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빈 (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중립 필요|날짜=2009-9-25}}
{{중립 필요|날짜=2009-9-25}}
{{다른 사람|박성빈 (배우)||배우}}
{{공직자 정보
{{공직자 정보
| 이름 = 박성빈
| 이름 = 박성빈

2021년 5월 5일 (수) 22:03 판

박성빈
朴成彬
조선국 전설사 예하 정구품 효력부위
(朝鮮國 典設司 隸下 正九品 效力副尉)
임기 1890년 4월 30일 ~ 1893년 6월 15일
군주 조선 고종 이형

신상정보
출생일 1871년 6월 6일
출생지 조선 경상도 성주
사망일 1938년 9월 4일 (67살)
사망지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국적 대한제국
정당 무소속
본관 고령 (高靈)
부모 박영규 (부)
배우자 백남의
자녀 박동희 (장남)
박무희 (차남)
박상희 (삼남)
박귀희 (장녀)
박한희 (사남)
박재희 (차녀)
박정희 (오남)
친인척 조귀분 (장자부)
박영옥(손녀)
김종필 (손녀사위)
박재옥 (손녀)
한병기 (손녀사위)
박준홍 (손자)
윤경임 (손자며느리)
은희만 (외손자)
은지원 (외증손자)

박성빈(朴成彬, 1871년 6월 6일(음력 4월 19일) ~ 1938년 9월 4일)은 조선 후기의 무관으로 대한민국 대통령 박정희의 아버지이자 박근혜의 할아버지이며, 김종필, 한병기의 처조부이다. 몰락 양반가 출신으로, 한때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본관은 고령.

생애

생애 초반

박성빈은 박문수의 6대 방손인 박영규의 세 아들 중 장남으로 1871년 6월 6일(음력 4월 19일)에 태어났다. 박성빈의 7대 방조 박장원과 6대 방조 박문수소론의 거두였고, 박문수는 암행어사로 실적이 있어 유명하였다. 당색으로는 소론 계열이었지만 몰락하였고, 그의 직계 조상들은 이렇다할 관직에 나가지 못했다. 경북 성주군 사읍촌에서 태어난 그의 아버지 박영규까지는 4대는 독자였다. 몰락 양반가의 자손이었던 박성빈은 초기에 관직에 나가려고 하였다. 딸 박재희의 증언에 의하면 벼슬을 하려고 전답을 팔아서 서울에 자주 올라갔으며, 이때 가산을 많이 날렸다고 한다.[1] 최종 관직은 부사까지 올랐다고 하며, 박정희의 기억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 박성빈은 정9품 효력부위(効力副尉)를 지냈다.

동학 농민운동 참가

경상도 성주군 철산에서 살던 박성빈은 칠곡군 약목면 약목 수원 백씨문중 딸 백남의와 결혼하여 이주하였으며[2] 백남의에게서 6남 2녀를 두었고, 첫사내아이는 두살때 잃었고(제3공화국 1회 인간 박정희 上에서 나왔음)그 중 막내이자 다섯째 아들이 박정희이다.[3] 중종 때의 유학자 백인걸의 종증조부 백효연의 후손이었던 약목의 수원 백씨들은 부유했고, 박성빈과 그의 두 아들 동희, 무희는 훗날 처가, 외가 일족들의 소작농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박성빈은 조선조 말엽 척신 세도 정치와 부패 정치에 반발하고 환멸도 느껴 20대에는 동학농민운동에도 가담하였다. 그러나 체포되어 처형 직전에 천운으로 사면되어 구명을 하였다.[2][4] 딸 박재희의 증언에 의하면 체포된 동학 농민군 3백명 중 혼자서 살아 나왔는데, 달변에 능하였기 때문이다.[1] 한편 박정희와 동리 주민들 기억으로는 괄괄하고 호쾌한 성격이었다고 증언한다.[1] 박정희는 어머니 백남의가 이때 너희 아버지가 죽었더라면 너는 태어나지 못하였을 것이라고 했다고 후일 김종신, 이석제 등에게 수시로 언급하였다.

생애 후반

그 후 박성빈은 가세가 몰락하여 처가의 선산(先山)인 경북 선산군(善山) 상모동의 위토를 소작하기로 하고 처가의 양해를 얻어 구미 상모동으로 솔가하여 이사를 하게 되었다. 경제적으로는 무능력했던 탓에 5남 2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실질적인 가장 역할은 그의 아내 백남의의 몫이 되었다 한다.[5] 그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던 경력으로 후일 박정희는 동년배 또래들이 동학난이라 부르던 것을 동학농민혁명이라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6]

이에 대해 동학농민혁명 유족회는 2005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박성빈의 당시 행적을 면밀히 조사했다. 그에 따르면 박성빈은 청년시절 무과에 급제해 황해도 영변지역 부사(또는 함남 지역부사)로 발령받았으나 혼탁한 세상에 환멸을 느껴 관직을 포기하였다. 그리고, 성주에서 동학운동에 뛰어 들었으나 동학운동 탄압이 거세지면서 관군에 체포됐다가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뒤 칠곡과 구미 등에서 세상을 등지고 지낸 것으로 밝혔다.[7][8]

박성빈은 한때 장승원의 집을 출입하기도 했는데, 이 인연으로 그의 아들 박무희는 대지주이기도 했던 장승원의 농토를 소작하기도 했다.[9]

박성빈은 막내 박정희를 46살이라는 매우 늦은 나이에 봤으므로 박정희가 자식을 보는 것을 살아생전 보고 싶어한 탓에 무리하게 자신의 친구의 딸인 김호남과 강제로 결혼시켰다. 그러나 박정희는 김호남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광복 이후 이현란과 두 집 살림을 차렸으며 중령이던 한국전쟁 발발 시기에 김호남과 이혼하고 이현란이 박정희와의 사이가 틀어져 도망친 이후 육영수와 결혼했다.

사후

말년에 병으로 고생하던 박성빈은 막내아들이 장가가는 것을 보겠다고 아들 박정희를 친구의 딸인 김호남과 조혼 결혼을 시켰지만 아내가 마음에 들지 않던 박정희는 얼마 뒤 이혼한다. 아들 박정희가 대통령이 되면서 "부사 효력부위 박성빈지묘"라는 비석이 세워졌다.

가족

일화

  • 박성빈과 그의 둘째 아들 박무희장승원 집안의 소작농으로 일했다. 장택상은 박정희를 얕잡아보면서도 껄끄럽게 여겼고, 박정희 역시 장택상을 싫어하였다.
  • 박정희쪽 계보로 내려가면 아버지와 아들 간의 나이차가 굉장히 심해서 기본 40살 이상 차이 난다.
  • 박성빈과 박정희의 나이차: 46살
  • 박정희와 박지만의 나이차: 41살
  • 박지만과 박세현의 나이차: 47살
  • 박성빈의 셋째 아들 박상희공산주의자였던 탓에 박성빈의 후손들이 고생했으나 다섯째 아들 박정희가 대통령이 되면서 박성빈의 후손들이 정반대로 호강을 누리게 되었다.
  • 김일성의 할아버지인 김보현과 동일한 1871년 생 동갑내기이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