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사우델로르 (2015년)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15년 11월 12일) |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 | ||
---|---|---|
대형의 맹렬한 태풍 (JMA) ![]() | ||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 ||
![]() 태풍 사우델로르 (8월 4일) | ||
발생일 | 2015년 7월 30일 | |
소멸일 | 2015년 8월 10일 | |
최저 기압 | 90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KMA | 58m/s |
JMA | 60m/s (115kt) | |
최대 풍속 (1분 평균) |
80m/s (155kt) | |
최대 크기 | KMA | 440km (반경) |
JMA | 1150km (직경) | |
인명 피해 (사망·실종) |
29명 | |
재산 피해 (억원) |
- |
2015년 제13호 태풍 사우델로르(SOUDELOR)는 7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북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5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사이판 섬을 8월 3일 0시에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39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관통하였다. 사이판 섬 관통 이후에도 계속 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8월 4일 오전 3시에 미국 괌 북서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0hPa, 최대풍속 59m/s, 강풍 반경 390km(북쪽 반경)의 세력 '맹렬함',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열용량이 낮은 곳을 지나면서 조금 약화되었다가 타이완 동쪽 해상이 열용량이 높아 재발달했고, 재발달한 세력인 중심기압 930hPa, 최대풍속 49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8월 8일 오전 5시 40분경 중화민국 화롄 시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다. 타이완 관통 뒤 약화된 세력인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고, 중국 대륙 상륙 이후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9일 오후 9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남서쪽 약 6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0일 오전 3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서남서쪽 약 5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사우델로르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추장을 의미한다.
태풍의 진행[편집]
은퇴한 태풍 이름 (2000년 이후) | |
---|---|
2000년대 |
|
2010년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