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합체 모형
통계역학과 그래프 이론에서 이합체 모형(二合體模型, 영어: dimer model)은 어떤 그래프 위의 완벽 부합들의 공간 위에 정의되는 통계역학 모형이다.
정의
[편집]이합체 모형
[편집]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그래프
- 실수 값 함수 . 이를 각 변의 에너지라고 한다.
그렇다면, 의 완벽 부합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통계 역학에서, 완벽 부합은 보통 이합체 배치(二合體配置, 영어: dimer configuration)라고 하며, 그래프의 변은 이합체라고 한다. 즉, 흔히 사용되는 수학 용어 및 대응되는 물리학 용어는 다음과 같다.
수학 | 물리학 |
---|---|
변 | 이합체(영어: dimer) |
꼭짓점 | 단량체(영어: monomer) |
완벽 부합 | 이합체 배치 |
변의 무게(영어: weight) | 이합체의 에너지 |
꼭짓점의 무게(영어: weight) | 단량체의 에너지 |
이제, 다음과 같은 통계 역학 모형을 정의할 수 있다.
- 위상 공간은 완벽 부합의 집합 이다.
- 임의의 완벽 부합 의 에너지는 부합에 속하는 변들의 에너지들의 합 이다.
- 온도 에서, 위상 공간 위의 측도는 이 에너지 함수 로 정의되는 기브스 측도이다.
여기서 값 는 분배 함수이다. 이 통계 역학 모형을 이합체 모형이라고 한다.
단량체-이합체 모형
[편집]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그래프
- 실수 값 함수 . 이를 이합체 에너지(二合體energy, 영어: dimer energy)라고 한다.
- 실수 값 함수 . 이를 단량체 에너지(單量體energy, 영어: monomer energy)라고 한다.
그렇다면, 의 부합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이제, 다음과 같은 통계 역학 모형을 정의할 수 있다.
- 위상 공간은 부합의 집합 이다.
- 임의의 부합 의 에너지는 부합에 속하는 변들의 이합체 에너지들과, 부합에 인접하지 않는 꼭짓점들의 단량체 에너지들의 합이다.
- 온도 에서, 위상 공간 위의 측도는 이 에너지 함수 로 정의되는 기브스 측도이다.
여기서 값 는 분배 함수이다. 이 통계 역학 모형을 단량체-이합체 모형(영어: monomer–dimer model)이라고 한다.
성질
[편집]단량체-이합체 모형과 이합체 모형의 관계
[편집]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벽 부합을 갖는 유한 그래프 위에서, 만약 단량체 에너지를 무한대로 취할 경우,
단량체-이합체 모형은 이합체 모형으로 수렴한다.
상관 함수
[편집]유한 그래프 위의 이합체 모형이 주어졌다고 하자. 각 변 에 대하여, 관측 가능량 을 지시 함수
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변 집합
에 대하여, 상관 함수
를 정의할 수 있다. 만약 가 서로 닿는 두 변을 포함한다면,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유한 그래프 위의 단량체-이합체 모형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각 변 및 각 꼭짓점 에 대하여 지시 함수 관측 가능량
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변 집합
및 꼭짓점 집합
에 대하여, 상관 함수
를 정의할 수 있다. 만약 가 서로 닿는 두 변을 포함하거나, 만약 의 원소가 의 원소와 인접한다면,
이다.
예
[편집]2차원 이징 모형은 피셔 격자(영어: Fisher lattice)라는 어떤 특별한 평면 삼차 그래프 위의 이합체 모형과 동치이다.[1]:§1 피셔 격자는 정12각형과 정삼각형으로 구성된 평면 테셀레이션의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평면의 정사각 격자 그래프에서, 각 꼭짓점
- ╳
을 나비 모양의 삼차 그래프
─┬┐ ┌┬─
│├─┤│
─┴┘ └┴─
로 치환하여 얻는다. 즉, (45도 회전하여 그린) 사각형 격자의 부분
╳
╳ ╳
╳
은 피셔 격자의 부분
─┬┐ ┌┬─
│├─┤│
─┬┐ ┌┬─┴┘ └┴─┬┐ ┌┬─
│├─┤│ │├─┤│
─┴┘ └┴─┬┐ ┌┬─┴┘ └┴─
│├─┤│
─┴┘ └┴─
에 대응한다. 이 경우, 각 꼭짓점에서 완벽 부합은 다음과 같은 8개의 가능한 꼴을 가진다.
피셔 격자의 완벽 부합 | 평면 이징 모형의 스핀 배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굵게 표현된 변이 완벽 부합에 속하는 변이다.)
즉, 이는 2차원 이징 모형의 임의의 상태에서, 각 스핀 사이의 변을
- 서로 다른 스핀 사이의 변은 굵게,
- 서로 같은 스핀 사이의 변은 가늘게
칠한 뒤, 각 꼭짓점을 위와 같은 8개의 나비 그래프 가운데 하나로 치환하면, 이징 모형의 각 상태와 피셔 격자의 완벽 부합 사이의 2대 1 대응을 얻는다. (2대 1인 것은 이징 모형의 상태에서 모든 스핀을 뒤집어도 같은 완벽 부합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45도 기울여서 그린) 평면 이징 모형의 상태의 일부분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같은 꼴이라면, 이는 다음과 같은 피셔 격자 완벽 부합에 대응한다.
─┰┐ ┌┰─
┃┝━┥┃
━┭┐ ┌┰─┸┘ └┸─┮┓ ┏┭─
│┝━┥┃ │┞─┦│
━┵┘ └┸─┮┓ ┌┮━┵┘ └┶━
│┞─┧│
━┵┘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enyon, Richard. 〈The planar dimer model with boundary: a survey〉 (PDF). Baake, Michael; Moody, Robert V. 《Directions in mathematical quasicrystals》. Centre de Recherches Mathématiques Monograph Series (영어) 13.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07–328쪽. ISBN 978-0-8218-2629-4. ISSN 1065-8599.
독서 자료
[편집]- Kenyon, Richard; Okounkov, Andrei (2005년 3월). “What is … a dimer?”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2 (3).
- Heilmann, Ole J.; Lieb, Elliott H. (1972). “Theory of monomer–dimer systems”.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25: 190–232.
- Cimasoni, David (2014). “The geometry of dimer models”. 《Winter Braids Lecture Notes》 (영어) 1: 2. arXiv:1409.4631. Bibcode:2014arXiv1409.4631C. doi:10.5802/wbln.3.
외부 링크
[편집]- Weisstein, Eric Wolfgang. “Domino tiling”.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