남면으로 이전하였다.
  • 1931년 4월 1일 : 병남면을 평택면(平澤面)으로 개칭하였다.
  • 1934년 4월 1일 : 부용면과 서면을 팽성면(彭城面)으로 합면하였다. (10면)
  • 1938년 10월 1일 : 진위군을 평택군으로 개칭했다.[6] 평택면이 평택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9면)[7]
  • 1948년 8월 1일 : 북면을 진위면으로 개칭하였다.
  • 1963년 1월 1일 : 송탄면이 송탄읍으로 승격하였다. (2읍 8면)[8]
  • 1979년 5월 1일 : 팽성면이 팽성읍으로 승격하였다. (3읍 7면)[9]
  • 1981년 7월 1일 :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하여 평택군에서 분리되었다. (송탄시: 8동, 평택군: 2읍 7면)[10]
법률 제3425호: 광명시 등 시 설치와 군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개편 전 (평택군 송탄읍) 개편 후 (송탄시)
행정구역 법정구역
서정리 일부, 이충리, 장당리 중앙동(中央洞) 서정동 일부, 이충동, 장당동
서정리 일부 서정동(西井洞) 서정동 일부
모곡리, 칠괴리, 가재리, 장안리 동부동(東部洞) 모곡동, 칠괴동, 가재동, 장안동
칠원리, 도일리 도원동(道院洞) 칠원동, 도일동
지산리 일부 지산동(芝山洞) 지산동 일부
지산리 일부, 독곡리 송북동(松北洞) 지산동 일부, 독곡동
신장리 신장1동(新場1洞) 신장동
신장2동(新場2洞)
  • 1983년 2월 15일 : 안성군 원곡면, 공도읍 각 일부가 평택읍으로 편입되었다.[11]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안성군) 신 행정구역 (평택군)
원곡면 용이리·죽백리·청용리·월곡리 평택읍 일부
공도면 소사리
군조례 제1220호
군조례 제1220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오성면 안중리, 학현리, 금곡리, 대반리, 삼정리 안중면 일원
청북면 용성리, 덕우리
포승면 석정리 일부(→성해리)
현덕면 인광리 일부, 화양리 일부(→송담리, 현화리)
대통령령 제14629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대통령령 제14629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평택군 진위면 갈곶리, 고현리, 청호리 평택군 진위면 갈곶리, 고현리, 청호리
오산시 갈곶동, 고현동, 청호동
  • 1995년 5월 10일 : 송탄시 · 평택시 · 평택군이 도농복합시인 평택시로 통합되었다. (1읍 8면 14동)[15]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행정동) 신 행정구역
평택군 팽성읍, 진위면, 서탄면, 고덕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오성면, 안중면 평택시 일원
송탄시 중앙동, 서정동, 동부동, 도원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평택시 신평동, 원평동, 통복동, 비전1동, 비전2동, 세교동
  • 1996년 4월 19일 : 행정동 동부동이 송탄동으로 개칭되었다.[16]
  • 1998년 10월 1일 : 송탄출장소 관할인 도원동이 송탄동에 합동되었다.[17](1읍 8면 13동)
  • 2002년 11월 5일 : 안중면이 안중읍으로 승격되었다.[18](2읍 7면 13동)
  • 2006년 12월 29일 : 포승면이 포승읍으로 승격되었다.[19](3읍 6면 13동)
  • 2016년 7월 28일 : 청북면이 청북읍으로 승격되었다.(4읍 5면 13동)
  • 2019년 9월 30일: 비전2동에서 용이동을 분동하였다.(4읍 5면 14동)
  • 2021년 10월 25일: 비전1동에서 동삭동을 분동하였다.(4읍 5면 15동)
  • 2021년 11월 15일: 고덕면 여염리 일부, 율포리, 좌교리 일부, 해창리 일부가 고덕동으로 전환되었다.(4읍 5면 16동)

각주

[편집]
  1. 기본현황 - 행정구역 평택시홈페이지, 2016년 5월 15일 확인.
  2.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1년 1월 10일 확인.
  3. 2020년 평택시 개발 청사진 확정 평택시민신문, 2008.1.16.
  4. 평택시사-평택시의 기본현황 보관됨 2016-08-16 - 웨이백 머신.
  5. 조선총독부령 제111호(1913년 12월 29일)
  6. 조선총독부령 제196호(1938년 9월 27일)
  7. 조선총독부령 제197호(1938년 9월 27일)
  8. 법률 제1177호 읍 설치에 관한 법률(1962년 11월 21일)
  9.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 등 53개 읍 설치에 관한 규정(1979년 4월 7일)
  10. 법률 제3425호 광명시 등 시 설치와 군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1981년 4월 13일)
  11.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1조 제12항
  12.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13. 군조례 제1220호 (1989년 3월 31일)
  14. 대통령령 제14629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5년 4월 20일)
  15.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 5월 10일)
  16. 시조례 제197호 (1996년 4월 19일)
  17. 시조례 제353호 (1998년 10월 1일)
  18. 시조례 제585호 (2002년 11월 5일)
  19. 시조례 제814호 (2006년 12월 29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