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케리그마켈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케리그마켈라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중기
케리그마켈라 키에르케고르디의 화석 표본
케리그마켈라 키에르케고르디의 화석 표본
후속 연구를 통해 복원한 모습[1]
후속 연구를 통해 복원한 모습[1]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공하강
과: †케리그마켈라과
속: 케리그마켈라속
Budd, 1993
종: K. 키르케고르디
모식종
Kerygmachela kierkegaardi
Budd, 1993

케리그마켈라(학명Kerygmachela)는 그린란드 북부의 시리우스 파셋 라거슈테테에서 발견된 멸종한 케리그마켈라과 기엽족류에 속하는 동물로[2] 캄브리아기 제3절에 출현하였다. 몸의 해부구조는 가까운 종인 팜브델루리온 휘팅토니(학명Pambdelurion whittingtoni)와 닮아있으며, 라디오돈트목과 진정절지동물의 해부구조와도 얼추 비슷했음을 보여준다.[3][1] 속명 케리그마켈라는 그리스어로 설교, 선언, 포고를 뜻하는 '케리그마'(Kerygma)와 발톱을 뜻하는 그리스어 '켈라'(Gr. chela)의 합성어로, 이색적인 전방부속기의 생김새 때문에 명명되었다. 종소명은 '키르케고르디'로 덴마크의 철학자인 쇠렌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의 성에서 따왔다.[3][1]

해부적 특징

[편집]
케뤼그마켈라의 눈 (진한 파랑), 뇌 (연한 파랑), 소화기관(노랑).

케리그마켈라의 머리는 다른 공하류나 시베리온 엽족류들와는 달리 잘 발달한 전방부속기 한 쌍을 가지고 있다.[4] 전방부속기의 각 끝에는 길다란 가시가 여럿이 나 있다. 슬릿 형태의 매끄러운 겹눈 한 쌍은 전방부속기의 기부보다 약간 뒤에 위치한다.[1] 전방을 향한 작은 입은 머리 하단에 위치하며 작은 침 구조물 한 쌍을 가지고 있다.[1] 또, 크기가 작고 눈일 가능성이 있는 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중엽 형태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가운뎃눈)[1] 몸은 11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디마다 등아가미와 비슷한 주름이 있는 옆지느러미가 한 쌍 씩 붙어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마디마다 작은 혹 구조물 네 개가 등면에 나 있다.[3] 처음에는 작은 다리(엽족) 11쌍이 지느러미 바로 아래에 있는 것으로 확실하게 여겨졌으나,[3] 후속 연구에 따르면 엽족은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대신 지느러미가 조상의 엽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5][2] 몸은 이전에는 체절화한 꼬리털[3][6] 한 쌍으로 보기도 했던 하나의 뻣뻣한 꼬리가시[1][2]로 끝난다.

케리그마켈라는 체내에 잘 발달한 인두와[1] 중장을 가지고 있는데, 중장은 소화샘 8쌍이 연결되어 있으며 절지동물의 것과 유사하다.[7] 뇌는 중엽, 눈, 전방부속기로 확장된 신경 가지이다.[1] 전대뇌(가장 앞쪽에 있는 뇌신경절)만이 뇌 부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다른 모든 머리신경은 전대뇌의 일부로 간주받는다.[1] 한편으로 라디오돈트류인 스탠리카리스에 대한 후속 연구는 전방부속기 신경절에서 중대뇌의 기원을 시사할 수 있다.[8]

생태

[편집]

케리그마켈라의 가시투성이 전방부속기는 이 동물이 포식자였을지도 모름을 시사하나, 화석표본에서는 이들 입의 크기가 대략 175mm 크기의 작은 입인 것으로 볼 때 케리그마켈라는 매우 작은 먹잇감에 한했을 것으로 보인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Park, Tae-Yoon S.; Kihm, Ji-Hoon; Woo, Jusun; Park, Changkun; Lee, Won Young; Smith, M. Paul; Harper, David A. T.; Young, Fletcher; Nielsen, Arne T.; Vinther, Jakob (2018년 3월 9일). “Brain and eyes of Kerygmachela reveal protocerebral ancestry of the panarthropod head”. 《Nature Communications》 (영어) 9 (1): 1019. doi:10.1038/s41467-018-03464-w. ISSN 2041-1723. PMC 5844904. PMID 29523785. 
  2. McCall, Christian R. A. (2023년 12월 13일). “A large pelagic lobopodian from the Cambrian Pioche Shale of Nevada”. 《Journal of Paleontology》 (영어): 1–16. doi:10.1017/jpa.2023.63. ISSN 0022-3360. 
  3. Budd, Graham E. (1993). “A Cambrian gilled lobopod from Greenland”. 《Nature》 364 (6439): 709–711. doi:10.1038/364709a0. S2CID 4341971. 
  4. Ortega‐Hernández, Javier (2016). “Making sense of 'lower' and 'upper' stem-group Euarthropoda, with comments on the strict use of the name Arthropoda von Siebold, 1848”. 《Biological Reviews》 (영어) 91 (1): 255-273. doi:10.1111/brv.12168. ISSN 1469-185X. PMID 25528950. S2CID 7751936. 
  5. Lerosey‐Aubril, Rudy; Ortega‐Hernández, Javier (2022년 5월). Zhang, Xi‐Guang, 편집. “A new lobopodian from the middle Cambrian of Utah: did swimming body flaps convergently evolve in stem‐group arthropods?”. 《Papers in Palaeontology》 8 (3). doi:10.1002/spp2.1450. ISSN 2056-2799. 
  6. Leanchoilia gut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in Burgess Shale-type fossils”. 《Paleobiology》. 
  7. Vannier, Jean; Liu, Jianni; Lerosey-Aubril, Rudy; Vinther, Jakob; Daley, Allison C. (2014년 5월 2일). “Sophisticated digestive systems in early arthropods”. 《Nature Communications》 (영어) 5 (1): 3641. doi:10.1038/ncomms4641. ISSN 2041-1723. PMID 24785191. 
  8. Moysiuk, Joseph; Caron, Jean-Bernard (2022). “A three-eyed radiodont with fossilized neuroanatomy informs the origin of the arthropod head and segmentation”. 《Current Biology》 32 (15): 3302–3316.e2. doi:10.1016/j.cub.2022.06.027. ISSN 0960-9822. 

더 읽어보기

[편집]
  • Budd, G. E. (1999). “The morphology and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Kerygmachela kierkegaardi Budd (Buen Formation, Lower Cambrian, N Greenland)”.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89 (4): 249–290. doi:10.1017/S0263593300002418. S2CID 85645934. 

외부 링크

[편집]
  • 아노말로카리드 홈페이지 [1]
  • Palaeos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