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봉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Npsp (토론 | 기여)님의 2009년 3월 25일 (수) 16:05 판 (→‎생애: 인용부호가 들어가 있으니 출처가 필요함)
이봉창
출생1900년 8월 10일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한성
사망1932년 10월 10일
일본의 기 일본 이치가야 형무소
사인교수형
거주지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일본의 기 일본
성별남성
국적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학력보통학교 졸업
직업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봉창(李奉昌, 1900년 8월 10일 ~ 1932년 10월 10일)은 일제 강점기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도쿄 사쿠라다몬 (櫻田門) 에서 일본 천황 히로히토 부자를 폭약으로 저격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생애

이진규의 아들로 한성부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자랐다. 용산의 문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가게 점원과 철도 운전 견습생 등으로 일하다가 형인 이범태와 함께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때 오사카에서 일본인의 양자가 되었고, 기노시타 쇼조(木下昌藏)라는 일본 이름을 얻었다.

1931년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가 양성하는 항일 독립운동 조직인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일본 천황 히로히토 암살 계획을 세웠다.

폭발물 마련 등 오랜 준비 끝에 1931년 12월 13일 안공근의 집에서 "나는 적성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적국의 괴수(傀首,우두머리)를 도살하기로 맹서하나이다."라는 선서를 하고 수류탄을 양손에 든 채 기념 촬영을 했으며, 12월 17일 도쿄로 출발했다.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은 만주국 황제 푸이와 함께 도쿄 교외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가던 중인 히로히토를 겨냥하여 사쿠라다몬(櫻田門)에서 수류탄 2개를 던졌다. 근위병 1명이 다쳤으나 히로히토는 다치지 않아 거사는 실패했고 그는 그 자리에서 체포되었다. 비밀 재판을 통해 사형 선고를 받고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 당시 미혼으로 처자식은 없었다.

광복 후 귀국한 김구는 이봉창 의사의 유해를 다시 돌려받아 1946년 효창공원윤봉길, 백정기와 함께 안장했다. 이들의 묘역을 가리켜 삼의사묘(三義士墓)라고 한다. 효창공원 내에는 수류탄을 던지는 순간의 이봉창의 모습을 형상화한 동상도 세워져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이봉창의 폭탄 투척은 비록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1930년대 한국독립운동사를 장식하는 의열투쟁의 선봉"이었으며, "일본제국주의가 신격화해 놓은 일왕의 행차에 그것도 적의 심장부인 동경에서 폭탄을 투척함으로써 한국독립운동의 강인성과 한국민의 지속적인 저항성을 전세계에 과시"한 데에 의미가 있다고 평가되었다.[출처 필요]

가족

  • 아버지 : 이진규(李鎭奎)
  • 형 : 이범태

함께 보기

바깥 고리

참고자료

틀:1992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