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최성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성관 (1925년)에서 넘어옴)

최성관
崔聖寬
본명최성섭
崔聖燮
출생1925년 9월 5일
일제강점기 한성부
사망1999년 7월 19일
국적대한민국
직업영화 배우, 영화 감독, 영화 편집자
활동 기간1957년 ~ 1999년
학력국학대학 국문학과 졸업

최성관(崔聖寬. 1925년 9월 5일 ~ 1999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영화 배우, 영화 감독, 영화 편집자이다.

생애[편집]

1925년 9월 5일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국학대학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57년 《선화 공주》를 감독하였다. 감독활동은 1959년 《남의 속도 모르고》, 1962년 <태양(太陽)을 등진 사람들>로 이어졌다. 김근자, 박귀희 주연의 <선화공주>는 흑백영화로 일관되다시피한 당시에 16미리이기는 했으나 모처럼 천연색 필름으로 촬영하여 큰 관심을 끌었다. 이는 홍성기 감독이 <여성의 일기>(1949)로 색채 화면을 선보인 이후 두 번째의 시도였다. 그는 배우로도 활동했다. 1999년 7월 19일 별세하였다.

영화작품[편집]

출연[편집]

  • 똘똘이의 모험 (1946년)
  • 일지매 삼검객 (1967년)
  • 대원군 (1968년)
  • 카인의 후예 (1968년)
  • 여자의 일생 (1968년)
  • 천년호 (1969년) - 갈노인
  • 사랑하고 있어요 (1969년)
  • 버림받은 여자 (1970년)
  • 할아버지는 멋쟁이 (1970년)
  • 수호지 (1970년)
  • 처와 처 (1970년)
  • 독나비 (1971년)
  • 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 (1971년)
  • 금문의 결투 (1971년)
  • 항구의 왼손잽이 (1971년)
  • 새남터의 북소리 (1972년)
  • 잘살아다오 내 딸들아 (1972년)
  • 신풍협객 (1972년)
  • 종야 (1973년)
  • 귀향 (1973년)
  • 엄마결혼식 (1973년)
  • 석양의 두 얼굴 (1973년)
  • 몸 전체로 사랑을 (1973년)
  • 돌아온 외다리 (1974년)
  • 용호대련 (1974년)
  • 진아의 편지 (1974년)
  • 이름모를 소녀 (1974년)
  • 사하린의 하늘과 땅 (1974년)
  • 아리랑 (1974년)
  • 분노의 왼발 (1974년)
  • 아랑낭자전 (1974년)
  • 꽃과 뱀 (1975년)
  • 황토 (1975년)
  • 정형미인 (1975년)
  • 쾌걸 일지매 (1976년)
  • 천의 얼굴(항일첩보전 시리즈) (1976년)
  • 어머니 (1976년)
  • 어머니와 아들 (1976년)
  • 구삼육사건 (1976년)
  • 사랑의 원자탄 (1977년)
  • 화려한 외출 (1977년)
  • 무명객 (1977년)
  • 7호실 손님 (1978년)
  • 어딘가에 엄마가 (1978년)
  • 마지막 겨울 (1978년)
  • 호국 팔만대장경 (1978년)
  • 정조 (1979년)
  • 너는 내 운명 (1979년)
  • 아니벌써 (1979년)
  • 내가 버린 남자 (1979년)
  • 로맨스그레이 (1979년)
  • 물도리 동 (1979년)
  • 꽃밭에 나비 (1979년)
  • 내일 또 내일 (1979년)
  • 모모는 철부지 (1979년)
  • 강변부인 (1980년)
  • 팔불출 (1980년)
  • 월녀의 한 (1980년)
  • 낯선곳에서 하룻밤 (1980년)
  • 불새 (1980년) - 신부
  • 피막 (1980년)
  • 우산속의 세 여자 (1980년) - 김사장
  • 사랑하는 사람아 (1981년)
  • 풍운아 팔불출 (1981년)
  • 겨울로 가는 마차 (1981년)
  • 만다라 (1981년)
  • 육체의 문 (1981년)
  • F학점의 천재들 (1981년)
  • 삐에로와 국화 (1982년)
  • 욕망의 늪 (1982년)
  • 버려진 청춘 (1982년)
  • 오염된 자식들 (1982년)
  • 죽으면 살리라 (1982년)
  • 장미부인 (1983년)
  • 외박 (1983년)
  • 경아의 사생활 (1983년)
  • 여자가 밤을 두려워하랴 (1983년)
  •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 (1983년) - 아버지
  • 바보스러운 여자 (1983년)
  • 원한의 공동묘지 (1983년)
  • 꽃잎이어라 낙엽이어라 (1984년)
  • 사랑하는 자식들아 (1984년)
  • 비천괴수 (1984년)
  • 대학괴짜들 (1984년)
  • 아가다 (1984년)
  • 사약 (1984년) - 이전
  • 내사랑 짱구 (1984년) - 특별출연
  • 제 4의 공포 (1984년)
  • 사슴사냥 (1984년)
  • 고래사냥 (1984년)
  •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 (1984년)
  • 산딸기 2 (1984년)
  • 고래사냥 2 (1985년)
  • 뽕 (1985)
  • 피조개 뭍에 오르다 (1985년)
  • 마지막 여름 (1985년)
  • 월하의 사미인곡 (1985년)
  • 부나비는 황혼이 슬프다 (1985년)
  • 방황하는 별들 (1985년) - 박사
  • 안개기둥 (1986년) - 아이들
  • 단 (1986년)
  • 비내리는 영동교 (1986년)
  • 무진 흐린뒤 안개 (1986년)
  • 겨울 나그네 (1986년)
  • 투명인간 (1986년)
  • 연산일기 (1987년)
  • 레테의 연가 (1987년)
  • 봄 가을 그리고 잃어버린 계절들 (1987년) - 신부
  • 웅담부인 (1987년) - 신부
  • 유정 (1987년) - 스즈끼박사
  • 두 여자의 집 (1987년) - 윤치호 아버지
  • 연산군 (1987년)
  • 한쪽날개의 천사 (1987년)
  • 기쁜 우리 젊은 날 (1987년)
  • 청춘시대 (1988년)
  • 접시꽃 당신 (1988년)
  • 보릿고개 (1988년) - 아버지
  • 캠퍼스 연애특강 (1988년) - 당숙
  • 뽕 2 (1988년)
  • 사방지 (1988년) - 종손
  • 아스팔트 위의 동키호테 (1988년)
  • 오색의 전방 (1989년) - 강진사
  • 크라이막스 원 (1989년) - 아버지
  • 상처 (1989년)
  • 신사동 제비 (1989년) - 장인
  • 건드리지 좀 마 (1989년)
  • 간통 (1989년) - 아버지
  • 오세암 (1990년)
  • 마지막 남자의 모습 (1990년) - 김사장
  • 언제나 그 자리에 (1990년)
  • 장군의 아들 2 (1991년)
  • 젊은 날의 초상 (1991년) - 정산선생
  • 나는 너를 천사라고 부른다 (1992년)
  • 황제 오작두 (1992년)
  • 짧은 여행의 끝 (1992년)
  • 뽕 3 (1992년)
  • 한줌의 시간속에서 (1993년) - 면장
  • 첫사랑 (1993년)
  • 계약 커플 (1994년)
  • 절대 사랑 (1994년) - 회장
  • 태백산맥 (1994년)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1995년) - 일본총리대신

감독/편집[편집]

  • 선화공주 (1957년)
  • 남의 속도 모르고 (1959년)
  • 태양을 등진 사람들 (1962년)

경력[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