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MBC 뉴스투데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그림 설명 =
|그림 설명 =
|장르 = [[뉴스]]
|장르 = [[뉴스]]
|방송 시간 = 매주 [[평일]] 오전 6:00 ~ 7:50<br />매주 [[토요일]] 오전 6:00 ~ 7:10
|방송 시간 = 매주 [[평일]] 오전 7:00 ~ 7:50<br />매주 [[토요일]] 오전 7:00 ~ 7:40
|방송 분량 = [[평일]] : 110분, [[토요일]] : 70분
|방송 분량 = [[평일]] : 50분, [[토요일]] : 40분
|방송 기간 = [[2002년]] [[4월 1일]] ~ '''현재'''
|방송 기간 = [[2002년]] [[4월 1일]] ~ '''현재'''
|방송 횟수 =
|방송 횟수 =
27번째 줄: 27번째 줄:
|작가 =
|작가 =
|구성 =
|구성 =
|출연자 = 앵커 : [[박재훈]], [[김소영 (아나운서)|김소영]], [[김나진]], [[박연경]]
|출연자 = 앵커 : [[강성일]], [[민예솔 (아나운서)|민예솔]], [[이민철]], [[박수정]]
|해설 =
|해설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텔레비전|디지털]])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텔레비전|디지털]])
44번째 줄: 44번째 줄:
|등급 =
|등급 =
}}
}}
《'''MBC 뉴스투데이'''》는 매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6시에 방송되는 [[문화방송의 뉴스 프로그램]]이다.
《'''MBC 뉴스투데이'''》는 매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7시에 방송되는 [[문화방송의 뉴스 프로그램]]이다.


== 기획 의도 / 개요 ==
== 기획 의도 / 개요 ==
240번째 줄: 240번째 줄:


==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
==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
지역 방송국에서 평일에는 7시 20분경부터, 토요일에는 6시 50분경부터 다음의 지역 뉴스를 방송한다.
지역 방송국에서 평일에는 7시경부터, 토요일에는 7시경부터 다음의 지역 뉴스를 방송한다.
* 강원 (춘천,원주,강원영동), 충북 (청주,충주), 안동, 포항, 부산, 울산, 제주는 금요일까지 방송한다.
* 강원 (춘천,원주,강원영동), 충북 (청주,충주), 안동, 포항, 부산, 울산, 제주는 금요일까지 방송한다.
* 강원 (춘천,원주,강원영동), 충북 (청주,충주), 여수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본사의 클로징멘트를 방송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마친다.
* 강원 (춘천,원주,강원영동), 충북 (청주,충주), 여수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본사의 클로징멘트를 방송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마친다.

2016년 6월 25일 (토) 21:54 판

MBC 뉴스투데이
MBC NEWS TODAY
장르 뉴스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TV
방송 기간 2002년 4월 1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평일 오전 7:00 ~ 7:50
매주 토요일 오전 7:00 ~ 7:40
방송 분량 평일 : 50분, 토요일 : 40분
기획 문화방송
제작 문화방송
출연자 앵커 : 강성일, 민예솔, 이민철, 박수정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외부 링크  MBC 뉴스투데이 홈페이지

MBC 뉴스투데이》는 매주 월요일 ~ 토요일 오전 7시에 방송되는 문화방송의 뉴스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 / 개요

문화방송의 대표적인 아침 뉴스 프로그램이다.

구성

앵커

평일

| class="col-break col-break-2" |

토요일

역대 앵커

방송개시

  • 본래 MBC 뉴스투데이라는 타이틀의 아침 뉴스 프로그램은 2002년 4월 1일부터의 현행 프로그램 외에도, 1995년 4월 17일 봄 개편부터 1996년 10월 19일 가을 개편까지 손석희, 최율미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아서 방송한 적이 있었다.
  • 방송 중간중간에 앵커의 측면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며 아날로그(시침/분침) 형식의 시계가 나타나는 CG 영상이 나타났다. 영상과 동시에 실로폰음과 '00시 00분입니다.'라는 고지 멘트가 같이 나왔었다.
  • MBC 뉴스투데이는 2000년 10월 30일부터 방송하던 MBC 아침뉴스에서 타이틀만 변경하여 2002년 4월 1일부터 프로그램명을 MBC 뉴스투데이로 바꾸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아침뉴스에서 뉴스투데이로 프로그램명만 바뀌었기 때문에, 진행자와 오프닝 시그널은 전혀 변동이 없었으며, 앵커가 몇번 바뀌었다. 2004년 4월 5일부터는 아침뉴스 시절부터 사용하던 뉴스 시그널까지 바뀌어 오프닝은 2012년 6월 23일까지, 엔딩은 2012년 7월 2일까지 8년 3개월 동안 시그널을 유지했다. 그 후 사장조 시그널을 2012년 6월 25일부터 일주일간 오프닝에 사용하다가(지역 방송국에서는 사용 중), 마장조 서양식 시그널을 2012년 7월 3일부터 2014년 8월 26일까지 2년 1개월 동안 오프닝과 2부 엔딩(1부 엔딩은 라단조 시그널 사용)에 함께 사용되었으며 이 곡은 현재 2부 엔딩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그널은 마장조 동양식으로 리메이크한 시그널로 2014년 8월 27일부터 사용하고 있으며 이 곡은 현재 오프닝에 사용되고 있다. 엔딩 시그널은 변경되지 않았다.

타이틀 변천사

현재 타이틀은 2002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한다.

기수 타이틀 방송 기간
1기 MBC 뉴스쇼 1981년 ~ 1984년
2기 여기는 MBC 1984년 ~ 1991년 4월 20일
3기 MBC 뉴스와이드 1991년 4월 22일 ~ 1995년 4월 15일
4기 MBC 뉴스투데이 1995년 4월 17일 ~ 1996년 10월 19일
5기 MBC 뉴스 굿모닝코리아 1996년 10월 21일 ~ 1999년 4월 23일
6기 MBC 아침뉴스 2000 1999년 4월 26일 ~ 2000년 4월 29일
7기 피자의 아침 2000년 5월 1일 ~ 2000년 10월 28일
8기 MBC 아침뉴스 2000년 10월 30일 ~ 2002년 3월 30일
9기 MBC 뉴스투데이 2002년 4월 1일 ~ 현재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지역 방송국에서 평일에는 7시경부터, 토요일에는 7시경부터 다음의 지역 뉴스를 방송한다.

  • 강원 (춘천,원주,강원영동), 충북 (청주,충주), 안동, 포항, 부산, 울산, 제주는 금요일까지 방송한다.
  • 강원 (춘천,원주,강원영동), 충북 (청주,충주), 여수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본사의 클로징멘트를 방송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마친다.
  • 각 지역별 뉴스투데이 예고 자막은 평일엔 《MBC 라이브러리》, 토요일엔 《MBC 네트워크 특선》 방송 중 내보낸다.
방송국 프로그램 타이틀 평일 토요일
대구MBC MBC 뉴스투데이 대구 경북 서상국, 김혜숙 무작위
포항MBC 포항MBC 뉴스투데이 김가영 본사 수중계
안동MBC 안동MBC 뉴스투데이 김경환 본사 수중계
부산MBC MBC 뉴스투데이 부산 김진웅, 이지희 본사 수중계
MBC경남 MBC 뉴스투데이 경남 김진철, 김지윤 무작위
울산MBC MBC 뉴스투데이 울산 김연경 본사 수중계
춘천MBC
원주MBC
MBC강원영동
MBC 뉴스투데이 강원 (수화방송) 박윤미 본사 수중계
청주MBC
충주MBC
MBC 뉴스투데이 충북 이효진 본사 수중계
대전MBC MBC 뉴스투데이 대전 세종 충남 임세혁, 유지은 무작위
광주MBC MBC 뉴스투데이 광주 전남 김귀빈, 김영은 무작위
목포MBC MBC 뉴스투데이 목포·전남 이강호 무작위
여수MBC MBC 뉴스투데이 전남동부권 채솔이 권남기
제주MBC MBC 뉴스투데이 제주 윤상범 본사 수중계
전주MBC MBC 뉴스투데이 전북권 뉴스 이충훈, 김민지 무작위

방송 사고

  • 2007년 5월 12일 토요일 방송에서 뉴스투데이 방송 시작부터 김병헌 앵커가 주요뉴스를 소개하면서 말을 계속 더듬자, 이를 지켜보던 장미일 앵커가 억지로 웃음을 참지만, 계속 김병헌 앵커가 말을 더듬자 소리없이 웃다가 결국 장미일 앵커가 마지막 주요뉴스 소개에서 웃음보를 터트렸다. 직후 두 진행자 모두 몇초간 당황하다가, 결국 김병헌 앵커가 첫소식을 전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1] 이후 당일 뉴스진행이 모두 끝난 뒤 클로징 멘트에 장미일 앵커가 정식으로 사과멘트를 하였다. 한편 이 사건으로 장미일 앵커를 사이에 두고 네티즌들 간의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또한 이 사건은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중국의 포털사이트 등에서도 화제가 되었다.[2]
  • 2009년 4월 9일 목요일 방송에서는 편집이 덜된 보도화면을 내보내다 칼라바(화면 조정 영상)가 뜨자, 화면을 급히 스튜디오로 전환하는 방송사고가 발생했다. 이때 다음 꼭지를 전해야 되는 이정민 아나운서는 거울을 보며 화장 상태를 점검하고 있었는데, 화면이 급히 자신을 향해 전환되자 테이블에 그대로 거울을 놓고 다음 소식을 진행하였다.[3] 이후 이정민 아나운서는 다음 날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2009 방송분야 취업설명회'에 참석하여 방송사고와 관련해 '화면을 비추는 앵커가 수시로 외모를 점검하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일'이라고 해명하였다.[4]

경쟁 아침 종합 뉴스 프로그램

각주

바깥 고리

문화방송 오전 7시대 뉴스 프로그램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MBC 뉴스투데이
(2002년 4월 1일 ~ )
MBC 뉴스투데이
(2014년 5월 5일 ~ )
MBC TV·MY MBC DMB TV
이전 MBC 뉴스투데이 다음
생방송 시사투데이
특별기획 건강검진
아침드라마 좋은사람
경제매거진 M
오전 6시
오전 7시 오전 7시 50분
오전 7시 40분
MBC 표준FM
이전 MBC 뉴스투데이 (평일, 토요일 TV 수중계) 다음
건강한 아침 이진입니다 신동호의 시선집중 (주중)
라디오 매거진 톡 (토)
일요일에는 중계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