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맥스소프트
![]() Tmaxsoft | |
산업 분야 | 소프트웨어 |
---|---|
창립 | 1997년 |
창립자 | CEO 박대연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45 |
핵심 인물 | 박대연 |
제품 | 티맥스, 제우스, 티베로, 프로프레임, 오픈프레임 등 |
자본금 | 64억원 |
매출액 | 700억원 (2012년)
1,024억 537만원 (2017년) |
영업이익 | 255억원 (2012년) |
순이익 | 224억원 (2012년) |
주요 주주 | 박대연 |
종업원 | 500명 이상
2010년 2,100명에서 600명으로 워크아웃.연구원700명 |
웹사이트 | 티맥스소프트 |
티맥스소프트는 박대연 전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창업한 소프트웨어 회사이다.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가 있다. 1997년 설립 당시에는 미들웨어 전문기업이었으나, 현재 다양한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회사로 성장하였다. 현재 관계회사로 DBMS인 티베로를 생산하는 티맥스데이터와 운영체제를 생산하는 티맥스오에스가 있다. 2017년 현재 삼성전자, 신한은행 등에 제우스를 공급하여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이 43.7%이며 2위인 오라클(28.4%)을 누르고 국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임금이 체불되고 노동 시간이 길어서 이직한 노동자들이 있다. 박대연 회장의 설명에 따르면 노동 강도가 너무 세서 이혼 당할 뻔한 노동자가 있었다고 한다.[1]
연혁[편집]
1997년 세계 두 번째로 대한민국 최초 표준 TP모니터 제품 티맥스(Tmax)를 개발하고, 2000년에는 제우스(JEUS), 웹투비(WebtoB)를 출시했다. 2001년 J2EE 1.2 인증 (미국 썬마이크로시스템즈 - 제우스 3.0)을 받았고, 이듬해에 J2EE 1.3인증 (미국 썬마이크로시스템즈 - 제우스 4.0)를 받는다. 스카이메일(SkyMail)과 시스키퍼(SysKeeper) EAM를 출시했다.
2003년에 애니링크(AnyLink)와 티베로(Tibero)를 출시했으며, 세계 최초 J2EE 1.4 인증(미국 썬마이크로시스템즈)을 받았다. 분당 서현동에 R&D 센터 오픈했다. 2004년 오픈프레임(OpenFrame), 제우스 5.0, 비즈마스터(BizMaster), 시스마스터(SysMaster), 시스키퍼(SysKeeper) OS를 출시했다. 2005년 프로프레임(ProFrame) 출시하고 가트너 EAS 매직쿼더런트(2Q’05)를 편입했다. 2006년 세계 최초로 Java EE 5 인증 (미국 썬마이크로시스템즈 - 제우스 6.0)을 받았으며, 이어 2013년 제우스 8로 Java EE 7 인증을 세계 최초로 받았다. 2009년 11월 26일에는 티베로(Tibero) 4.0 GS 인증을 획득했다.
2001년 ㈜티맥스소프트로 일본 법인을, 이듬해에는 미국 법인을 설립했다. 2003, 2004, 2008년도에 대한민국 WAS시장에서 1위(IDC코리아)를 기록했다.
과거 운영 체제를 생산하는 티맥스코어를 두었으나, 티맥스 윈도 개발과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인하여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2010년 6월 17일 티맥스코어를 삼성SDS에 매각하였다. 이어서 6월 28일 채권금융기관에 기업개선작업을 신청하고, 11월에 경영정상화계획 이행 약정서 체결했다.[2] 2010년 7월 1일 워크아웃을 신청한 뒤 2012년 기업개선작업이 완료되었다.[3]
제품[편집]
티맥스소프트의 제품군은 크게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미들웨어, 시스템 매니지먼트, 데이터베이스, 리호스팅 분야의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애니링크, 프로버스
-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프로프레임, 프로룰, 프로팩토리
- 미들웨어: 제우스, 웹투비, 티맥스, 인피니캐시
- 시스템 매니지먼트: 시스마스터
- 리호스팅: 오픈프레임
- 데이터베이스: 티베로 데이터베이스, 티베로 프로싱크, 티베로 인피니데이터
DBMS개발중
재무정보[편집]
티맥스소프트의 재무는 다음과 같다.[4]
2017년 매출 천억 돌파연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매출 | 253억원 | 387억원 | 635억원 | 852억원 | 1021억원 | 802억원 | 594억원 | 604억원 | 700억원 |
영업이익 | 51억원 | 80억원 | 103억원 | 80억원 | 14억원 | -313억원 | -82억원 | 250억원 | 255억원 |
순이익 | 26억원 | 55억원 | 78억원 | 88억원 | 53억원 | -677억원 | -383억원 | 237억원 | 224억원 |
각주[편집]
- ↑ “떠났던 연구원들이 티맥스에 돌아왔다…왜?”. 2018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김철현 기자 (2010년 11월 3일). “티맥스소프트, '경영 정상화 계획' 통한 재도약 시동”. 아시아경제.
- ↑ “티맥스소프트, 워크아웃 조기 졸업”. 블로터닷넷.
-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