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무공동
忠武公洞

로마자 표기Chungmugong 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상남도 진주시
행정 구역11개 , 57개
법정동1
관청 소재지충의로 144
지리
면적4.077km2
인문
인구33,049명(2022년 3월)
세대2,263세대
인구 밀도8,106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충무공동 주민센터

충무공동(忠武公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행정동이다. 넓이는 4.077km2이고, 인구는 2016년 6월 15일을 기준으로 4,260세대 12,870명이다.[1]

개요[편집]

경남 혁신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문산읍 소문리, 금산면 갈전·속사리, 호탄동 일부를 통합하여 2013년 12월 18일에 신설되었다.

행정 구역[편집]

주거[편집]

아파트[편집]

  • A-1블럭: 혁신도시 lh 1단지 (2013년 12월 입주)
  • A-2블럭: 라온프라이빗 (2017년12월 입주예정)
  • A-3블럭: 혁신도시 lh 3단지 (2016년 분양)
  • A-4블럭: 혁신도시 lh 4단지 (2014년 2월 입주)
  • A-5블럭: 혁신도시 lh 5단지 (2014년 10월 입주)
  • A-6블럭: 중흥 S클래스 6단지 (분양시기 미정)
  • A-7블럭: 대방 노블랜드 Archived 2016년 8월 23일 - 웨이백 머신 (2016년 3월 분양)
  • A-8블럭: 혁신도시 lh 8단지 (2016년 1월 입주)
  • A-9블럭: lh 천년나무 9단지 (2015년 분양)
  • A-10블럭: 혁신도시 lh 10단지 (2018년 4월 입주예정)
  • A-11블럭: 부영 사랑으로 (분양시기 미정)
  • A-12블럭: 중흥 S클래스 12단지 Archived 2016년 8월 27일 - 웨이백 머신 (2016년 9월 분양)
  • A-13블럭: 한림 풀에버 (2015년 10월 입주)

주상복합[편집]

C-1블럭: 휴앤인 엘리시움 (2016년 8월 분양예정)

교육시설[편집]

주요 시설[편집]

편의 시설[편집]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편집]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The Pterosaur, Bird and Dinosaur Tracksite of Hotan-dong, Jinju, 북위 35° 10′ 08.20″ 동경 128° 08′ 21.23″ / 북위 35.1689444° 동경 128.1392306°  / 35.1689444; 128.1392306)에는 진주시 충무공동의 진주층 상에 있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34호로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곳의 진주층은 세립 내지 중립질사암과 이암의 교호층이 지배적이다. 공룡 외에 수각류 및 새발자국 화석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악어, 거북, 도마뱀 발자국과 세계에서 가장 작은 렙터 발자국 등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백악기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이 보고된 곳이다. 이 화석 산지에서 수습된 화석과 보존 상태가 우수한 익룡 발자국 화석층 일부는 현재 충무공동 136에 위치한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의 수장고와 보호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충무공동 경남진주혁신도시에 분포하는 경상 누층군 진주층에서는 4차례에 걸친 발굴 조사를 통해 2,500개 이상의 익룡, 150개 이상의 공룡, 1,000개 이상의 새발자국과 악어, 거북, 도마뱀 및 포유류 발자국과 보행렬이 발견되었다.[2] 3차와 4차 발굴 현장에서 새롭게 발견된 익룡 발자국 군집은 보존 상태, 개체수, 밀도 및 다양성 측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익룡 발자국 기록이 남아있다. 특히, 3차 발굴현장은 백악기 척추동물의 생흔분류, 화석생성, 육상생태적 측면의 종합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11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19년 11월 19일 개관한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도 이 자리에 세워졌다. 화석산지 현장에서 산출한 진주층의 최대 퇴적연령은 약 106.5 Ma이며 백악기 알비절(Albian)에 대비된다(Chae et al., 2020).

수각류 화석 (2018. 1)

경남진주혁신도시에서 Grallator, Corpulentapus, Asianopodus와 같은 수각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직후 이들 화석이 보존된 진주층 암석 덩어리채로 통째로 뜯어내어 진주교육대학교의 창고와 고성공룡박물관으로 이송되어 면밀히 조사되었다. 이들 수각류 화석들은 중국의 압트절(Aptian) 발자국 화석과 대비가 가능하다.[3]

개구리 발자국 화석 (2019. 4)

경남진주혁신도시에 분포하는 진주층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구리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진주교육대학교의 김경수 교수는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 개관을 위해 실험실에 보관하던 표본들을 이관하는 과정에서 화석 표본을 면밀히 조사하다가 HTB-043 셰일 표본에서 개구리 발자국 화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4][5]

소형 익룡 발자국 화석 Pteraichnus gracilis (2022. 3)
  • 하수진 외(2022)는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 부근의 진주층에서 기존의 보고된 익룡 발자국 화석과 구별되는 새로운 소형 익룡발자국 화석을 발견하고 Pteraichnus gracilis ichnosp. nov.으로 분류하였다. 익룔 발자국 화석의 평균 길이는 앞발 27.2 mm, 뒷발 27.8 mm, 평균폭 앞발 9.3 mm, 뒷발 12.3 mm이다. 화석 표본 CUE E4P007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충무공동 익룡, 새,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인근에 위치한 제4차 진주혁신도시 화석문화재 발굴 현장에서 수집되었으며, 4차 발굴 현장은 6개의 익룡 발자국 층준이 발견된 3차 발굴 현장보다 층서적으로 약간 상위에 해당한다. 제3차, 4차 발굴 현장의 분포 암상은 대체로 동일하며, 이암이 교호하는 응회암/세립 사암, 이암으로 덮인 응회질/중립질사암, 응회질사암과 이암, 세립사암에서 미사암과 이암, 셰일 등으로 구성된다. 화석 표본은 현재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6][2]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편집]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지번 : 진주시 충무공동 136, 도로명주소 : 진주시 영천강로68번길 22)은 아래 사진과 같이 경남진주혁신도시 개발 도중 드러난 진주층의 화석들을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이다. 전시관 바로 옆에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와 함께 암회색 진주층의 노두가 대규모로 드러나 있다. 입장료는 성인 2,000원이다. (진주시민 무료)


각주[편집]

  1. 충무공동의 일반 현황 Archived 2014년 7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6년 6월 24일 확인
  2. 하수진 (2023년). “지질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용 방안 : 백악기 화석과 지질공원을 중심으로 = Sustainable Utilization Plan of Geoheritages: Focusing on the Cretaceous Fossils and Geoparks”. 부산대학교 대학원. 
  3. Kyung Soo Kim; Jong Deock Lim; Martin G. Lockley; Lida Xing; Su Jin Ha; Cheong Bin Kim; In Sung Paik; Jae Hong Ahn; Seok Chan Mun (2018년 1월). “First reports of a distinctive theropod track assemblage from the Jinju Formation (Lower Cretaceous) of Korea provides strong correlations with China”. 《Cretaceous Research》 81: 26-35. doi:10.1016/j.cretres.2017.08.005. 
  4.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구리 발자국 화석, 진주서 발견". The Science Times. 2018년 12월 26일. 
  5. Kyung Soo Kim; Martin G. Lockley; Jong Deock Lim; Dong Hee Kim (2019년 4월). “The oldest known anuran (frog) trackways from the Jinju Formation, Lower Cretaceous, Korea”. 《Cretaceous Research》 96: 142-148. doi:10.1016/j.cretres.2018.12.008. 
  6. Ha, Sujin; Kim, Kyung Soo; Lim, Hyoun Soo; Lockley, Martin G.; Yoo, Jae Sang; Lim, Jong Deock (2022년 3월). “Diminutive pterosaur tracks and trackways (Pteraichnus gracilis ichnosp. nov.) from the Lower Cretaceous Jinju Formation, Gyeongsang Basin, Korea”. 《Cretaceous Research》 111: 105080. doi:10.1016/j.cretres.2021.105080.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