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드스군
쿠드스군 | |||
---|---|---|---|
نیروی قدس | |||
| |||
활동 기간 | 1980 - 현재 | ||
국가 | ![]() | ||
소속 | 육군 | ||
종류 | 특수부대 | ||
규모 | 15,000명으로 추정 | ||
명령 체계 | 이슬람 혁명 수비군 | ||
본부 | 테헤란 | ||
참전 | 이란-이라크 전쟁 1982년 레바논 전쟁 | ||
지휘관 | |||
지휘관 | 카젬 솔레이마니 |
쿠드스군[1] (페르시아어: نیروی قدس Nīrū-ye Qods, 페르시아어: سپا قدس Sepāh-e Qods)은 이란의 이슬람 혁명 수비군의 특수 부대로 해외 작전을 담당하고 있다.[2] 쿠드스군의 최고 지휘는 이란의 최고 지도자인 알리 하메네이가 맡고 있다.[3][4] 사령관은 카젬 솔레이마니이고,[5] 부사령관은 호세인 하마다니이다.[6] 군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많지 않지만,[7] 2007년 이후 그것의 병력 크기는 15,000명으로 추정된다.[8] 미국은 쿠드스군을 2007년 이래 대테러 작전의 지지자로 지정했다.[9]
역사[편집]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창설된 쿠드스군은 이슬람 혁명 수비군의 특별 부대의 일부였다. 전쟁 기간과 그 이후 이들은 사담 후세인과 맞서 싸우는 쿠르드인을 지지했다. 1982년 쿠드스군은 레바논으로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부대원은 헤즈볼라를 지원했다.[10] 군대는 이웃 국가인 아프가니스탄으로 작전 영역을 넓혔고, 1980년대 모하마드 나지불라의 공산 정부에 맞서 압둘 알리 마자리의 시아파 군벌인 헤즈베 와흐닷을 지원했다. 이후 이들은 탈레반에 맞서 아흐마드 샤 마수드의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전선에 자금을 대주기 시작했다.[11] 그러나 최근에 쿠드스군은 탈레반 반군을 돕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2][13][14][15][16][17][18]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과 싸우는 보스니아계 이슬람인들을 쿠드스군이 지원했다는 보고도 몇 개 있다.[19][20][21]
이집트 신문인 알아흐람에 따르면 옛 이란 대통령 마무드 아마디네자드가 1980년대 후반 이라크의 라마잔 감옥에 갇혀 있을 때 군 양성을 후원했다고 밝혔다.[22]
임무[편집]
2010년 1월, 워싱턴 근동정책연구회에 따르면 쿠드스군의 임무는 확장되었고, 미국과 이스라엘을 비롯하여 서구 국가들을 목표로 한 공격을 헤즈볼라와 연동해 시작했다고 밝혔다.[23]
각주[편집]
- ↑ 다른 방식으로는 Qods, Ghods, 그리고 al-Quds로도 쓰인다. 쿠드스는 페르시아어로 예루살렘을 의미한다.
- ↑ “Qods (Jerusalem) Forc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Intelligence Resource Program. 1998년 8월 21일. 2012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Dionisi, 7
- ↑ “Iran demands nationals' release”. 《BBC》. 2007년 1월 14일. 2007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Richter, Paul (2007년 10월 24일). “Top Iranians direct Iraq missions”. 《Los Angeles Times》. 2007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Finita l'era di Suleimani, cambio di vertice al Quds”. 《AnalisiDifesa》. 2014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Wright, Robin, Dreams and Shadows: the Future of the Middle East, Penguin Press, 2008, pp. 332–333.
- ↑ Anthony Cordesman and Martin Kleiber, Iran's Asymmetric Warfighting Capabilities. Washington, D.C.: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Affairs. 2007.
- ↑ “Fact Sheet: Designation of Iranian Entities and Individuals for Proliferation Activities and Support for Terrorism”.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2007년 10월 25일. 2014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Moghadam, Assaf (2011). 《Militancy and Political Violence in Shiism: Trends and Patterns》. Routledge. 87쪽. ISBN 978-1136663536.
- ↑ “Iran's Revolutionary Guards”. 《Telegraph》. 2007년 10월 4일. 2013년 3월 1일에 확인함.
- ↑ Ben Farmer, 편집. (2012년 8월 1일). “Taliban opens office in Iran”. The Telegraph.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Abasin Zaheeron, 편집. (2012년 5월 20일). “Iran, Pakistan out to weaken Afghanistan, MPs told”. Pajhwok Afghan News.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Brian Todd and Pam Benson, 편집. (2010년 3월 23일). “Taliban fighters training in Iran, U.S. officials say”. 《CNN》.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Jha, Lalit K (2011년 3월 16일). “Concern in US over increasing Iranian activity in Afghanistan”. 《Pajhwok Afghan News》.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O'Rourke, Breffni (2007년 4월 18일). “Afghanistan: U.S. Says Iranian-Made Weapons Found”. 《Radio Free Europe》.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Afghans find tons of explosive devices transferred from Iran”. 《CNN》. 6 October 2010. 5 March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8 May 2013에 확인함.
- ↑ “Is Iran Supporting the Insurgency in Afghanistan?”. 《The Jamestown Foundatio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Moghadam, Assaf (2011). 《Militancy and Political Violence in Shiism: Trends and Patterns》. Routledge. 87쪽. ISBN 978-1136663536.
It also assisted in the establishment of Hizballah in Lebanon and various Islamic groups in Bosnia.
- ↑ Rubin, Michael (2001). 《Into the Shadows: Radical Vigilantes in Khatami's Iran》. Washington Institute for Near East Policy. 46쪽. ISBN 978-0944029459.
- ↑ Hirsh, Michael; Dehghanpisheh, Babak; Hosenball, Mark. "The New Enemy? Archived 1 April 2007 - 웨이백 머신.", Newsweek, 15 February 2007. Retrieved 17 February 2007.
- ↑ Nawar, Ibrahim. "Mahmoud Ahmadinejad: Justice versus freedom Archived 12 January 2007 - 웨이백 머신.", Al Ahram Weekly, 30 June 2005. Retrieved 7 January 2006.
- ↑ Matthew, Levitt (January 2013). “Hizballah and the Qods Force in Iran’s shadow war with the West” (Policy Focus (No. 123)). 《The Washington Institute for Near East Policy》. 2013년 8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