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리도마이드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2-(2,6-dioxopiperidin-3-yl)-2,3-dihydro-1H-isoindole-1,3-dio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50-35-1 |
ATC 코드 | L04AX02 |
PubChem | 5426 |
드러그뱅크 | DB01041 |
ChemSpider | 5233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3H10N2O4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유의어 | α-(N-Phthalimido)glutarimide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90% |
단백질 결합 | 55% and 66% for the (R)-(+)- and (S)-(−)-enantiomers, respectively[1]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Liver (minimally via CYP2C19-mediated 5-hydroxylation; mostly via non-enzymatic hydrolysis at the four amide sites)[1] |
생물학적 반감기 | 5–7.5 hours (dose-dependent)[1] |
배출 | Urine, faeces[1]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X(오스트레일리아) X(미국) |
법적 상태 | 처방전 필요 (S4) (오스트레일리아) ℞-only (캐나다) POM (영국) ℞-only (미국) |
투여 방법 | By mouth (capsules) |
![]() | |
일반적인 성질 | |
---|---|
IUPAC 이름 | (RS)-2-(2,6-dioxopiperidin-3-yl)-1H-isoindole-1,3(2H)-dione |
화학식 | C13H10N2O4 |
PubChem | 5426 |
ChemSpider | 5233 |
물리적 성질 | |
분자량 | 258.23 g/mol |
열화학적 성질 | |
안전성 | |
섭취 | 임산부가 섭취시 기형아가 태어남. |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임산부들의 입덧 방지용으로 판매된 약이다. 부작용으로 기형아들이 출산되자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최근 부작용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로 조심스럽게 쓰이기도 한다.[2]
부작용[편집]
대표적인 부작용은 물개사지라고 번역할 수 있는 phocomelia이다. 즉 물개처럼 팔, 다리가 극단적으로 짧은 기형이다.
소개[편집]
1953년에 서독에서 만들어졌고 그뤼넨탈이 1957년 8월 1일부터 판매하기 시작했다. 각종 동물 실험에서 부작용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에 '부작용 없는 기적의 약'으로 선전되었다. 처음에는 독일과 영국에서 주로 사용하다가 곧 50여 개 나라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60년부터 1961년 사이에 이 약을 복용한 임산부들이 기형아를 출산하면서, 위험성이 드러나 판매가 중지되었다.
탈리도마이드에 의한 기형아 출산은 전 세계 46개국에서 1만 명이 넘었으며, 특히 유럽에서만 8천 명이 넘었다. 미국에서는 단 17명밖에 생기지 않았다. 약 허가신청서가 FDA에 제출됐으나 1960년 부임해 첫 번째 과제로 이 약의 심사를 맡은 프랜시스 켈시는 승인을 거절했는데 켈시 박사는 사람에게는 수면제로 작용하는 탈리도마이드가 동물에게선 아무런 효과가 없는 것을 이상히 여겨 쉽게 판매허가를 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임신후 42일 이전에 이 약을 복용하면 100%로 사지가 없든지, 사지가 있어도 매우 짧고 손발가락이 모두 없거나 소실된 기형아를 출산하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3]
탈리도마이드는 의약품의 부작용에 대한 가장 비극적인 사례로 기록되었다. 탈리도마이드가 개, 고양이, 래트, 햄스터와 닭에게는 어떠한 독성도 나타내지 않으며, 토끼 중에서도 특별한 품종에서만 사람과 비슷한 독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그 후의 일이다.[4]
최근에는 신생혈관 억제라는 탈리도마이드의 부작용이 오히려 한센병과 다발성 골수종과 암 등의 치료에 쓰일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제한된 경우에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5] 남성이 탈리도마이드를 복용한 경우 정액에 잔존하며 남성의 정액에 있는 탈리도마이드도 여성의 몸에 들어가면 기형아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어서 콘돔이나 페미돔 등 정액을 차단하는 피임수단을 철저하게 사용해야한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다 라 Teo SK, Colburn WA, Tracewell WG, Kook KA, Stirling DI, Jaworsky MS, Scheffler MA, Thomas SD, Laskin OL (2004).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alidomide”. 《Clinical Pharmacokinetics》 43 (5): 311–27. doi:10.2165/00003088-200443050-00004. PMID 15080764.
- ↑ 기형아 출산 약물 ‘탈리도마이드’ 비밀 벗었다
- ↑ 탈리도마이드의 아이들 Archived 2012년 11월 9일 - 웨이백 머신 (월간암)
- ↑ 탈리도마이드의 비극을 아는가
- ↑ 탈리도마이드…기형아 유발 수면제
외부 링크[편집]
- https://web.archive.org/web/20070928094136/http://www.kodc.or.kr/search/srch111.asp?code=009783 - 한국희귀의약품센터의 탈리도마이드 설명
- (과학) 탈리도마이드의 비극 - 한겨레21 제327호
![]() |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