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4번째 줄: 44번째 줄:


--->
--->
* '''멸'''(滅)은 [[계 (불교)|계]](戒), [[율 (불교)|율]](律) 또는 [[율장]](律藏)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비나야]]({{llang|sa|[[:en:vinaya|<span style="color: black">vinaya</span>]]}}, 毘奈耶)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9%84%EB%82%98%EC%95%BC&rowno=15 鼻奈耶(비나야)]".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鼻奈耶(비나야):
* '''멸'''(滅)은 [[계 (불교)|계]](戒), [[율 (불교)|율]](律) 또는 [[율장]](律藏)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비나야]]({{llang|sa|[[:en:vinaya|<span style="color: black">vinaya</span>]]}}, 毘奈耶)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 비나야는 '''비니'''(毘尼)라고도 음역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9%84%EB%82%98%EC%95%BC&rowno=15 鼻奈耶(비나야)]".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鼻奈耶(비나야):
<br>[1] 【범】 vinaya 비나야(鼻那耶)ㆍ비니(毘尼)라고도 쓰며, 제복(制伏)ㆍ조복(調伏)ㆍ선치(善治)ㆍ멸(滅)ㆍ율(律)이라 번역. 부처님이 제자들을 위하여 마련한 계율의 총칭.
<br>[1] 【범】 vinaya 비나야(鼻那耶)ㆍ비니(毘尼)라고도 쓰며, 제복(制伏)ㆍ조복(調伏)ㆍ선치(善治)ㆍ멸(滅)ㆍ율(律)이라 번역. 부처님이 제자들을 위하여 마련한 계율의 총칭.
<br>[2] 10권. K-936, T-1464. 부진(符秦)시대에 축불념(竺佛念)이 378년 2월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계과인연경』ㆍ『계인연경』ㆍ『비나야경』ㆍ『비나야계인연경』ㆍ『비나야광율』ㆍ『비나야율』ㆍ『시인연경』이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광율 중에서 가장 최초에 한역한 것이다."}} [[비구]]{{.cw}}[[비구니]]가 [[계율]]에 의거하여 모든 [[악업]](惡業)을 '''조복'''(調伏: 제어하여 항복받음)하고 소멸시킨다는 뜻에서 [[계율]] 또는 [[율장]]을 멸이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694&DTITLE=%CFi%A9%60%ADC%C2%C3 毘奈耶藏]".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毘奈耶藏:
<br>[2] 10권. K-936, T-1464. 부진(符秦)시대에 축불념(竺佛念)이 378년 2월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계과인연경』ㆍ『계인연경』ㆍ『비나야경』ㆍ『비나야계인연경』ㆍ『비나야광율』ㆍ『비나야율』ㆍ『시인연경』이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광율 중에서 가장 최초에 한역한 것이다."}}{{sfn|고려대장경연구소|loc="[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View.do?popupYn=Y&dicId=2282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멸 滅:
<br>ⓟ
<br>ⓣ’dul ba
<br>ⓢvinaya
<br>ⓔforbidden rules
<br>1]율(律)의 같은말. 비나야의 번역. 비니(毘尼)라고 음역함."}} [[비구]]{{.cw}}[[비구니]]가 [[계율]]에 의거하여 모든 [[악업]](惡業)을 '''조복'''(調伏: 제어하여 항복받음)하고 소멸시킨다는 뜻에서 [[계율]] 또는 [[율장]]을 멸이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694&DTITLE=%CFi%A9%60%ADC%C2%C3 毘奈耶藏]".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毘奈耶藏:
 梵名 Vinaya-pitaka。三藏之一。又稱毘尼藏。意譯為律藏、調伏藏。調者,和御;伏者,制滅之義。亦即調和控御身語等作業以伏滅諸惡業。律藏乃佛滅度後,於王舍城遺法結集時,優婆離所誦出者,為大迦葉以下異世之五師所傳持。至阿育王時,五部產生差異,故後世所謂之小乘律,有別於梵網經、地持經等之大乘律。於漢譯大藏經有大乘律與小乘律之區別,開元釋教錄有大乘律二十五部、小乘律五十四部,縮刷藏經有大乘律三十部、小乘律七十一部。<br>
 梵名 Vinaya-pitaka。三藏之一。又稱毘尼藏。意譯為律藏、調伏藏。調者,和御;伏者,制滅之義。亦即調和控御身語等作業以伏滅諸惡業。律藏乃佛滅度後,於王舍城遺法結集時,優婆離所誦出者,為大迦葉以下異世之五師所傳持。至阿育王時,五部產生差異,故後世所謂之小乘律,有別於梵網經、地持經等之大乘律。於漢譯大藏經有大乘律與小乘律之區別,開元釋教錄有大乘律二十五部、小乘律五十四部,縮刷藏經有大乘律三十部、小乘律七十一部。<br>
 大乘律多散說於經論中,少有別輯成律儀專書者。北涼曇無讖所譯之菩薩地持經十卷收於開元釋教錄大乘律中,閱藏知津等則謂其書乃瑜伽師地論之抄譯,故將之置於大乘論中。另如南北本涅槃經卷十一、大智度論卷二十二、雜阿毘曇心論卷八等則屬散見於經論中之戒律。屬小乘律而於經論以外截然別立者,有曇無德部之四分律六十卷、大眾部之摩訶僧祇律四十卷、彌沙塞部之五分律三十卷、薩婆多部之十誦律六十一卷,及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五十卷、迦葉維部之鼻奈耶律十卷等。通行於錫蘭、緬甸等巴利語經典中之律藏屬上座部,有戒本、廣律、波利婆羅等三分,其中更將廣律分大品、小品二類。漢譯善見律毘婆沙十八卷,乃巴利語三藏之一,為戒律之注釋。又西藏密教所用薩婆多部之律,分成毘奈耶本事、戒本、律疏、比丘尼戒本、比丘尼律等七類。〔毘尼母經卷一、四分律卷五十七、十誦律卷六十〕"}}
 大乘律多散說於經論中,少有別輯成律儀專書者。北涼曇無讖所譯之菩薩地持經十卷收於開元釋教錄大乘律中,閱藏知津等則謂其書乃瑜伽師地論之抄譯,故將之置於大乘論中。另如南北本涅槃經卷十一、大智度論卷二十二、雜阿毘曇心論卷八等則屬散見於經論中之戒律。屬小乘律而於經論以外截然別立者,有曇無德部之四分律六十卷、大眾部之摩訶僧祇律四十卷、彌沙塞部之五分律三十卷、薩婆多部之十誦律六十一卷,及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五十卷、迦葉維部之鼻奈耶律十卷等。通行於錫蘭、緬甸等巴利語經典中之律藏屬上座部,有戒本、廣律、波利婆羅等三分,其中更將廣律分大品、小品二類。漢譯善見律毘婆沙十八卷,乃巴利語三藏之一,為戒律之注釋。又西藏密教所用薩婆多部之律,分成毘奈耶本事、戒本、律疏、比丘尼戒本、比丘尼律等七類。〔毘尼母經卷一、四分律卷五十七、十誦律卷六十〕"}}

2013년 2월 1일 (금) 09:19 판

(滅)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불이) 꺼지다, (불을) 끄다, 멸망하다, 없어지다, 죽다, 다하다'[1] 등인데, 불교 용어로서의 멸(滅)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2][3]

참고 문헌

주석

  1. "",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2월 1일에 확인.
    "滅: 1. (불이)꺼지다 2. 끄다 3. 멸하다(滅--) 4. 멸망하다(滅亡--) 5. 없어지다 6. 다하다 7. 빠지다 8. 빠뜨리다 9. 숨기다 10. 죽다 11. 잠기다 12. 열반"
  2. 星雲, "". 2013년 2월 1일에 확인.
  3. 운허, "滅(멸)". 2013년 2월 1일에 확인.
  4. 고려대장경연구소,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
  5. 고려대장경연구소,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
  6. 운허, "鼻奈耶(비나야)". 2013년 2월 1일에 확인.
  7. 고려대장경연구소,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
  8. 星雲, "毘奈耶藏". 2013년 2월 1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