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목뿔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턱목뿔근
앞에서 본 의 근육들. 턱목뿔근이 표시됨.
앞에서 본 목의 표면해부학. 턱목뿔근은 오른쪽에 위에서 두 번째에 표시됨.
정보
이는곳아래턱뼈턱목뿔근선
닿는곳목뿔뼈 몸통
동맥아래이틀동맥 턱목뿔근가지
얼굴동맥에서 나온 턱끝밑동맥
신경아래턱신경의 가지인 아래이틀신경에서 나온 턱목뿔근신경
작용구강 바닥을 들어올림
목뿔뼈를 올림
아래턱뼈를 내림
식별자
라틴어musculus mylohyoideus
영어mylohyoid muscle
TA98A04.2.03.006
TA22165
FMA46320

턱목뿔근(mylohyoid muscle, diaphragm oris), 또는 악설골근은 목에 위치한 한 쌍의 근육이다. 턱목뿔근은 아래턱뼈에서 목뿔뼈까지 이어져 구강의 바닥을 형성한다.[1] 턱끝밑삼각의 바닥을 형성한다. 삼키거나 말할 때 중요한 목뿔뼈를 들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구조[편집]

턱목뿔근은 평평하고 삼각형 모양이다. 턱두힘살근 앞힘살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발생 시 첫째 인두활에서 파생된 근육이며 목뿔뼈 위에 위치한 목의 근육인 목뿔위근육 중 하나로 분류된다. 한 쌍의 턱목뿔근은 함께 구강에서 근육으로 이루어진 바닥을 형성한다.[2]

두 개의 턱목뿔근은 아래턱뼈의 턱목뿔근선에서 일어나며, 이는곳은 아래턱뼈의 턱뼈결합에서 뒤쪽의 마지막 어금니까지 이어진다. 뒤쪽 근육 섬유는 아래안쪽으로 주행하여 목뿔뼈의 앞쪽 표면에 닿는다. 2개의 턱목뿔근의 안쪽 섬유는 정중선의 솔기(raphe, 두 근육이 서로 맞물리는 곳)에서 하나로 합쳐진다.[1]

턱목뿔근은 턱밑공간혀밑공간을 나누는 선이 된다. 턱밑공간은 턱목뿔근과 목뿔혀근 간의 가쪽에 빈 공간을 통해 교통한다.[3] 턱밑샘은 턱목뿔근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근육의 위와 아래에 있는 얕은 엽과 깊은 엽으로 나뉜다.[1]

신경 공급[편집]

턱목뿔근에는 아래턱신경의 가지인 아래이틀신경이 분포한다. 턱목뿔근에 운동 신경 섬유를 내어 분포하는 턱목뿔근신경은 아래이틀신경의 가지이다.[1]

발생[편집]

턱목뿔근은 배아중배엽, 특히 첫째 인두활에서 발생한다.

변이[편집]

턱목뿔근은 턱두힘살근의 앞힘살에 합쳐지거나 앞힘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다른 목뿔뼈 근처 근육으로의 보조 슬립(slip)이 자주 발생한다. 양쪽 힘살이 합쳐지는 중앙의 솔기는 때때로 존재하지 않으며, 이 경우 두 근육의 섬유가 연속적이다. 턱목뿔근의 변이 자ㅔ는 일반적이지 않다.[4] 일부 사람들에게는 붙는 곳, 신경 분포, 기능이 모두 같은 덧턱목뿔근(accessory mylohyoid muscle)이 나타났다.[4] 턱목뿔근은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혀밑샘이 이 두 부분 사이의 공간을 차지한다.[5]

혀밑샘, 혈관, 지방의 탈장이 턱목뿔근을 통해 존재할 수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10-50%의 사람들에서 이런 현상이 보고된다.[3]

기능[편집]

턱목뿔근은 목뿔뼈를 들어 올린다. 이 작용은 뭔가를 삼키거나 말할 때 특히 중요하다. 또는, 목뿔뼈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다른 근육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 턱목뿔근은 아래턱뼈를 내린다.[1] 구강의 바닥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1]

임상적 중요성[편집]

턱목뿔근은 CTMRI로 영상을 얻을 수 있다.[3] 턱목뿔근은 아래쪽의 턱밑공간을 위의 혀밑공간과 나눈다.턱목뿔근의 뒤쪽 경계 주변에서 이 두 공간은 서로 교통한다. 감염, 특히 치성 감염(치아 감염)은 이 두 공간 사이의 교통을 통해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퍼질 수 있으며, 감염 확산에 대한 약간의 장벽 역할을 하는 턱목뿔근을 대신 관통할 수도 있다. 턱목뿔근의 닿는곳인 아래턱뼈턱목뿔근선은 아래턱뼈의 뒤쪽으로 갈수록 더 위쪽에 있기 때문에, 뒤쪽 치아가 감염되면 턱밑공간으로 빠져나가기 쉽고, 앞쪽 치아 감염 시에는 혀밑공간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더 크다. 치아의 꼭대기는 턱목뿔근선 근처, 아래 또는 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역사[편집]

턱목뿔근은 'diaphragm oris'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6][7] 한편, 'mylohyoid'라는 이름은 어금니 근처에 두 개의 붙는 곳이 있어 붙여졌다. 'mylo'는 '어금니'라는 뜻의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추가 이미지[편집]

각주[편집]

  1. Drake, Vogl & Tibbitts 2005.
  2. Herring & Fehrenbach 2013.
  3. Otonari-Yamamoto, Mika; Nakajima, Koh; Tsuji, Yuriko; Otonari, Takamichi; Curtin, Hugh D.; Okano, Tomohiro; Sano, Tsukasa (2010). “Imaging of the Mylohyoid Muscle: Separation of Submandibular and Sublingual Spaces”.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94 (5): W431–8. doi:10.2214/AJR.09.3516. PMID 20410390. 
  4. Sehirli, Ü; Çavdar, S. (1996년 3월 1일). “An accessory mylohyoid muscle”. 《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 (영어) 18 (1): 57–59. doi:10.1007/BF03207764. ISSN 1279-8517. PMID 8685814. 
  5. Malpas, P. (October 1926). “Anomalies of the Mylohyoid Muscle”. 《Journal of Anatomy61 (Pt 1): 64–67. ISSN 0021-8782. PMC 1249927. PMID 17104127. 
  6. “Diaphragma oris - definition - Encyclo”. 《www.encyclo.co.uk》. 2021년 2월 15일에 확인함. 
  7. Team, Almaany. “Translation and Meaning of diaphragma oris musculus mylohyoideus In Arabic, English Arabic Dictionary of terms Page 1”. 《www.almaany.com》 (영어). 2021년 2월 15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 Drake, Richard L.; Vogl, Wayne; Tibbitts, Adam W.M. Mitchell (2005). 《Gray's anatomy for students》. Philadelphia: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ISBN 978-0-443-06612-2. 
  • Herring, Margaret J.; Fehrenbach, Susan W. (2013).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4판. St. Louis, MO: Elsevier/Saunders. ISBN 978-1-4377-2419-6. 
  •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393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