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Rose (닥터 후)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표제어 변경[편집]

의견표제어를 한국 공식 번역명인 '로즈와의 만남'으로 바꾸었으면 합니다. 아무리 외화 드라마라고 해도 이미 정식 수입하여 번역명까지 있는 에피소드들을 하나하나 영어로만 적는 건 알아보기도 힘들고, 한국어로 쓰는 것보다 어색해 보이네요. 직역과 번역명도 다르고요. 가령 시즌 4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The Stolen Earth는 직역하면 '도둑맞은 지구'겠지만 공식 번역명은 '지구를 도난당한 날'입니다.[1] 엄연히 수입명이 있으니만큼 그것으로 바꾸었으면 합니다.--Reiro (토론) 2015년 4월 9일 (목) 12:54 (KST)[답변]
@Reiro: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반대합니다. 사실 저도 처음에는 번역명으로 생성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는데, 옛 시즌들 (1963년 ~ 1989년까지 방영된 시즌들, 닥터 후#역사 참고 바랍니다)은 1970년대 말 KBS에서 딱 네 에피소드만 방영된 것만 제외하면 전부 정식 수입된 적이 한번도 없기 때문에, 번역명이 없는 이 수많은 시즌들과 에피소드들까지 고려해서 영어명으로 그대로 유지한 겁니다. 'Spearhead from Space'처럼요. 알아보기가 힘들고 어색하다고 해서 한국어명으로 바꾸자는 것도 아닌 듯 하고요 (오히려 국내의 닥터 후 팬덤-영드갤이나 네이퍼 카페 등지-내에서는 영어명으로 쓰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더불어 드라마 개별 에피소드 제목은 수입명을 써야 한다는 총의는 아직 없으므로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0일 (금) 14:59 (KST)[답변]
@밥풀떼기:전 지금 수입된 것에 한정하여 말하고 있습니다. 예전 것이 어떻게 되었든 지금 것은 엄연히 공식 번역명이 있으며, 출처 상으론 그 쪽이 우선되어야겠지요. 님은 팬덤 이야기를 들어 영어 표기를 찬성하셨지만, 전 팬덤은 아닌 뜨내기 시청자였습니다. 영어버전 제목이 어쩐지는 당연히 모르고요. 가령 시즌 3의 세번째 에피소드를 저는 KBS 번역명대로 '출구 없는 고속도로'라 기억하지, 'Gridlock'이라는 듣도 보도 못한 제목으로 기억하지 않습니다. 당시 KBS로 시청한 다른 사람들 모두 마찬가지고요. 지금 에피소드 관련 정책 자체가 전무하니 정공법으로 나가자면, 백:제목 선택하기 (영어판)에서는 제목의 선정 기준을 '자연스러움(Naturalness)' '인식 가능성(Recognizability)'등의 기준을 엄연히 잡아놓고 있습니다. "알아보기가 힘들고 어색하다"는 건 역시 부적합하다는 이야기겠지요. KBS로만 시청한 일반인들에게도 마찬가지고요. 여기는 닥터후 팬덤만 오는 곳이 아님을 알아 주셨으면 합니다.--Reiro (토론) 2015년 4월 12일 (일) 01:08 (KST)[답변]
@Reiro: 수입된 것이든 아니든 닥터 후는 1963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드라마이기 때문에 그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뉴 시즌들만 한글명으로 표기, 올드 시즌들은 수입명 없으므로 영어명 표기한다면 통일되지가 않아 오히려 더 혼란스럽지 않을까 싶습니다. 언급하신 바와 같이 KBS판만 시청한 독자들을 위해 수입명을 넘겨주기하는 것은 찬성하지만 본 문서를 바꾸자는 것에는 반대합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3일 (월) 12:50 (KST)[답변]
더불어 이쪽은 좋은 글 선정과 관련된 토론이므로 표제어 변경과 관련해서는 토론:Rose (닥터 후)에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밥풀떼기" 2015년 4월 13일 (월) 12:50 (KST)[답변]
@밥풀떼기: 1960년대부터 방영되었기 때문에 공식 번역명을 쓸 수 없다는 논리대로라면 파워레인저 시리즈는 일본에서 1975년부터 방영된 전대물입니다. 요즘이야 정글포스미라클포스니 번역명을 쓰지만 이전에는 수입조차 되지 않았고, 그나마도 '후레시맨'으로 아예 이름이 바뀌어 들어온 것도 있습니다. 님 말대로면 파워레인저 엔진포스는 '염신전대 고온저' 등으로 원어 발음대로 표기해야 할 텐데, 이게 온당할까요? (특히 주 시청자, 즉 그 항목 들어올 사람들이 초등학생인 것을 감안하면 더더욱). 이전 시리즈야 어쩔 수 없다지만, 좋은 글 올라가겠다는 공식 번역명이 있는 것조차 원어대로 가져오면 다른 문서에도 영향을 미칠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실제로 님과 같은 정책을 고수하는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짱구는 못말려의 '훈이'를 '사토 마사오'로 표기하는 지경까지 이르렀죠. 다른 에피소드 프로젝트 (심슨 가족 등)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서라도, 번역명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합당합니다. 표제어 기준은 중요하니 여기서 확실하게 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요.--Reiro (토론) 2015년 4월 14일 (화) 03:54 (KST)[답변]
심슨 가족 예는 잘못 드신 것 같군요. MBC에서 시즌 1-5, EBS에서 시즌 2-14, 투니버스도 시즌 11서부터 지금까지 방영했는데 겹치는 부분이 상당 부분 있습니다. 어느 특정한 방송사의 방송분을 골라서 이 번역명이 맞다라고 하기엔 모순이 있지요. -- S.H.Yoon · 기여 · F.A. 2015년 4월 14일 (화) 11:52 (KST)[답변]
심슨 가족의 일부 에피소드는 그렇다 치더라도 닥터 후는 KBS 단 한 곳에서 방영했습니다. 저 번역명 그대로 들여와도 괜찮지요.--Reiro (토론) 2015년 4월 14일 (화) 12:33 (KST)[답변]
KBS에서만 방영한 것은 아닙니다. Fox채널도 옛날에 시즌 2까진가 방영한 적이 있었고, BBC Entertainment에서도 현재까지 방영되고 있습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4일 (화) 12:37 (KST)[답변]
BBC 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원어명을 그대로 직역한 제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2006년 크리스마스 스페셜을 방영할 당시 각각 <닥터 후:크리스마스 침공>과 <닥터 후: 런어웨이 브라이드>란 표제로 방영한 적이 있었습니다. ([2] [3]) --"밥풀떼기" 2015년 4월 14일 (화) 12:45 (KST)[답변]
@Reiro: 일부가 겹치니까 짱구는 못말려도 신짱구, 맹짱구 등으로 통일이 안되어서 노하라 신노스케라고 하는데, 겹치는 번역명이 상당수 있는 에피소드를 보유한 심슨 가족 역시 결국엔 원어명으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일부가 그렇다고 논의를 피할 생각은 하지 마시죠. -- S.H.Yoon · 기여 · F.A. 2015년 4월 14일 (화) 14:18 (KST)[답변]
(편집 충돌) 수입명을 우선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저도 찬성하나, 연속물일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르다고 봅니다. 첫 시즌부터 수입되어 들어온 것이 아닌 이상 수입명이든 원어명이든 둘 중 하나를 선택해 통일해야 하고, 모든 에피소드에 수입명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당연히 원어명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shyoon1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방송사끼리 수입명이 다를 경우에는 원어명을 우선해야 한다는 점도 그러하고요. 다만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수입명은 또 따로 넘겨주기 방식으로 처리해서 국내 시청자들을 배려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입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4일 (화) 12:35 (KST)[답변]
@밥풀떼기:파워레인저 역시 연속물이고, 각 에피소드마다 이름 붙은 경우 많습니다. 그것 역시 공식 번역명과 직역은 다르고요. 하다못해 70년대 나온 가면라이더는 최근 들어 아예 '니들이 현지화 잘 좀 해주라'해서 한국에선 한국화된 주인공 이름과 기술명을 공식으로 쓰고 있고요[4]. 즉, 번역명은 단지 시청자에 대한 편의만을 위한 게 아니라, 원작자로부터 공신력을 위임받은 명칭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방송 범위로 보나, BBC와 직접 계약을 맺었다는 정통성으로 보나 번역명은 KBS 것이 우선되어야 맞습니다. 보글보글 스폰지밥도 EBS 번역명인 네모네모 스펀지송을 갈아치우고 나온 걸 보면. 예전 것이야 원제 그대로 해도 괜찮겠지만, 이미 한국어 번역명이 있는 이상 (그리고 후비안이 아닌 사람들을 위한) 한국어 공식 번역명을 채택해야 한다고 봅니다. BBC의 공신력을 위임받은 명칭이니, 그걸 존중해야겠지요. 편의상 명분도 있고.--Reiro (토론) 2015년 4월 14일 (화) 13:02 (KST)[답변]
@Reiro: 위에서 말씀드렸지만 닥터 후의 경우 여러 채널에서 방영되면서 에피소드 수입명이 다르단 것이 문제입니다. Reiro님 말씀대로라면 BBC의 공신력을 위임받은 명칭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그렇게 되면 오히려 BBC 코리아가 운영하는 채널인 BBC 엔터테인먼트의 에피소드 방영명을 기준으로 잡아야겠지요. 더불어, 독자들에게 가장 편하도록 하자면 '닥터후 시즌1 1화'를 표제어로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밥풀떼기" 2015년 4월 14일 (화) 13:50 (KST)[답변]
@밥풀떼기: 방영권에다가, 그 번역명 에피소드 명칭으로 영상 판매할 권리까지 전적으로 위임받은 곳은 kbs입니다. 영향력으로 봐도 bbc 코리아보다 압도적으로 높고요. 그러니 인지도며 언론의 공신력을 따르자면 전자의 것이 적절하지요. 스펀지밥 예시로 두 개 이상의 방송사에서 방영되는 경우 처리법은 분명히 들어드렸는데요. 그리고 번역명은 편의성에다 위임받은 권한까지 있는 명칭이라 말했는데 무슨 편하게 하려면 1화 2화 표기하라는 말이 나옵니까. 허수아비 공격은 사양하겠습니다.--Reiro (토론) 2015년 4월 14일 (화) 15:00 (KST)[답변]
@Reiro: 처음부터 알아보기가 힘들다, 어색하다, 자연스러움이랑 인식 가능성 언급하면서 독자의 편의성을 중요시한 것은 Reiro님 아닙니까? 전 그와 관련해 말했을 뿐입니다. 한편으로 윗쪽에서 언급했듯 국내에서 닥터 후를 본 사람 중에는 KBS만이 아닌 BBC 엔터테인먼트, 폭스채널 같은 기타 채널들, 그리고 BBC 원판으로도 접한 사람도 있고, 그에 따라 그 사람이 알고 있는 에피소드 명도 서로 다르단 것을 유념해 주셨으면 합니다. 이에 따라, 영향력이 KBS가 높은지 BBC 엔터테인먼트 (즉 BBC)가 높은지는 논외로 치더라도, KBS가 모든 권리를 위임받았다고 해서 그대로 가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4일 (화) 16:03 (KST)[답변]

백:좋은 글 후보/Rose (닥터 후)에서 이어옵니다. 최종적으로 제 생각은, 닥터 후는 1963년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연속 드라마이다라는 사실을 고려해야 하고, 수입명이든 영어명이든 둘 중 하나로 통일해야 하며, 닥터 후의 경우 모든 에피소드가 수입명이 정해지지는 않고 있기에 영어명으로 통일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4일 (화) 16:09 (KST)[답변]

@밥풀떼기: 답변이 늦었습니다.
1."닥터 후는 1963년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연속 드라마이다라는 사실을 고려해야 하고"; 1975년부터 내려오던 파워레인저 시리즈도 요즘은 엔진포스등으로 씁니다. 한국에 들어오지 않은 '닌자전대'는 그대로 쓰고요. 역시 닥터후도 구작과 신작 차이를 두어 '구작은 영어명'/'신작은 번역명'이라 정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 '두 개 이상의 매체에서 번역한 경우' 양시론을 내세울 게 아니라, 더 영향력있는 쪽을 선택해야겠죠. BBC 코리아나 폭스 코리아와는 달리,KBS에서는 BBC로부터 번역 권한은 물론, 그 번역명으로 판매할 판권까지 직접 위임받았으므로 공신력은 이쪽이 더 강합니다. 이러한 예는 '네모네모 스펀지송(EBS)/스펀지밥 네모바지(닉툰)'처럼 많고요. 저 셋의 권위를 동등하게 봐서는 곤란합니다.
3. 또한 에피소드 드라마는 닥터 후만 있는 게 아닙니다. 엑스파일만 해도 94년부터 전량 수입해서 번역명 따로 해서 들여왔어요. 이쪽은 당연히 번역명이 훨씬 널리 알려진 곳이고요. 그런데 여기서 영어 그대로 에피소드 제목을 정하면, 그건 엑스파일 등 여러 드라마 문서에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그러면 엑스파일 시청자들은 자신이 잘 알지도 못하는 영어명을 써야 한다는 주장을 받게 될텐데, 그걸 받아들일 리 없겠죠. 그러면 크게 보아서, 에피소드 드라마 전체 표제어 정책의 일관성을 잃게 됩니다. 둘 다 수입되었는데 한 쪽은 영어명을, 다른 한 쪽은 번역명을 쓰는 식으로요.
4. 결론은 '구 시리즈 제목은 영어 그대로' /'신 시리즈 제목은 KBS 번역명으로' 일관성을 맞추자는 겁니다.--Reiro (토론) 2015년 4월 15일 (수) 21:10 (KST)[답변]
@Reiro:
1. 말씀은 공감하지만 영어명과 번역명이 동시에 존재한다면 둘 사이에 괴리감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문자가 다르기도 하고요. 논외긴 하나 이렇게 된다면 차라리 영어명 대신 그것의 직역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아 보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문제점이 생기는데, 아래에서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2. 폭스 채널은 그렇다 치더라도, KBS가 BBC 엔터테인먼트보다 더 영향력이 크다고 하기에는 좀 애매합니다. 물론 KBS가 BBC의 프로그램을 판매할 판권이나 기타 권리들을 부여받았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방영한 곳도 KBS인 것도 사실이며, 더빙판으로 방영해주는 유일한 곳이니 대표적인 닥터 후 방영사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BBC 엔터테인먼트는 애초에 BBC의 자회사이기 때문에 (물론 깊이 따지자면 별개의 회사이긴 하나 대충 그렇습니다) 역시 비슷한 권리를 부여받아 BBC의 프로그램들을 전 세계에 방영하고 있습니다. BBC 코리아도 이에 속해 국내에 방영해주는 것이고요. 또한 지난 닥터 후 시즌8 기념 방한행사도 역시 BBC 코리아에서 주최했다는 점, BBC 엔터테인먼트가 KBS보다 닥터 후의 방영을 더 빨리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BBC 엔터테인먼트 내지는 BBC 코리아도 역시 국내에서 영향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BBC 엔터테인먼트에서 정한 국내 번역명이 영향력이 아예 없다고 하기에도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방한 시에 BBC 엔터의 영향으로 시즌8 1화의 명칭인 'Deep Breath'가 KBS 번역명인 '숨을 멈춰라'보다는 '깊은 숨'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기사들도 이쪽을 더 언급했습니다. [5],[6]) 따라서, KBS가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어떤 부분에서 보면 지나친 것이라고 볼 수 있고, 특히 에피소드명의 경우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증거가 있기에 단정하기엔 무리라고 봅니다.
3.이쪽은 언급하셨듯 전체적인 드라마 에피소드 표제어의 총의에 관한 문제라서 생략하겠습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이 필요하기도 하고요.
4.결론적으로 저의 의견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 내에서는 번역명이 우선되고 있기도 하고 무엇보다 편하니 번역명으로 바꾸자는 것은 저도 이해를 합니다만, 바꿨을 경우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기에 어쩔 수 없이 반대하는 겁니다. 이 문제점들은 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7일 (금) 12:40 (KST)[답변]
번역명으로 바뀌게 된다면 두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1. 토론 처음 부분에서 제가 언급했었던 1970년대 KBS 닥터 후 더빙판에 관한 문제입니다. 당시 KBS는 3대 닥터의 시리즈인 시즌 7과 시즌8 중 일부 시리얼들을 더빙 방영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들어보자면 각 시리얼들의 제목을 '악마의 동굴(en:Doctor Who and the Silurians, 시즌 7 2번째 시리얼, 7개 에피소드를 5화로 편집 방영)', '인조인간의 비밀(en:Terror of the Autons, 시즌 8 1번째 시리얼)', '악령(en:The Mind of Evil, 시즌 8 2번째 시리얼)', '우주의 식민지(en:Colony In Space, 시즌 8 4번째 시리얼)'이란 명칭을 붙여 방영했다고 알려집니다. 이들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올드 시즌을 영어명으로 하자고 언급하셨는데, 그대로 영어명으로 놔둔다면 영어명들을 더빙판으로 바꾸자는 Reiro님의 의견과 상충됩니다. 반대로 이들도 수입명으로 하게 된다면, 앞서 1번에서 말씀드린 대로 앞뒤 에피소드명 간의 괴리감이 커지게 됩니다. 시즌 전체가 방영된 것이 아니니까요. --"밥풀떼기" 2015년 4월 17일 (금) 12:48 (KST)[답변]
2. 개인적으로 가장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KBS의 닥터 후 더빙판은 영국 BBC에서 원판이 방영되고 나서 바로 더빙되는 것이 아니라 몇개월에서 1년, 심하면 2년 (시즌4 스페셜이 그러했죠)까지 텀을 두고 방영됩니다. 그런데 KBS 더빙판 에피소드명을 기준으로 표제어를 정할 경우, 원판에서 새 시즌이 나왔다 하더라도 KBS 더빙판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만 합니다. 표제어이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영어명으로 우선 생성해 놓고 KBS판이 방영되면 그때 바꾸면 되지 않겠느냐고도 할 수 있겠는데, 이렇게 그때마다 일일이 표제어를 바꾸기보다는 차라리 영어명으로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무엇보다 수고가 덜하니 말입니다. --"밥풀떼기" 2015년 4월 17일 (금) 15:03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Rose (닥터 후)에서 8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18일 (수) 06:02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4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Rose (닥터 후)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4월 8일 (월) 11:2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Rose (닥터 후)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7월 23일 (화) 10:00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1년 6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Rose (닥터 후)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1년 6월 15일 (화) 05:05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3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Rose (닥터 후)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3월 11일 (금) 20:57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1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Rose (닥터 후)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11월 23일 (목) 07:4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