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올다발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8년 전 (Osteologia님) - 주제: 표기에 대하여

표기에 대하여[편집]

대한수학회 용어집에서는 다양한 (정말 다양한!) 표기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발 먼저 표기 (8개)
admissible bundle → 허용다발
tangent bundle → 접다발, 접속
tangent bundle to the hyperbolic space → 쌍곡공간의 접다발
cotangent bundle → 공변접다발
trivial fiber bundle → 자명한 올다발
determinant bundle → 행렬식다발
Hermitian vector bundle → 에르미트 벡터다발, 에르미트 벡터속
normal bundle → 법다발
속 먼저 표기 (16개)
bundle → 속, 다발
vector bundle → 벡터속
cotangent vector bundle → 여접벡터속
holomorphic vector bundle → 해석적 벡터속
homogeneous vector bundle → 동질벡터속
hyperplane bundle → 초곡면벡터속
null correlation bundle → 영상관벡터속
stable vector bundle → 안정벡터속
conjugate bundle → 켤레(벡터)속
bundle of lines → 선속, 선(의) 다발
hyperplane line bundle → 초곡면선속
canonical line bundle → 표준선속
bundle of planes →면속, 면(의) 다발
quotient bundle → 상속, 몫다발
reduced bundle → 기약속, 줄인 다발
sphere bundle → 구 속
번들 먼저 표기 (3개)
fiber bundle → 파이버번들, 올다발
real cotangent bundle → 실여접선번들
real tangent bundle → 실접선번들
꾸러미
tangent bundle to an elliptic space → 타원공간의 접꾸러미

정말 제각각입니다. 특히 "tangent bundle"에 대하여 접다발 · 접벡터속 · 접선번들 · 접꾸러미 4개의 서로 다른 표기를 혼용합니다 (!).

한국물리학회 용어집에서는

fiber bundle → 섬유 다발, 파이버 다발

로 수록돼 있는데, 이게 수학 용어에 대한 건지, 아니면 실제 섬유의 다발에 대한 건지 애매합니다.

현재 위키백과에서는 이를 모두 "다발"로 통일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영어 표기 "번들"(영어: bundle)이나 한자어 속(束)보다는 순우리말 "다발"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속"(束)을 사용하며,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간자체로는 "총"(叢, 丛), 정자체로는 "속"(束)으로 표기합니다. Osteologia (토론) 2015년 11월 11일 (수) 08:5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