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최후통첩
중국의 최후통첩(中國 最後通牒, 러시아어: Последнее китайское предупреждение 포슬레드네예 키타이스코예 프레두프레즈데니예[*], 중국어: 中國的最後警告, 영어: China's final warning)은 실제 하는 행동은 없이 경고만 하는 행위를 뜻하는 러시아어권의 속담이다.[1]
어원[편집]
【신화사 9일 전보】5월 5일 5시 39분부터 6시 40분까지 미국 군용기 1기가 우리 광둥성 하이난섬 동남쪽 영공을 침범하였다. 6일 11시 6분부터 11시 55분까지 미군 군용기 1기가 광둥성 시사 군도 영공을 침범하였다. 미 군용기의 이 도발에 대해 우리 외교부 대변인은 명령에 따라 미국에게 455차례 엄중 경고를 보냈다.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사이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 관계는 타이완 문제로 인해 매우 경색되었다. 미군 전투기들은 정기적으로 대만 해협을 순찰했고 이 때문에 중국공산당은 정기적으로 공식적인 시위를 열었다. 중국은 대만 해협에서 미군 전투기 전투기동을 향해 900건 이상 "최후통첩"을 내렸지만 이 최후통첩 중 실제로 행동에 나선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중국의 '최후통첩'은 실제 행동 없는 말뿐인 경고라는 정서가 러시아 내에서 퍼졌다. 결국 "중국의 최후통첩"이라는 말이 러시아 내에서 유행어이자 속담이 되었다.[3][4]
중화인민공화국은 1958년 9월 7일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 당시 미군의 정찰 비행을 향해 첫 최후통첩을 발표했다. 당시 미국은 중화 대륙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중화민국만 존재한다고 간주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실질적으로 통제하던 공역에서도 미군이 비행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기록하여 각 사건마다 외교 통로를 통해 최후통첩을 보냈다. 중국이 보낸 최후통첩의 갯수는 정확히 파악할 수 없지만 1964년 말까지 대략 900건을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최후통첩'은 정기적으로 공개방송하였다. 이 때부터 "중국의 최후통첩"이라는 숙어가 발트 3국과 구 소련 공화국 내에서 널리 퍼지게 되었고 언어권별로 변형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이 "중국의 최후통첩"이라는 단어를 구 소련 국가, 특히 에스토니아어권에서 자주 사용한다.[5][6]
같이 보기[편집]
- 《중국 인민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伤害中国人民的感情, en:Hurting the feelings of the Chinese people)
- 종이호랑이(en:Paper tiger)
- 양치기 소년
각주[편집]
- ↑ “Когда было последнее китайское предупреждение?”. ВокругСвета.ру.
- ↑ “我提出第四百五十五次严重警告” (중국어). 浙江日报. 浙江日报社. 1968년 5월 12일.
- ↑ “Что означает выражение «последнее китайское предупреждение»?”. 《aif.ru》 (러시아어). 2015년 5월 31일. 2022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Малая воздушная война в Китае”. 《www.airwar.ru》. 2022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Toomas Alatalu: Põhja-Korea ja USA ootamatult tuliseks kujunenud olukorras on suureks õli tulle valajaks silmatorkavalt sõjajanune ajakirjandus”. 《Eesti Päevaleht》. 2022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OKIA. “Kas sõjahirm või sõjaootus?”. 《Sirp》 (에스토니아어). 2022년 1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